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발산업은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원화절상, 인건비상승, 후발개도국의 부상에 따른 경쟁력 상실 등으로 인하여 생산설비의 해외이전이 가속화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생산기반은 약화되고 정부의 산업정책도 신발과 같은 경공업 중심에서 조선, 자동차, 기계 등의 중화학공업이나 반도체, 전자 등을 주축으로 한 첨단산업에 집중되면서 생산, 수출감소에 따른 전반적인 수급체계의 변화를 가져와 산업구조가 수출중심에서 내수 중심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세계 신발수출액 제2위, 시장점유율 16.5%를 자랑하던 한국 신발산업은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급격히 쇠퇴하는 사양산업으로 인식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의 산업과 기업들은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거의 모든 업무를 기업내부에서 직접 일괄처리 하려는 경향을 가진 것이 국내기업의 구조적 특성으로, 이러한 특성에 따라 기업들은 모든 생산을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자가주의를 선호하다보니 기업의 경쟁력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산업이나 기업들간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자가주의로부터 벗어나 저비용 고효율의 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써 고려되고 있는 것이 아웃소싱이다.
이러한 아웃소싱을 한국 신발산업이 적절히 활용하면 현재 침체상태에 빠져있는 한국 신발산업의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 신발산업의 회생을 위한 전략적 아웃소싱의 한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이 남북경제교류협력을 통한 북한으로의 진출이다.
특히 생산, 인적자원, 마케팅, 정보시스템 등 국내 신발산업의 전 분야에 걸쳐 전략적 아웃소싱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한국 신발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북한진출을 도모하게 됨으로써 얻게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신발기업의 북한진출은 북한의 개방화를 촉진하여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남북관계를 안정적인 관계로 전환시킬 수 있다.
둘째, 남북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남한에 미치는 효과로는 그동안 경쟁력상실로 경쟁국에 빼앗겼던 신발수출시장을 다시 회복함으로써 신발수출강국으로 다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북한에 기대되는 효과로는 한국기업의 북한진출은 궁극적으로 외국기업의 진출을 동반하게 됨에 따라 외부자본의 북한 내 유입으로 부족한 외화수급사정을 완화할 수 있고, 북한 주민의 소득 및 고용증가, 북한 내 산업구조의 재편, 기술이전효과, 국제수지개선, 해외시장과의 연결 역할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북한의 「개성신발산업단지」는 남북한 주민이 공동으로 생산과정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경제협력 형태가 될 것이다. 남북한 주민간의 교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공동으로 부가가치를 생산하여 그 과실을 나누는 경험은 지금까지의 서로 상충되는 이해관계를 공동의 이해관계로 전환하는 중요한 모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신발업계, 언론이나 공청회, 정부기관 등에서 언급한 한국 신발산업의 북한진출 당위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를 활용하고, 신발, 섬유·의복 등 노동집약산업의 북한진출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Korean shoe industry has been facing the accelerated overseas transfer of production facilities due to loss of competitiveness in the wake of drastic revaluation of the won, an increase in personnel expenses and the rise of backup developing countries since the late 1980s. In this context, the domestic foundation for production has been deteriorated, and the government policies for industry focus on such heavy chemical industry as shipping, automobiles and machinery or such advanced industry as semiconductor and electronics, breaking away from such light industry as shoes. On account of changes in the general system of supply and demand caused by a decrease in exports and production,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subjected to a transition from export to domestic demand. As a result, the Korean shoe industry, which used to rank second in the world in terms of its shoe export and to account for 16.5 percent in terms of its market share, started to be regarded as a fast-fading industry.
Recently, the Korean industries and companies are making a lot of efforts to enhance the structure of high expenditure and low efficiency as a means of recovering their competitiveness. As the domestic companies have a tendency to almost all the tasks en bloc, it is true that their competitiveness is on the rapid decline for they prefer self-reliance on the premise that all the production should be dealt with for themselves. It is outsourcing that is taken into account as a strategic vehicle for converting such self-reliance into the system of low expenditure and high efficiency.
Such outsoucing can pave the way for the restoration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shoe industry which is stagnant. Accordingly, it is advance into North Korea through the cooperation of North and South economic exchange tha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measure of strategic outsourcing for the resuscitation of the Korean shoe industry. As North Korea has enough good-quality working force, geographical approximation and economic mutual supplementation, facing n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s and have a relatively stable conception of productivity,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serious account advance into the North as a vehicle for the recovery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shoe industry.
The overall sectors of the domestic shoe industry including production, human resources, marketing and information system, etc. should come up with strategic outsourcing measures through the cooperation of North and South economic exchanges.
I have come up with the following hints.
First, the advance of the domestic shoe industry into North Korea can convert the politically un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by facilitating the opening of the North.
Second, economic effect on the two Koreas can be expected.
To begin with, the South can rise back into a powerful shoe exporter by recovering shoe export markets lost in the wake of loss of its competitiveness. And the North can relieve itself of the burden of foreign currency difficulties due to the inflow of outside capitals, expecting an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s and their income and creating such effects as realignment of the North's industrial structure, technology transfer,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ayments and its connection with overseas markets.
Third, North Korea's 『Kaesung Shoe Industrial Complex』will serve as a new economic cooperative establishment by involving South and North Korean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as an important model to convert a conflicting relationship into a mutual-interest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natural exchang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creation of added value and sharing of their fruit.
This study is dedicated to the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legitimacy of the advance of the domestic shoe industry into North Korea presented by the shoe industry, the press, public hearings and the government institutions and so on for the proper exploitation of such advance and the suggestion of the direction of the advance of such labor-intensive industries as shoes, fiber and costumes, etc. into North Korea.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