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중등사회과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상세내역
저자 조정기
학위 박사
소속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공 교육학과 교육사ㆍ교육철학전공
발행연도 2002년
쪽수 150p.
지도교수 .
키워드 #조정기   #중등사회과   #통일교육   #민족공동체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들어 남북한 관계 및 통일여건의 개선이 두드러지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한 사이의 시대적 변화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본 연구는 통일대비를 위한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근본적으로 남북한 통일을 대비하는 준비과정으로서 중등사회과 분석을 통해서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민족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작은 시발점으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다음과 같이 몇가지로 간략히 정리하였다.

첫째, 통일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5가지 측면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민족 동질성 회복과 민족 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회문화체계 변동이론과 동질성 증대에 관한 이론의 분석, 평화교육적 접근, 교육 이념적 접근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서독의 통일대비 교육과정 구성의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통일교육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분석하였다. 통일교육과정의 변천은 정부 수립 및 과도기 (1948-62), 군부통치기 (1962-87)와 민족통합기 (1987-

2002) 등 크게 3가지 시기로 구분하여 시대적 공간성과 역사성에서 파악하였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통일교육은 국내외적인 환경과 남북관계, 통일정책, 통일운동 등의 관련요인의 영향을 받아 왔으며 민족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주의의 이념적 기초를 강화하면서 점차 민족통합의 교육목표와 내용으로 변화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남북한 중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남북한 교육의 기본 방향 및 목표를 살펴 보고, 남북한 중등사회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체계를 통해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에서 구현된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도원칙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통일 대비를 위한 남북한 중등사회과 통일교육 내용을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준거 기준은 남한의 사회과교육과정의 주요한 기본개념의 내용체계에 터하여 설정하였기 때문에 남한 사회과인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역사, 지리 교과와 관련된 북한의 고등중학교 관련교과서에서 준거 기준에 부합된 내용들을 최대한 발췌하여 그 이질성과 동질성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본 논문은 통일지향적 접근을 위한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즉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민족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통일을 대비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등사회과를 중심으로 남북한간 동질성과 이질성 측면을 각각 분석하였다. 이질성은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할 수 있는 판단 능력을 길러줄 것이며 동질성을 구하고 찾는 작업은 민족공동체 형성의 지름길이 되기 때문이다.

Rec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conditions of unification have been remarkably changed. According as unification education is taken a growing interest. In this current situation, while reflecting the current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is dissertation have developed study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o prepare the 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fundamentally, tried to recover the national homogeneity and establish the community through analyzing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as a preparation course to prepare the unification of Korea. I would like to rearrange this dissertation into several following points.

First, I rearraged five theoric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unification education.

I analyzed the theories of the homogeneity increasing, the change theories of social culture system, peace-oriented Approach, education-

ideological Approach, and the suggestions of compositions from the west and east Germany's unification curriculum for establishing the Homogeneity and community.

Second, I analyz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unification education. The transitional process in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y the extensity and historicity ;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Korean government and the transition period ranging from 1948 to 1962, the military governments ranging from 1962 to 1987, and the national integration ranging from 1987 to 2002.

To put it differently,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the related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Which includ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 South Korea, unification policies and unification movement in Korea, and so on.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puts its emphasis along with strengthening the ideological basis of nationalism, democracy, and pacifism. unification curriculum came to adopt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for a national integration.

Third, I compared and analyzed the unification education with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in North and South Korea. for this, I tried to analyze basic direction and objectives of North and South education. I analyzed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North and South Korea. I studied and presented about the concrete contents that are embodied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 in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e system of unification curriculum. And Then I suggested the directive principle and methods. especially,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of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ompared and analyzed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ontents in North and South Korea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I extracted contents that coincide with the authority cited structure form North Korea secondary school related textbooks which are related to the Politics, Economics, Social Cultures, History, and Geography in South Korea and studied about th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of them because I established the authority cited structure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main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outh Korea.

This dissertation is the study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unification-oriented Approach. It is the study to prepare the unification for recover the national homogeneity and establish the community.

I analyzed not only homogeneity but also heterogeneity with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as the central figure. Heterogeneity will help to improve the judgement ability to face up to the reality, and seeking the homogeneity will be a shortcut to establish national community.
목차
목차

국문요약

표 목 차

그림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5

3. 연구의 방법 7

II. 통일교육의 이론적 배경

1. 사회문화체계 변동이론 9

2. 동질성 증대이론 12

3. 통일교육에의 평화교육적 접근 18

4. 통일교육의 이념 21

5. 독일 통일교육의 고찰 32

III. 통일교육의 변천

1. 정부수립 및 과도기 47

2. 군부통치기 51

3. 민족통합기 56

IV. 중등사회과의 통일교육 분석

1. 기본방향 및 목표 64

2. 중등사회과 교육과정 71

3. 중등사회과 교육내용 84

4. 지도원리 116

V. 요약 및 결론

1. 요약 129

2. 결론 132

참고문헌 135

Abstract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