"제1장 서론 1
1. 연구 목적 1
가. 학문적 목적 1
나. 실질적 목적 2
2. 연구 대상 3
3. 연구 방법 7
가. 문헌적 연구 7
나. 선행 연구 8
제2장 북한의 국제법에 대한 일반적 태도 9
1. 국제법의 인정 여부와 국제법 원칙과 국제법에 대한 정의 9
2. 사회주의국가들의 국제법에 대한 태도 16
가. 국제법상의 10월혁명 사상과 현대국제법의 성립 16
나. 사회주의국제법의 원칙과 규범 18
다. 사회주의세계체제국가 간의 관계에서의 일반국제법의 원칙과 규범 19
라. 중국의 국제법에 대한 태도 20
3. 북한의 국제법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23
가. 자주권이라는 용어의 사용 23
나. 연구 서술의 방식 25
다. 용어의 차이 27
라. 국제법의 정치적 이용 28
마. 국제법의 선택적 수용 29
4. 소결 29
제3장 사회주의국가들의 해양법에 대한 입장 32
1. 중국 32
가. 영해 및 접속수역 32
나.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 35
다. 영해기선과 해양경계획정 36
라. 주변국과의 해양경계획정 사례 38
마. 동중국해 39
2. 러시아 42
가. 영해 및 접속수역 42
나.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 43
다. 영해기선과 해양경계획정 45
라. 주변국과의 해양경계획정 사례 46
3. 베트남 49
가. 해양법의 연원 49
나. 해양법의 내용 51
1) 해양법의 원칙 51
2) 영해법 52
4. 소 결 54
제4장 유엔해양법협약에 대한 북한의 입장 58
1. 북한의 해양법 관련 연대기 58
가. 1950년대 58
나. 1960년대 59
다. 1970년대 60
라. 1980년대 63
마. 1990년대 63
바. 2000년대 64
2. 유엔해양법협약에 대한 일반적 입장 65
3. 기선 및 내수제도와 역사적 만 77
4. 영해 제도 85
가. 영해의 기선 89
1) 서 89
2) 영국노르웨이 어업사건 90
가) 사건개요 90
나) 판결내용 91
나. 영해의 폭 95
1) 서 95
2) 푸에불로(Pueblo)호 사건 97
3) 쇼세이마루(松生丸)사건 100
다. 무해통항 102
1) 서 102
2) 코르푸해협 사건 105
가) 사건개요 105
나) 판결내용 105
라. 영해에 대한 북한의 입장 108
마. 북한의 영해와 관련한 외부의 입장 110
5. 배타적 경제수역 제도 111
가. 배타적 경제수역에 대한 북한의 입장 118
나. 북한의 배타적 경제수역에 대한 외부의 입장 126
6. 군사경계수역 제도 127
가. 유엔해양법협약의 규정에 없는 군사경계수역 127
나. 주변 국가의 반응 131
1) 한국 132
2) 일본 134
3) 미국 135
4) 중국 135
5) 소련 136
다. 해상방위수역의 선례 137
7. 대륙붕 142
가. 북한의 대륙붕에 대한 입장 142
나. 리비아몰타 대륙붕 사건 147
1) 사건개요 147
2) 판결내용 147
8. 해양경계획정 149
가. 북한의 해양경계획정의 원칙에 대한 입장 149
나. 북한과 중국 간의 해양경계획정 150
다. 북한과 구소련 간의 해양경계획정 151
1) 영해 경계획정 153
2)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 경계획정 156
제5장 남북한 간 해양법 현안문제 158
1. 북방한계선 158
가. 문제 제기 158
나. 북방한계선에 대한 법적인 쟁점 158
다. 북방한계선에서의 평화정착 방안 논의 164
라. 북방한계선의 국제법적 검토 165
1) 북방한계선의 연원 165
2) 북방한계선에 대한 입장 166
가) 한국의 관점 166
나) 유엔군 사령부 또는 미국의 관점 169
다) 북한의 관점 171
3) 북방한계선의 각 견해에 대한 반론 173
가) NLL을 남북한 간의 사실상의 해상경계선으로 보는 견해에 대한 반대 논거 173
나) NLL을 남북한 간의 잠정적인 해상경계선으로 보는 견해에 대한 반대 논거 174
다) NLL은 남북 간의 해상경계선이 될 수 없다는 견해에 대한 반대논거 175
라) NLL에 대한 북한의 주장에 대한 반대 논거 175
2. 남북한 간 해운협력 176
가. 서 176
나. 북한의 해운 현황과 관련법제 178
1) 북한의 해운관련 법제 178
가) 법령 178
나) 제도 179
2) 해운 현황 180
다. 남북한 간 해운협력 방안 182
1) 남북 해운합의서 및 부속합의서 182
가) 체결배경과 내용 183
나) 이행과정과 해결해야할 문제 185
2) 남북한 간 해운협력 현황 186
3) 해운협력 현안문제 188
4) 해운협력 방안 189
3. 남북한 간 수산협력 191
가. 수산 문제의 배경과 협력의 필요성 191
나. 북한의 수산업 현황과 문제점 및 관련법제 196
1) 북한의 수산업 관련법제 196
가) 법령 196
나) 제도 197
2) 수산업 현황 198
3) 수산업 문제점 205
다. 남북한 간 어업경계선 206
라. 남북한 간 수산협력 방안 208
1) 남북한 간 수산물교역 현황 208
2) 수산협력의 필요성 209
3) 수산협력을 위한 지향점 210
4) 수산협력 방안 212
4. 북한의 국경 및 해양경계획정과 관련한 조약의 승계 문제 214
5. 독 도 218
가. 독도에 대한 북한의 입장과 연구 동향 218
나. 북한 문헌의 내용 219
제6장 북한의 입장에 관한 분석 및 평가 227
1. 영해 제도 227
2. 배타적 경제수역 제도 235
3. 군사경계수역 제도 239
4. 대륙붕 제도 243
제7장 결론 246
참고문헌 256
ABSTRACT 339"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