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i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기존연구검토 5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 8
제4절 통일방안 분석틀과 정치세력 분류 11
1. 통일방안 분석틀 11
2. 정치세력 분류 17
제5절 자료와 논문의 구성 20
제2장 4.19혁명과 통일논쟁의 대두 22
제1절 4.19혁명과 통일논의의 기반조성 22
제2절 7.29총선과 통일논쟁의 개막 28
1. 혁신정당의 출현과 정당간 통일방안의 차이 28
2. 선거전의 본격화와 통일문제의 정쟁화 35
제3장 장면정권의 통일정책과 선건설· 후통일논쟁 45
제1절 장면정권의 한계와 '선건설· 후통일'정책 45
제2절 국회의 통일정책 비판과 「대유엔결의안」논쟁 54
1. 민주당의 분열과 국회의 통일정책비판 54
2. 보수세력의 위기의식과 국회의 「대유엔결의안」논쟁 58
제3절 「스티븐슨 수정안」의 가결과 선건설ㆍ 후통일논쟁 66
1. 유엔의 세력변화와 「스티븐슨 수정안」의 가결 66
2. 정치권의 반응과 선건설· 후통일논쟁 71
제4장 맨스필드의 제안과 중립화통일논쟁 80
제1절 맨스필드의 중립화통한 제안과 중립화통일논쟁 자극 80
제2절 중립화통일론의 열풍과 보· 혁갈등의 고조 88
1. 정치권의 상반된 반응과 보· 혁갈등의 증폭 99
2. 지식인들의 반대와 급진적 자주통일론 자극 94
3. 학생들의 지지확산과 학생통일운동의 개막 96
제3절 중립화통일론의 종류와 내용 101
1. 김삼규의 외세의존적 선통일· 후중립론 103
2. 김용중의 자주적· 점진적 선중립· 후통일론 111
3. 김석길의 민주중립화통일론과 반공· 친미노선 120
제4절 중립화통일논쟁의 쟁점과 견해차이 128
제5장 북한의 통일정책변화와 남북교류· 협상논쟁 137
제1절 북한의 통일논쟁과 남북연방제 제안 137
1. 4.19혁명과 북한의 통일논쟁 137
2. 남북연방제 제안과 남북교류· 협상공세 강화 141
제2절 남한정치권의 반응과 남북교류· 협상론의 활성화 146
1. 장면정권의 반대와 반공· 교류 분리불가론 146
2. 신민당의 '제한적' 남북교류논쟁과 당내 주도권경쟁 151
3. 혁신세력의 호응과 남북교류· 협상론의 활성화 156
제3절 남북교류· 협상론의 논리와 쟁점 164
1. 이종률의 민족혁명론과 민족자주통일원칙의 절대화 165
2. 김영춘의 남북협상 결정론과 3단계 통일방안 172
3. 남북교류ㆍ 협상논쟁의 쟁점과 견해차이 175
제6장 혁신세력의 통일운동과 보수세력의 대응 181
제1절 「2.8한미경제협정」체결과 자주통일운동 자극 181
제2절 통일운동단체의 결성과 통일운동의 본격화 187
1. 학생「민족통일연맹」의 통일운동 주도와 남북학생회담 추진 187
2. 「민족자주통일협의회」의 반외세· 민족자주통일운동 196
3. 「중립화조국통일운동총연맹」의 영세중립화통일운동 208
4. 재일교포들간의 좌우합작과 남북교류· 협상 촉진운동 216
제3절 보수세력의 반응과 대응 224
1. 「3ㆍ 4월 위기설」과 장면정권의 강경대응 224
2. 신민당의 엇갈린 반응과 반공단체의 궐기 233
제7장 국내여론· 주변강대국들의 반응과 통일논쟁의 잠재화 242
제1절 국민여론과 언론계의 동향 242
1. 국민여론의 변화와 반공의식의 지속 242
2. 언론의 보수성과 「민족일보」의 도전 249
제2절 주변강대국들의 입장과 반응 256
1. 미국의 한국민족주의 경계와 대한정책 변화 256
2. 자민당정부의 '이중적' 대한정책과 일본내의 상반된 반응 264
3. 중· 소분쟁과 중· 소의 대북영향력 강화 268
제3절 군부쿠데타와 미국의 태도변화, 그리고 통일논쟁의 잠재화 275
제8장 결론 282
參考文獻 292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