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韓國政治勢力과 南北關係發展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on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terms of domestic political factions in South Korea

상세내역
저자 梁立昌
학위 박사
소속학교 高麗大學校
전공 北韓學科
발행연도 2011년
쪽수 293 p
지도교수 柳浩烈
키워드 #보수정치세력   #진보정치세력   #남북관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많다. 그 중에 제일 중요한 것은 한국정치세력의 정치이념이다. 한반도의 분단과 함께 한국은 자유민주주의에 입각하여 건국되었다. 單政된 대한민국은 분단을 극복하여 민족통일을 완수하기 위하여 민족주의기본가치에 입각하여 북한과의 체제경쟁을 벌였다.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는 근본적으로 국내계급관계와 계층관계를 반영하지 않았다. 산업화 단계 이전에 국내계층의 미분화는 일본식민지통치와 한국전쟁을 거쳐서 성장한 국가기구에 의한 권위주의정치가 등장하게 하는 조건이 되었다. 산업화 과정에서 성장한 노동세력과 민주화 과정에서 성장한 시민세력은 실질적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탈냉전 세계화의 역사적 변동과 함께 자본의 논리에 의한 신 자유주의가 등장하면서 실질적인 민주주의의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이에 비해 한국의 민족주의는 처음부터 냉전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아 자유민주주의와 같이 좌절을 당하였다. 이른바 반공주의라는 논리에 따라서 민족통일을 시도하여 왔다. 반공주의는 한국 보수정치세력에게 권위주의체제를 강화하여 분단체제를 유지하는 최고의 가치가 되었다. 민주화와 탈냉전 세계화로 인해 민주주의와 민족주의를 포함한 반공주의는 더 이상 시대의 흐름과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자유민주주의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서 다시 부상하면서 민족주의는 종속적 이데올로기로서 더욱 약화되었다. 통일의 당위성과 북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둘러싸고 한국 정치세력 간에 남남갈등이라는 정치균열이 일어나고 있다.
남북관계는 한국 통치정치세력에 의해 발전하여 왔다. 냉전기간 동안 한국 보수통치세력은 單政과 전쟁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사회정치변동을 거쳐서 한국정치발전을 주도하여 왔다. 단독정부 수립 이후 한국은 자유민주주의헌법에 의한 대통령중심제 정치권력구조를 채택하였다. 제1 2공화국의 정책과 행위는 남북관계발전사의 폐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5.16군사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군부세력은 권위주의정치체제를 더욱 강화하여 유신체제를 수립하였다. 군부의 장기 집권이 민주화 이후에도 한국정치와 남북관계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쳐왔다. 안보의 이름으로 분단체제를 유지하면서 국가중심주의 권위주의의 모습을 나타냈다. 남북관계는 긴장과 대결을 겪었으며 마침내 민주화의 바람과 탈냉전의 급류가 다가왔고 그 동안 산업화 과정에서 성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대북정책을 수정하여 제도통일을 적극적으로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북한 핵문제 대두의 중요배경이자 계기였다. 민주화 운동과정에서 등장한 정치인 김대중과 노무현 대통령이 사회 정치 경제개혁을 단행하면서 화해와 협력을 기조로 한 대북포용정책을 제시하여 일관되게 추진하였다. 남북관계는 이에 따라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통해 3대 경협사업을 비롯한 가시적인 큰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체제안정을 우려한 북한정권이 미국의 강경책에 대한 반발조치를 취하면서 2002년 제2차 핵위기가 발발하였다. 이는 남북관계발전의 장애물이 되었고 남북관계는 외부적인 규정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되었다. 6자회담의 진전에 따라서 북한 비핵화 진정이 가식적 성과를 보이자 노무현 대통령이 2차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관계를 발전시키는 계기를 다시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신보수정부는 북핵을 이유로 북한의 비핵화를 남북관계개선의 전제로 삼으면서 남북한 간에 갈등과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위기 와중에 있는 남북관계는 세계화라는 오늘날에 더 이상 한민족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번영의 한 부분으로 국제문제의 성격을 지니게 되어 있다. 민족통일을 지향하는 남북관계는 분단체제라는 구조 하에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기 쉽지 않다. 특히 안보지향적 대북정책은 북한과의 모순을 격화하여 남북관계를 경색시키고 있다. 