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는 정책에 의해 획일화된 문화가 전개되고 있으며, 문예물은 “사람들을 참된 삶의 길로 이끌어주는 생활의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문예정책의 기저에는 주체사상에 입각한 문예이론이 있다. 따라서 구비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인민성을 강조하는 북한으로서는 인민들에 의해 생산되고 전개되는 구비문학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구비문학 장르 중 특히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은 민요와 설화이다. 하지만 인민의 장르라고 하더라도 당에서 마련한 지침에 합당하지 않으면 개조하여 실현했다. 그런가 하면 새로운 민요나 설화를 만들어서 실현하기도 했는데, 그럴 수 있는 근거로 구비문학의 ‘가변성’(개변성)을 들었다. 시대에 따라 새로운 노래나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시대에 맞추어서 노래나 이야기가 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남한에서는 쉽게 들을 수 없는 노래나 이야기가 존재하고, 때로는 원작 의식이 강한 노래(신민요)마저도 새로운 느낌의 노랫말로 불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북한의 민요에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까이 두고 사는 인민들의 긍지와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행복한 생활을 주제로 한 것이 전체 민요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그리고 북한에서는 민요 중 통속민요를 활용하여 개작하는 경우가 잦은데, 통속민요는 첫째, 전국적 단위의 노래라는 점 둘째,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널리 알려진 노래라는 점 셋째, 정서적으로 밝고 경쾌한 것이라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북한에서는 주제적으로, 정서적으로 밝고 경쾌한 것을 선택하고, 특히 통속민요를 통해서 이러한 점을 실현하려고 한다. 그런데 생활에서 오는 기쁨, 자연에서 오는 기쁨을 노래한 정서는 신민요와 맥이 통하는 것이다. 국토예찬과 명승감상에서 오는 기쁨을 노래한 것과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을 회상하는 것 등은 신민요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는 민요를 신민요적 정서로 받아들여 이를 전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 민요는 국가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구현되고 있다. 북한 당국에 의해 실제로 민요가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한 당국이 각 시대마다 추구하는 이념은 민요를 통해서 전달하고 있으며, 그럼으로써 인민을 북한 당국이 요구하는 인간형으로 만들고자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요 중에서 특히 통속민요를 활용하는 예가 높듯이, 설화 중에서도 특히 활용이 높은 장르가 있는데, 전설이다. 북한에서 전설을 특히 비중 있게 다루는 것은 전설의 ‘진실성’ 때문이다. 진실성은 증거를 통해서 확보할 수 있는데, 이야기의 증거란 다름 아닌 ‘꾸며낸 이야기’가 아닌 ‘진짜 있었던 이야기’로 인식하도록 만들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전설은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에 기초해서 인민의 염원에 의해 보태고 다듬어져서 구성된 것이라는 점을 인식시킴으로써, 이야기 자체에 의문을 제시하거나 문제제기를 하지 못하도록 만든 것 같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설을 교양하도록 한 것은 “전설에는 인민들의 지향이 반영되어 있고, 시대현실, 역사, 풍속 등을 알게 하여 사람들을 박식하게 하고, 민족문화유산의 풍부성을 인식시켜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은 민족 구성원이라면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 것인데, 굳이 교양 학습을 하면서까지 과업을 달성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군 이야기는 수도 평양의 입지적 정통성을, 명승지나 명산 관련 인물의 이야기는 북한 땅의 입지적 정통성을 각각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김일성 부자의 이야기는 국가권력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은 다름 아닌 입지적 정통성과 국가권력의 정통성에서 비롯된 긍지와 자부심이었던 것이다.
인민들에게 입지적 정통성과 국가권력의 정통성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교양 학습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은 궁극적으로, 국가적 권위이다. 그런데, 한 국가의 권위를 세우는 데 핵심적 구실을 했던 것은 설화 중, 신화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 선택한 이들 이야기들은 신화적 지향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신화로 인정하게 되면, 전적으로 ‘꾸며낸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확실한 유형의 증거물을 가지고 있는 전설로 다루고 있을 뿐, 전설을 통해서 얻고자 했던 것은 신화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입지적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연물을 숭배하도록 하고, 국가권력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권력자를 숭배하도록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신화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구비문학 장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북한만의 문제는 아니다. 고대 건국 신화, 신화의 양식을 가지고 있는 <용비어천가> 등의 악장, 1970년대의 민중극, 탈춤, 민중가요 속의 민요 등도 정치적으로 도구화 한 예이다. 이들 장르들은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국신화나 북한의 구비문학은 국가주의적인 시각에서, 민중극.탈춤.민중가요 등은 민중주의적인 시각에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은 서로 다르다.
