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목차 ⅰ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ⅴ 논문개요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방법 5 제2장 행정통합전략과 분석의 틀 7 제1절 행정통합전략 7 1. 행정통합이론 7 2. 남북한 통일환경과 수요 26 3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Korea's education on reunification

상세내역
저자 최선옥,심지연
학위 박사
소속학교 경남대학교 대학원
전공 정치외교학과 비교정치전공
발행연도 2005년
쪽수 180 p
지도교수 .
키워드 #최선옥   #심지연   #통일교육   #변천   #반공   #안보   #공동체   #Education on reunification   #transformation   #anti-communism   #security   #community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해방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는 기간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그에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결론은 국제적 요인, 국내적 요인, 남북관계 요인이 모두 통일교육을 변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각 시기마다 비중 있는 영향력을 발휘한 요인이 따로 존재했다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통일교육 변천의 유의미성에 따라 그 과정을 세 시기, 즉 반공 중심의 통일교육기.안보 중심의 통일교육기.공동체 중심의 통일교육기로 나누고 매 시기 통일교육의 변화와 시기의 전환에 미친 요인들을 분석했다.

먼저 「반공 중심의 통일교육시기(1948-1989년)」에는 국제적인 냉전체제 하에서 자유민주주의 이념의 정당성이 부각되고 공산주의 이념과 체제에 대한 한계와 모순을 비판하는 흑백논리식의 교육이 이루어졌다. 또 6공화국까지 이어진 권위주의 정부는 통일교육정책 결정과 실시를 모두 맡아 명실상부한 통일교육의 주체의 지위에 있었다. 1948년의 남북한의 제도적 분단과 1950년의 6.25전쟁, 그리고 전후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로 북한에 대한 호전성이 부각되고 적대감과 경계심 등 부정적인 감정에 호소하는 교육이 핵심을 이루었다.

「안보 중심의 통일교육시기(1990-1999년)」에는 탈냉전이라는 새로운 국제적 환경의 도래로 냉전시기의 체제.이념 경쟁이 무의미하게 되면서 공산주의에 대한 경계심은 갖되 통일의지를 조화시키려는 노력이 병행되어 나타났다. 또 ‘문민 정부’의 출현과 국내 민주화 확산으로 통일교육정책 결정에 있어 정부.민간 협의 방식과, 교육현장에서의 민간의 참여가 가능하게 되었다. 탈냉전 여파와 남북 경제적 격차에서 오는 자신감은 북한을 위협적인 존재이면서 같이 살아가야 할 동족으로 대하는 북한관을 확산시켰다.

「공동체 중심의 통일교육시기(2000-2004년 현재까지)」에는 부시 행정부의 출범(2001.1)과 제2차 북핵 사태(2002.10)로 미국의 대북 압박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정부의 대북 화해협력정책이 중단 없이 추진되었다. 국내에서는 민주주의가 공고화되어 여러 시민사회단체들이 출현하면서 통일교육의 주체가 정부로부터 민간단체들로 이전되었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발전지향적인 남북관계 추진으로 평화공존과 화해협력 시대에 부합하는 통일교육이 강화되면서 정부.민간 통일교육 협력체제가 구축되고 학습자 중심의 열린 통일교육과 학교.사회 통일교육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다.

