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연구 : 소수자의 관점에서

"Social ex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from the viewpoint of a minority group

상세내역
저자 류지웅,Ryoo, Ji Woong
학위 박사
소속학교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전공 社會·民俗專攻
발행연도 2006년
쪽수 186 p.
지도교수 김경일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사회적 배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남북의 분단 상황에서 남과 북은 다양한 동기에서 자신이 속한 체제와 사회를 떠나 상대방의 체제와 사회에서 새로운 삶을 선택한 사람들의 역사를 갖고 있다. 남한사회에서 이들은 초기에는 ‘귀순자’라는 이름으로, 북한의 식량난 이후에는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등으로, 최근에는 ‘새터민’이라는 호칭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오늘날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에서 새로운 소수집단으로서 존재한다. 북한이탈주민은 수적으로 소수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힘의 열세에 놓여 다수자로부터 차별적인 대우를 경험하는 집단이라는 의미에서 소수자이다. 남한사회의 소수자로서 존재하는 북한이탈주민에게 최근 유럽사회의 빈곤계층에게 적용된 사회적 배제 논의를 시도하는 것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 논문은 소수자로서 존재하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의 형태를 논의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소수집단으로 존재하는 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 정착에 필요한 자원으로서, 부르디외(P.Bourdieu)가 개념화한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부재와 비효용성의 현실에 놓여 있다. 이러한 현실은 북한이탈주민이 소수집단으로 존재하는 내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적 차원에서 남북한의 대립관계에서 형성된 적대적 반북·반공이데올로기와 사회적 낙인은 북한이 탈주민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가져온다. 편견과 차별의 기제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소수집단으로 존재하는 외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남한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존재형태는 북한에서 보유해 온 인구학적·사회경제적 특성과 남한사회에서 새롭게 부여받은 소수집단으로서의 특성으로써 파악된다. 최근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은 가족단위 탈북이 늘어나면서 비경제활동인구의 비중이 늘어나고, 식량난의 피해가 컸던 함경도 지역 출신이 크게 늘어나며, 북한에서 노동자·농장원 직업 출신의 비중이 높아지고, 고등중학교 졸업 이하 학력을 가진 북한이탈주민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한편,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의 새로운 소수집단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소수집단의 일반적 특성인 ‘식별가능성’, ‘권력의 열세’, ‘차별적인 대우’, ‘소수집단성원으로서의 집단의식’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장애인, 성적 소수자, 외국인 노동자와 함께 한국 사회의 소수집단의 하나로서 등장하고 있다. 다른 소수집단과 비교할 때, 북한이탈주민은 남북한의 대립관계에서 형성된 반북·반공의 이데올로기가 북한이탈주민 소수집단의 형성과 차별의 과정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과 정부로부터 적극적인 지원과 보호의 대상으로서 존재한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갖는다.

남한사회에서 소수집단으로 존재하는 북한이탈주민은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과 보호’의 기제와 사회적 차원에서의 ‘차별과 배제’의 기제의 영향을 받는다. 정부는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내의 다른 소수집단과 구별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와 제도적 지원을 제공하지만, 사회적 차원에서 남한사회는 북한이탈주민 외 집단을 향한 ‘차별과 배제’의 기제를 작동한다. 북한이탈주민은 정부로부터의 ‘보호와 지원’, 사회적 차원에서의 ‘차별과 배제’라는 모순적 상황에 놓여 있다.