남북관계의 발전 역사를 돌아보면 남북갈등이 항상 외부의 영향을 받고 발전하여왔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가 있다. 본 논문은 외부기제의 규정 하에 남북관계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였다. 첫째 강대국규제하의 남북관계는 안정성이 떨어지고 남북체제경쟁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 쉽다. G2의 영향하에 중미관계의 대립적 성격을 감안하면 한미공조에 의한 대북강경책은 갈등과 충돌을 초래하게 마련이고 한반도정세를 복잡화시키고 남북관계의 국제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둘째 지역협력기제는 남북관계발전에 있어 북핵문제를 관리하는 도구로서 한반도의 평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북미 남북간의 근본적 모순을 극복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6자회담을 축으로 한 지역기제는 무용지물(無用之物)이 돼버릴 위험성이 있다. 이해 당사국이 정책을 조정함으로써 지역 기제를 유지하면서 지역안보체제를 정비하면 남북관계는 안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고 남북한에 화해와 협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유엔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남북관계의 정상화를 시도하고 있다. 유엔이 냉전시기의 도구성격을 버리고 세계평화유지기구로서의 이미지가 부상하였다. 남북관계는 법적 특수성격에 기반을 두고 남북갈등 양상을 항상 보여왔다. 근본적으로 보면 주로 체제경쟁을 목적으로 한 헌법을 비롯한 법이 남북관계발전을 제한하고 있다. 그래서 남북한이 새로운 시대의 민족주의를 재개발하여 국제규범에 의해 각각 현실성을 결여한 국내법을 재정비함으로써 남북정상관계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2 연구범위와 연구내용 6
제2절 연구방법과 분석틀 9
제3절 기존연구검토 및 연구의의 12
1 이념적 접근 12
2 정책적 접근 15
3 관계사적 접근 18
4 체계론적 접근 20
5 연구의 의미 21
제2장 한국 정치세력의 정치이념과 정치통치 24
제1절 한국의 정치이념 24
1 이데올로기 논의 24
2 한국의 정치이념 27
3 한국의 보수(Conservatism)와 진보(Progressivism) 30
제2절 한국의 정치세력 33
1 정치세력 33
2 한국의 보수세력 36
3 한국의 진보세력 38
제3절 한국의 정치권력 41
1 정치권력에 대한 이해 41
2 한국의 정치권력운영체제 45
3 한국의 정치권력통치형태 48
제3장 남북관계와 통일문제에 대한 분석 52
제1절 남북관계를 보는 시각 52
1 남북관계의 법적 성격 52
2 국제관계에 대한 논의 59
vi
3 남북관계를 보는 시각 60
제2절 남북관계에 관한 측면분석 64
1 남북관계의 추진수단: 대북정책 64
2 남북관계의 발전과정: 역사변천 68
3 남북관계의 발전목표: 민족통일 73
제3절 통일문제에 관한 요소분석 78
1 정치세력의 통일철학 (표33 정치세력의 통일철학유형) 78
2 한국정부의 통일비전 82
3 한국국민의 통일의지 86
제4장 보수통치세력시기의 남북관계 94
제1절 한국의 보수통치체제 94
1 보수통치세력의 통치이념 94
2 보수통치세력의 권력통치 98
3 보수통치세력의 정치통제 103
제2절 안보우선론에 의한 보수적 대북정책 107
1 체제안보 107
2 군사안보 112
3 경제안보 116
제3절 남북관계의 발전І: 대결과 대화의 역사 119
1 대화 없는 대결관계 119
2 대화 있는 대결관계 124
3 성과: 주요남북합의문건 129
제5장 진보세력통치시기의 남북관계 134
제1절 진보통치체제 134
1 진보세력의 정치이념 134
2 진보세력의 정치권력 140
3 남남갈등의 발발 143
제2절 협력우선론에 의한 진보적 대북정책 148
1 김대중정부의 햇볕정책 148
2 노무현 정부의 평화번영정책 153
vii
3 진보세력 대북포용정책의 비교 158
제3절 남북관계발전Ⅱ: 협력과 갈등의 역사 164
1 남북협력관계의 발전 164
2 남북갈등관계의 계속 167
3 남북관계발전의 성과와 향후과제 171
제6장 이명박신보수 정부시기의 남북관계 178
제1절 이명박신보수 통치체제 178
1 이명박정부의 실용주의 정치이념 178
2 이명박정부의 정치권력 183
3 남남갈등의 심화 186
제2절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 189
1 대북정책추진의 배경 189
2 대북정책의 목표·원칙·과제(표61) 190
3 대북정책의 추진전략 193
4 정책에 대한 평가 196
제3절 남북관계의 발전Ⅲ: 대립과 위기 200
1 남북관계의 대립(2008) 200
2 남북관계의 위기(20092010) 203
3 남북관계평가의 제언 209
제7장 세계화 시대의 한반도통일 212
제1절 세계화 시대의 한국의 통일이념 212
1 한국 민족주의의 성격 212
2 세계화와 민족주의 214
3 민족주의에 대한 찬반양론 217
4 새로운 통일이념정립 219
제2절 세계화 시대의 한국의 통일경로 222
1 통일방안에 대한 반성 222
2 새로운 통일방향 설계 227
3 제3의 통일모델 선택 232
제3절 세계화 시대의 남북관계 비전 237
viii
1 강대국과의 동맹전략에 의한 남북관계비전 237
2 지역정체성구축에 의한 남북관계비전 240
3 글로벌 거버넌스에 의한 남북관계비전 242
제8장 결론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