시기별 통일교육의 변화를 분석한데 기초하여 본 연구의 핵심인 통일교육의 변천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반공 중심의 통일교육에서 안보 중심의 통일교육으로 전환되는데서 첫째, 냉전 해체라는 국제적 요인이 통일교육의 전환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안보 중심의 통일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수립하는데서 시민단체들의 요구가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의 민주화로 대표되는 국내적 요인도 통일교육 전환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1990년대 초 활발해진 남북대화가 탈냉전의 국제환경에 기인했던 만큼 남북관계 요인은 독자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다음 「안보 중심의 통일교육」에서 「공동체 중심의 통일교육」으로 전환하는데서, 첫째, 대립과 대결의 남북관계를 화해와 협력의 관계로 전환시킨 김대중 정부의 출현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국민의 정부’의 「대북3원칙」은 국내 보수집단의 반발을 무마시켰고, 남북 대화와 교류, 경제협력이 확대되면서 통일교육은 공동의식과 공동사고를 통한 민족공동체의 강화를 중요한 내용으로 삼았다. 둘째, ‘국민의 정부’에 이은 ‘참여 정부’의 민주주의 공고화는 통일교육을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전환시키는 계기로 되었다. 셋째, 미국의 대북 압박이 북한으로 하여금 남북대화와 교류에 나서도록 함으로써 남북한의 민족공동체 강화를 모티브로 제공했다는 점에서 국제적 요인도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의 신뢰수준과 한반도 주변 나라들의 역학관계, 그리고 장기적인 민족발전 전략 견지에서 볼 때 공동체 중심의 통일교육은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우리 민족만의 단결’을 강조한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민족공동체가 열린 무한경쟁시대의 민족 생존전략에 부합한지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진정한 남북화해와 조선반도의 평화, 그리고 민족의 번영을 위해서 향후 통일교육은 민족공동체 강화보다 인류보편가치를 추구하는 가치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outh Korea's education on reunification and the forces behind that have driven the change since Korea's liberation in August 1945.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transformation has been considerably influenced by specific factors as well as external, internal, and inter-Korean relations of given periods. It divided the transformation into three periods - the first period of education focused on anti-communism, the second and the third on security and community respectively - and then analyze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the factors that helped trigger the change.

Influenced largely by the international Cold War system, Korea's reunification education under the first period (1948-1989) was carried out in a rather black-and white manner, stressing the legitimacy of liberal democracy on the one hand and criticizing the limits of communist system and its ideology on the other. The succeeding authoritarian governments until the 6th Republic were directly in charge of deciding the education policies and executing them. Due mainly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such as the ideologic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1948, the Korea War in 1950, and other series of North Korean provocations incursio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made efforts to bring to light the negative aspects of its northern neighbor emphasizing its aggressiveness and hostility.

Coupled with the breakdown of the Cold War structure which made the competition of ideology and system no longer relevant, South Korea's reunification education embarked on its second phase (1990-1999) of security-oriented one. It tri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keeping the nation on alert against communism and the need for reunification. The emergence of civil administration and the spread of domestic movement of democratization also enabled private hands to take part in government's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change the face of the education in schools. The post-Cold War mood along with the confidence from economic superiority over North Korea help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spread the view that North Korea was the same nation to live with as well as a threat.

Community-oriented education (2000-present) found its way with the help of the South Korea policy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oward North Korea even amidst the hard-line policy of the Bush administration inaugurated in January 2001 and the 2nd nuclear crisis that erupted in October 2002. The major actor of reunification education changed hands from government to civilian sector with democracy firmly taking root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civic organizations. Thanks to the development-oriented pursuit of inter-Korean relations by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 reunification education was gradually promoted in line with the era of peaceful co-existenc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ccordingly, cooperative network betwee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sector was formed with strengthened support for open education that puts learners before anything else. Governmental assistance for schools and social actors that carried out the education also expanded.

Based upon the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by periods, the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causes that drove the change. First of all, the change of focus in the education from anti-communism to securit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dismantlement of the international Cold War structure. Secondly, internal factor of domestic democratization also played a pivotal role given that democratization made it possible for civic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government's decision making process. Thirdly, it is of note that inter-Korean relations did not play as much a role since the resumed inter-Korean talks in the early 1990s were merely part of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post-Cold War environment.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 from security-centered to community-oriented, the first critical factor at work was the emergence of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hat shifted the nature of inter-Korean relationship from confrontation to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proclaimed three principles of the administration toward North Korea softened the domestic opposition from the conservatives while the expanded exchanges and economic cooperation together with inter-Korean talks helped spread the sense of shared identity, smoothing the path toward promoting the concept of the nation as a whole being a community. The solidification of democracy under the current Roh Moo-hyun administration facilitated the change from the government-led education to the civilian-led one, which is the second crucial factor. Thirdly, international factor played its part in that the Bush administration's hard-line policy helped push North Korea to engage in talks with South Korea, providing motives for strengthening the sense of the Korean community.

Despite all the positive environment mentioned above, Korea's community-oriented education on reunification will likely have its limits considering the low level of confidenc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dynamic relations among the surrounding powers. It seems worth evaluating whether the education stressing the sense of the national community corresponds to our long-term strategy of national survival in this age of open world and unlimited competition. For true reconcili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rosperity of the entire nation, I float the idea that our future re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lso emphasize the universal human values rather than just stress the sense of the national community.
목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