소수집단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에서 다차원적이고 축적적인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다.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는 크게 노동시장으로부터의 배제, 경제적 배제, 사회적 고립에 의한 배제, 공간적 배제, 제도적 배제의 형태를 띤다. 북한이탈주민의 대다수는 실업과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놓여 있으면서 노동시장으로부터 배제되어 있으며, 그 대다 수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서 남한사회의 빈곤계층으로서 존재한다. 빈곤계층으로서 생계를 국가의 사회복지혜택에 의존하고 있는 것은 경제적 배제의 현실을 보여준다. 실업과 불안정 고용, 빈곤에 놓여 있는 북한이탈주민은 그들을 외집단으로서 구별하고 범주화하는, 남한사회의 ‘편견과 차별’의 기제 속에서 사회적 고립에 의한 배제를 경험한다. 거주공간에서는 제도적으로 임대아파트 우선 공급제도를 통해 다른 소수집단과 구별되는 지원 혜택을 받고 있으나, 지역사회 내의 빈곤계층 거주지에 속해 있으면서 주거지 격리를 통한 공간적 배제를 경험한다. 제도적 교육공간에서도 북한이탈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지원이 이뤄지고 있으나, 학력과 나이 차이로 또래집단과 어울리지 못하는 북한이탈아동과 청소년들이 교육공간에 진입하기를 포기하거나 중도에 이탈하고, 사회일탈 집단이 되는 경향을 보인다. 북한이탈주민에게서 나타나는 사회적 배제의 제 형태들은 각각의 배제의 형태를 강화하면서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남한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는 남북한 사회통합의 난관을 예시한다. 남한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배제의 악순환의 중심고리를 이루고 있는 ‘노동시장으로부터의 배제’(곧, 실업)를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사회적 차원에서 작동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기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In its long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people who chose for various motivations a new life in a different system and society to the one they once knew in North and South Korea. South Korean society at first called these people gwisunja (defectors), talbukja or bukhan italjumin (both refer to North Korean defectors) after the food crisis in North Korea, and saeteomin(North Korean who settled in South Korea) recently.

Today, North Korean defectors exist as a new minority group in South Korean society. North Korean defectors are a minority not only in their number within the population but also in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owers, causing them to experience differential treatment under the absolute differential powers. A discourse on "social exclusion" of the poverty class in European societies can be applied to the North Korean defectors being a minority group in South Korean society. This implies a great deal. This thesis discusses a type of "social exclusion" that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as a minority group in South Korea.

There are two reasons for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a minority group in South Korea. At the individual level, North Korean defectors in practice lack effectiv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that is necessary for their settlement in South Korea, a concept formulated by P. Bourdieu. This reality is the internal factor that enforces North Korean defectors to live as minorities. At the social level, the antagonistic ideology and the social stigma against North Korea produce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North Korean defectors. This mechanism of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is the exogenous factor that causes North Korean defectors to stay as minoriti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type of exist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consists of two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demographical and socio-economic properties of North Korea and from being a minority group in South Korea. The recent defections show a trend of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more and more a family unit, with lower than high school o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mainly from Hamgyeong Province where there has been a great food crisis, ultimately increasing non-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Meanwhil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shared by other minority groups such as "identifiability," "differential powers," "differential treatment," and "collective consciousness of a minority group." Moreover, they appear similar to such minority groups as the disabled, sexual minority, and foreign workers. Compared to such other minority groups, however, North Korean defectors are unique in two respects: South Koreans’ hostile ideology against North Korea, a principal cause of the form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efectors, and the vigorous assistance and protection provid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orth Korean defectors are greatly influenced by both mechanisms of "assistance and protection"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 South Korean society. Whil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rovides institutional assistance in the form of "Affirmative Action," differentiating North Korean defectors from other minority groups by aiding them to successfully settle in South Korea, South Korean society offer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against the defectors. North Korean defectors face such a contradictory situation, i.e., one of "protection and assistance" of the government, and the other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the society.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such multi-dimensional and cumulative exclusion in South Korean society. The ‘Social Exclusion’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appears in five types of exclusions: exclusion from the labor market, economic exclusion, exclusion through social isolation, spatial exclusion, and institutional exclusion. The long-term unstable employment in South Korea shows that the defectors are excluded from the labor market, and the existence as a poor class in South Korea shows that they are economically excluded. The exclusion from the labor market brings economic exclusion. North Korean defectors suffering from unemployment, unstable employment, and poverty experience social isolation and breaking off of social relationship in the face of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categorizing and differentiating them as outsiders of South Korean society. North Korean defectors receive institutionally privileged assistance in living quarters in the form of priority over rent-apartments that is not provided to other minority groups. However, their standard of living is usually at the poverty level, and thus, they are spatially excluded as are other groups belonging to the poor class. While children and teens of defector families receive institutionally proactive assistance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y tend to avoid going after higher education or suspend and tend to collectively deviate from the social norms. Each type of exclusion that results in "social exclusion" forms a vicious circle of reinforcement for each other.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today shows that the two Koreas will face difficulties in future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resolve such "social exclusion," a great deal of effort is needed to prevent labor market exclusion (unemployment) and economic exclusion (poverty), and more fundamentally,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North Korean defectors must be eliminated in South Korean society.
목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