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을 위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other-child interaction program to enhanc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상세내역
저자 정옥환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전공 아동학과
발행연도 2006년
쪽수 139p.
지도교수 .
키워드 #아동   #북한이탈   #심리적 적응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가족을 동반하여 남한에서 정착하는 북한이탈주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입국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제도적·사회적·경제적·사회복지측면의 지원 프로그램은 이미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실행되고 있으나 아직 심리적 지원체제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아동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지원프로그램은 전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당면한 우리의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기술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부모-자녀관계와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유형이 아동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Rayfield Eyeberg, 1999 송영혜 외, 2001). 이에 따라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기술 훈련과 어머니에게 자녀 양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아동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5회기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기술훈련과 5회기의 부모교육을 통하여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명의 북한이탈가정 아동과 그 어머니 5명으로 이들에게 심리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10회기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참여 어머니와 아동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Wilcoxon T-test를 실시했으며,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의 프로그램 전·중·후 변화결과는 Friedman 검증과 행동관찰을 통한 분석을 하였다. 또한 각 사례별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어머니의 아동 양육스트레스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아동행동에 대한 수용요인과 요구요인이 가장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 양육에서 갖는 과잉기대로 느끼던 스트레스가 아동의 연령과 발달단계에 적절한 기대를 함으로서 양육에서 느끼는 스트레스가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참여아동은 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 및 환경에 대한 지각에서 현저한 상승을 보였으며, 이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경험과 어머니가 자신에게 보여주는 관심과 애정의 표현, 그리고 어머니가 아동의 상황에 대한 이해를 표현함으로써 아동의 자아에 대한 지각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의 수준과 질에 대해 프로그램 실시 전·중·후로 비교한 결과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의 수준과 질이 증가하였다.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기술 훈련을 통해 첫째, 어머니가 아동과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아동의 발달수준과 정서상태에 적절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어머니가 아동의 활동에서 안전한 경계선을 설정하고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아동과 상호작용 하는 기술을 습득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아동에게 따뜻하고 편안한 양육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아동의 자아 및 환경에 대한 지각과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북한을 이탈하여 급격한 상황변화에 따른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을 위한 심리적 적응증진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형제자매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 후속연구와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다양한 배경에 따른 세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mother-child interaction that promotes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order to enhanc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Marschak Interaction Method (MIM), a training program for mother-child interaction, was applied 5 sessions and parent education program to give mothers information about parenting was also applied 5 session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s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study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ilcoxon t-test was conducted. Chang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other-child interaction program were analyzed using Friedman test and behavioral observation. The details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each cas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stress that mothers experienced in child rearing declin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acceptance factor and the demand factor regarding the child's behavior declined most significantly.

The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self and of their environment. This shows that the self-perception of children was enhanced through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the expression of interest and affection showed to them by their mothers,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understanding by their mothers regarding the situation facing the children.

The results of comparisons of before, during and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concerning the level and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onfirmed that the level and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improved. Through this training program in mother-child interaction, the following outcomes were achieved. First, mothers played an active role in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and their ability to engage in appropriate interactions suitable to the developmental leve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children was improved. Second, mothers were able to designate safe boundaries to the children's activities and acquire skills for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in a predictable manner. Third, mothers were able to provide warm and secure nurturing to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 began to gain confidence in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In conclusio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reduced child rearing stress on the mothers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self and of their environment and on mother-child interaction as wel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y developing a program for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it illustrated a model for psychological adjustment enhancement program for children facing psychological adjustment difficulties as a result of having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having undergon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e development of diverse programs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ollow-up studies that can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fathers and that can include sibling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more detailed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the diverse backgrounds of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also required.
목차
논문개요 ⅰ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6

Ⅱ. 이론적 배경 17

1.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 17

2. 이주민들의 급격한 상황변화와 심리적 적응 21

3. 아동의 심리적 적응과 자아지각 24

4.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27

5. 부모 교육 37

1) 부모교육의 개념 37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39

3)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부모교육의 관련성 41

Ⅲ. 심리적 적응증진 프로그램 개발 43

1.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기술훈련 프로그램 43

1)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 43

2) 프로그램의 목표 46

3) 프로그램의 내용 46

4) 프로그램의 운영방법 49

2. 부모교육 프로그램 55

1)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 55

2) 프로그램의 목표 57

3) 프로그램의 내용 58

4) 프로그램의 운영방법 60

Ⅳ. 연구방법 66

1. 연구대상 66

2. 연구도구 67

1) 문장완성검사 68

2) 부모 양육스트레스 목록표 69

3) Marschak 부모-자녀 상호작용 관찰평가 69

4) Marschak 부모-자녀 상호작용 행동평정 척도 70

5)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70

3. 연구절차 71

1) 예비조사 71

2) 프로그램 실시 71

3) 평가절차 75

4. 자료처리 76

Ⅴ. 연구결과 77

1. 어머니의 양육태도 변화 분석 77

1) 양육스트레스 척도 분석 77

2)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하위요인 점수 분석 78

2. 아동의 자아 및 환경지각에 대한 분석 79

3.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분석 82

1)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Marschak 행동평정 척도 분석 83

2)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사례별 분석 86

3)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행동의 전반적 특징 기술 91

4.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98

Ⅵ. 논의 및 결론 100

1. 논의 100

2. 결론 108

참고문헌 114

부록 126

부록 1. 아동용 문장완성검사 127

부록 2. 부모 양육스트레스 목록표 128

부록 3. Marschak 행동평정척도 133

부록 4.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어머니 평가 (폐쇄형 질문) 135

부록 5.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어머니 평가 (개방형 질문) 136

ABSTRACT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