민중적인 차원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한 것은 열린 구조이며, 즉흥성을 지닌 장르라는 점 때문에 선택되었다. 열린 구조와 즉흥성은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서로 나눔으로써 정부에 대한 저항의식을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민중의식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민중 운동의 장에서 구비문학을 활용하는 것은 바로 민중의식을 제고하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 요컨대, 이념의 상향 전달 구조일 때는 민중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구비문학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활용한 구비문학에서는 민중성을 찾을 수 없다. 북한에서는 인민의 장르라는 점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했지만, 정작 민중의식은 없다. 그 자리에는 북한 당국이 추구하는 이념이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이념의 하향 전달의 구조일 때는 민중성을 제거함으로써 구비문학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한 것은 국민이 잘 아는 장르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쉽게 이념을 전달하고자 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요가 언제 어디서나 부르기 쉽기 때문에 당의 지도이념을 전달하는 것 또한 쉬울 것이라는 장르적 인식 때문에 선택한 것이 그 한 예이다.
구비문학을 정치적으로 도구화하는 것은 북한만의 특수한 사항이 아니다. 문화사 전반에 있어 구비문학의 이념적 활용은 계속되어 왔다. 다만, 고대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민중적인 차원에서 각각 활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고대의 구비문학 활용 시각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구비문학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North Korea has implemented the policy on literature and art that was designed to build the revolution through works of art. They were focused on the Juche-oriented idea of literature and art. Juche is the official government-sponsored ideology of North Korea and consists of two fundamental ideas: that the proletarian revolution belongs to the people, and that the people have a single ethnicity. So, North Korea made use of traditional folk art as a tool of revolution and education.
Among traditional folk art, folk songs (called minyo) and folk tales were often preferred but often revised according to the policies of North Korea. Likewise, they created the new songs and tales based on their guidelines, while they stressed that it was natural that the contents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This became the reason why the lyrics of Sin-minyo, which was based on the original work, could be easily converted into the new and innovative words.
First of all, North Korea has been spreading emotionally bright and cheerful folk songs. They, however, had to be customized by the intent of the communist party. Sometimes, their titles or partial lyrics were converted into the styles later sanctioned by the communist. Accordingly, the themes of folk songs mostly consist of the North Korean peoples pride on living in beautiful nature and their happiness of the present society.
North Korea often made use of the revised Tongsok-minyo among folk songs, which was sung by all the people, and was easy to sing and spread, and emotionally bright and cheerful. This Tongsok-minyo contains a little the character of Sin-minyo, which was based on history in particular, in particular the admiration of nature and history of Korea. North Korea intends to convey their political ideology North Korean people through folk songs, and to create those who will be prototypes and models they desire.
Furthermore, one of the most useful genres as their political tools is the folk tale, especially legendary tale. The legendary tales have mostly been used as an instrument for inculcation Juche ideology and justifying their political power because they hav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bility to persuade North Korean people to allow their authority. North Korea can form the validity from their people by making the utmost of the legendary tales. Their people will follow the divines of the legendary objects, and they are subject to believe North Korean political authority as part of the legend. In other words, North Korea used the effects of the legendary tale focused on the national authority by showing the material evidence, so-called legendary objects. Their people should believe that their political revolution and power was right and fair, and worship the founder of a nation, according to the succession of a legendary tale.
Former nations as well as North Korea used the myth or legend to justify their foundation of Nations. For example, the birth-myth of a nation gives people the belief and trust by decorating the founders outstanding talents, or emphasizes the succession of the royalty by connecting the previous nations. Other birth-myths related to founders such as Gyeon-hwun, Gung-ye of the Three Kingdom era, and Wang-gun of the Goryo dynasty also had the same function as any other myth. As well, movements of music such as Yongbiuchunga or Sindoga were used in order to certify the foundation of a nation. In the 1970, there were folk plays, mask dances, and folk popular songs. For example, Jinoguigut, a folk play written by Kim Ji-ha, expressed the peoples interest in the social reality, while oral folk songs such as Sanoramyun, Tabakne, Jinju-nanbongga, Saeyasaeya, and Arirang were sung during the movement of democratization.
The birth-myth or North Korean traditional folk art was based on the national interest and tool, while folk dramas, mask dances and folk songs were used as methods to democratize the country. But all these traditional arts are focused on an ideology.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may adopt traditional folk art with the peoples idea and emotion because it has a factor that is very open to the pubic and that is easy to make and revise. The opened and extempore work played an important role because people could collect their opinions and express their resistance against their current government. Traditional folk art can make the people strengthen their ideology. That is, in order to convey an ideology, traditional folk art should be revived, based on the public nature.
Meanwhile, traditional folk art is also regarded as a tool that shows national authority. It should be chosen with works all the people know well to inform the people of the ideology more easily. Especially folk songs are a good tool to teach the partys ideology because they are very easy to sing and learn.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