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中國의 對韓半島政策 : 韓半島 平和定着 過程에서 中國의 役割

China’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The Role of China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상세내역
저자 왕성
학위 박사
소속학교 高麗大學校 大學院
전공 政治外交學科
발행연도 2005년
쪽수 244p
지도교수 서진영
키워드 #왕성   #한반도 정책[韓半島政策]   #중국대외정책   #동북아전략   #평화외교정책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서진영 교수 지도 정치학박사 학위논문 초록

中國의 對韓半島政策
-韓半島 平和定着 過程에서 中國의 役割-

왕생 (정치외교학과 비교정치 전공)

한반도 평화정착과정은 한반도 평화통일과정의 하나의 단계이다. 즉, 남북의 화해와 협력, 북핵 문제의 해결 이후 북 · 미, 북 · 일간 관계개선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한반도 문제의 근원인 냉전구도가 해체되고, 평화통일에 이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하나의 계통공정(系統工程)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주변 강대국의 지지와 협조가 중요하며 특히, 역사적 ·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남북한 쌍방 모두와 정치 · 경제적으로 긴밀한 우호관계를 지니고 있는 중국이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여타 강대국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탈냉전기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이 어떻게 변화 있는가? 중국은 진정으로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바라는가? 그렇다면 중국은 어떤 역할을 해왔고 할 것인가?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정착과정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긍정적 역할로 평가할 것인지 부정적 역할로 평가할 것인지가?”라는 질문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논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을 중심으로 사례연구 분석방법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반도 평화정착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을 규명하려는 작업이다. 한반도 평화정착과정에서의 중국의 역할을 논할 때 본 연구는 주로 다섯 가지 분석수준(level of analysis) 틀에서 논의하였다. 첫째는 중국과 한반도 역사적 경험이고 둘째는 중국의 대외정책에서 대한반도정책의 차지하는 위상 및 대한반도 전략목표이며 셋째는 중국과 한반도문제를 둘러 싼 주변강대국의 관계이며 넷째는 냉전 종식 이후 중국의 대한반도정책변화와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역할이며 다섯째는 중국의 부흥과 발전이 한반도 평화정착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나아가서 평화적 통일이 중국의 국익에 이롭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탈냉전기 세계질서의 재편과 동북아 정세변화를 고려할 때 책임국가로서의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정착과정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고, 사례연구에서 확인하였듯이 한반도 평화정착과정에서 부정적인 역할보다는 긍정적이고 이로운(favorable) 역할을 모색하였다는 것을 본 연구는 보여주고 있다. 이런 본 연구의 주장을 바탕으로 향후 한반도의 평화정착은 중국의 번영과 발전에 이로울 것이며, 중국의 부흥은 한반도 평화정착에 이로운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추론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목차
〔〔目〔目 次次〕次〕
第1章 緖 論
第1節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第2節 연구의 대상 및 범위
第3節 연구방법 및 구성
第2章 중국과 한반도 역사적 관계
第1節 한말 일제강점기 한반도와 중국
第2節 한국 전쟁기 한반도와 중국
第3節 한중 수교 이전의 남북한과 중국
第4節 소결
第3章 중국 대외정책의 기본방향
第1節 중국 세계적 전략목표와 평화외교정책
1. 중국 세계적 전략목표
2.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요인
3. 중국 평화외교정책 원칙
第2節 중국 동북아 전략목표와 선린외교정책
1. 국제정세 변화와 동북아 신질서
2. 동북아 전략목표와 선린외교정책
3. 중 미 관계 및 대만문제와 한반도
第4章 중국의 대한반도 전략목표와 정책 변화
第1節 중국의 대한반도 전략적 목표
1. 한반도 정세의 평화 안정 기조 유지
2. 남북한에 대한 균형정책 추구
3. 한반도 비핵화 추구
第2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변화과정
1. 균형 외교기 중국 대남북한 정책
2. 강대국 외교기 중국의 한반도정책 신 추세
第3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전략
1. 한반도 통일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
2. 한반도 점진적 평화 통일과정 지지
3. 중국의 부흥과 한반도 평화정착
第5章 한반도 문제와 중국의 역할: 사례연구
第1節 남북한은 유엔 동시가입 및 한중수교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
第2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중국의 역할
第3節 남북정상회담과 중국의 역할
第4節 북핵문제 해결과정에서 중국의 역할
1. 제1차 북핵 위기 평화해결과 중국의 건설적 주장
2. 3자회담과 중국의 ??주연??적 역할
3. 6자회담 개최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 중재자 역할
4.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중국의 중재 노력
第6章 結論
參考文獻
論文摘要(中文)
設問紙
〔표 목차〕【표2-1】한국 전쟁시 중국의 총 파견병력 현황
【표2-2】한국 전쟁중 중국지원군의 인명 손실 추계
【표4-1】한중, 북 중 고층방문현황(.
【표4-2】중국 대북한 원조 추세(1997-2002)
【표4-3】북 중 무역교류현황(-
【표4-4】북 중 군사교류현황()
【표4-5】북 중 주요 인사교류현황()
【표4-6】한국 대중국 투자 추세(1998-2003)
【표4-7】중국 대한국 투자 추세(1999-2003)
【표4-8】한중 교역현황(2000-2004)
【표6-1】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중국의 역할 전망
〔그림 목차〕〔그림 1-1〕가설의 도식
〔그림 1-2〕연구 체제 要圖
【그림3-1】중국 외교정책 결정 국내요인: 하나의 중심 두개의 기본점
〔그림4-1〕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