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8
제2장 북한 체제변동에 관한 이론적 접근 17
제1절 체제변동에 관한 일반적 개념 17
1. 분석개념으로서의 체계 17
2. 분석 수준으로서의 북한체제 20
3. 북한 체제변동의 의미와 수준 23
제2절 북한 체제변동 관련 이론적 접근 29
1. 사회주의 체제변동 이론 검토 29
2. 북한 체제변동에 대한 기존 담론 검토 33
3. 대안적 접근 이론 및 방법 38
제3절 북한 체제변동 가설 및 분석틀 52
1. 이론적 접근 결과에 따른 가설 52
2. 북한 체제변동 규명을 위한 분석틀 54
제3장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변동 사례 분석 57
제1절 유형별 체제변동 과정 및 요인 분석 57
1. 권력분열형(A): 위로부터 급진적 ‘체제의 변동’ 57
2. 당-국가주도형(B): 위로부터 점진적 ‘체제내 변동’ 61
3. 폭력형(C1): 아래로부터 급진적 ‘체제의 변동’ 67
4. 이탈형(C2): 아래로부터 급진적 ‘체제의 변동’ 69
5. 타협형(D): 아래로부터 급진적 ‘체제의 변동’ 72
6. 칠튼의 체제변동 유형 분류 74
제2절 주요구조-행위자 중심 사례 분석 76
1. 리더십․정치권력구조 76
2. 경제구조 78
3. 이념․사회․통제구조 80
4. 대외구조 81
5. 역사적 유제 84
제3절 북한체제변동에 주는 시사점 86
1. 북한 체제변동에 주는 함의 86
2. 체제변동 사례와 북한체제와의 차이점 및 유사점 90
제4장 북한 체제의 안정성 및 변동가능성 진단 95
제1절 북한 체제의 주요구조-행위자 분석 95
1. 북한 체제의 주요구조 분석 95
2. 북한 체제의 성격과 구조적 특징 124
3. 김정일의 리더십과 통치방식 131
제2절 북한 체제의 안정성 진단 140
1. 리더십․정치권력구조 140
2. 경제구조 142
3. 사회․통제구조 143
4. 이념구조 145
5. 남북․대외구조 146
6. 역사적 유제 및 지리적 조건 150
7. 소결론 151
제3절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 진단 152
1. 리더십․정치권력구조 152
2. 경제구조 156
3. 사회․통제구조 158
4. 이념구조 159
5. 남북․대외구조 162
6. 소결론 163
제4절 북한 체제의 안정성 및 변동 진단 지표 166
1. 북한 체제의 안정 및 불안정 요인 166
2. 기존 연구 산물 평가 및 활용 170
3. 북한 체제의 안정성 및 변동 진단 지표․지수 182
제5장 북한 체제변동 전망과 대비전략 192
제1절 북한의 체제변동 전망 192
1. 북한의 체제변동 전망 192
2. 북한 급변사태 전망 200
제2절 북한 체제변동 대비전략 및 정책적 제안 206
1. 북한 체제변동 대비전략 206
2. 정책적 제안 211
제6장 결론 222
참고문헌 227
Abstract 239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