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캐시미르 紛爭과 韓半島에서의 UN PKO 役割에 관한 硏究

(The) possibility and prospect of the peace keeping 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ashimir conflict

상세내역
저자 안충준
학위 박사
소속학교 京畿大學校 政治專門大學院
전공 外交安保學科
발행연도 2002년
쪽수 212 p.
지도교수 .
키워드 #안충준   #캐시미르   #분쟁   #한반도   #UN   #PKO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국가간 갈등해결의 한 방식으로서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에 주목하여 한반도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냉전종식이후 신국제질서가 재편된 현재에도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에 의한 갈등해결은 더욱 요청되고 있다. 동서간의 갈등이 사라졌지만 국가간 또는 국가 내적인 갈등과 분쟁이 지속되고 있고, 마약, 테러 등 새로운 갈등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분쟁 당사자간의 해결이나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에 의한 강제조정은 또 다른 갈등을 양산하고 있다. 따라서 비록 국제연합이 가지는 근본적인 한계는 있지만 국제분쟁이나 갈등해결에 있어 다자주의적 해결방식을 지향하는 국제연합에 대한 기대나 가능성은 냉전시기에 비해 점차 높아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출발점은 신국제질서하에서 국제연합이 가지는 새로운 역할과 기능, 그리고 그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해보자 한다. 왜냐하면 신국제질서하에서 국제연합에 의한 문제해결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상당히 의미 있는 작업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이 아직도 냉전체제가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에서의 적용이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고찰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분쟁을 관리하기 위해 국제사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쟁관리책을 제시하였지만, 현재까지 완벽한 형태의 분쟁관리 방법을 존재하지 못했다. 그나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연합이라는 집단안보를 기초로 한 국제적인 분쟁관리 노력이 유일한 대안으로 제시되었고,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다자주의적 접근 방법에 의한 분쟁관리인 국제연합은 그 태생적 한계 즉 강대국의 힘과 이익을 배제할 수 없는 구조적 제약 때문에 국제사회의 다양한 분쟁에 대해 UN 헌장에 명시된 '평화적 분쟁해결'이나 '강제적 분쟁해결'의 어떠한 방법도 제대로 사용되지 못해 왔다. 이에 국제연합은 강대국의 대립과 거부권을 피해 국제사회의 분쟁을 관리하고 평화를 회복하기 위해 헌장에 명시되지 않은 예외적 형태의 분쟁관리 수단을 모색한 결과 나타난 것이 「평화유지활동(Peace Keeping Operation)」이었다.

이러한 국제연합의 분쟁관리 수단으로써의 평화유지활동은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분쟁에 개입해 왔으며, 현재에도 세계 각 지역의 분쟁에 다양한 형태로 개입하여 평화를 유지하고 건설하고 있다. 비록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비판적 의견과 실패한 많은 평화유지활동의 실례가 있지만, 아직까지 평화유지활동은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국제연합의 대표적인 분쟁해결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도 이러한 UN의 평화유지활동이 가능한지를 분석하기 위해 캐시미르와 한반도 문제의 비교를 통해 UN의 PKO 활동이 한반도 평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사실 한반도 지역은 분쟁시 UN이 북한을 침략국으로 규정하고 집단적 UN군(軍)을 구성하여 직접적으로 분쟁에 참여한 점을 제외한다면 사실 비슷한 시기와 분쟁양상을 보이고 있어 두 지역에 대해 국제사회의 분쟁관리 방법에서는 현저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반도 지역에서도 충분히 UN의 평화유지활동이 가능한 것이며 결코, 고려대상에서 제외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한국에서도 이러한 한반도 지역에서의 UN PKO의 활동에 대한 대안을 고려하여야 하며 PKO 개입에 대한 전략적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이다. 한반도 지역에서 UN의 PKO 활동이나 개입이 고려 대상에서 제외될 수 없기 때문에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한반도 평화와 PKO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전략이나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물론,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국제연합의 역할도 분명 국제기구와 주권국가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한계가 있고 또 국제기구의 역할이 한반도에서 극도로 제한적이라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북한의 입장에서 본다면 국제연합이나 기타 국제기구는 철저히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수단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국제기구를 통한 남북한간의 협력증진은 이상론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질적으로 국제연합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나 조정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미약하고 부적절하기 때문에 국제연합의 역할과 무관하다는 의문도 제기될 수 있다. 이는 결국 국제연합이 추구하는 평화와 안정에 대한 기능이 한반도의 첨예한 현실문제를 다루기에는 너무 규범적이고 원칙적인 비현실성에 있다는 지적도 설득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반도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남북한 상호불신에서 기인하는 신뢰구축의 결여에 있기 때문에, 양 국가 모두 한반도에서의 평화정착을 원한다면 국제연합은 분명 신뢰구축을 위한 촉매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평화정착을 도울 수 있는 제도와 기구가 있다. 다만 그러한 기구를 얼마만큼 적극적인 협력을 유도해 낼 수 있는 매체로 활용하는 것은 양 국가의 과제이다.

국제연합을 통한 남북한 화해와 협력의 대화의 장으로써의 활용 이외에 한반도 위기 상황시 한국은 국제사회의 협력과 정책적 지지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물질적 정치적 지지를 받기 위해서는 평상시 PKO 참여라는 국제사회에 대한 희생과 봉사를 통하여 가능할 것이다. 그것은 한국 PKO 요원들이 세계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위험을 무릅쓰는 임무를 수행할 때 한국은 세계를 향하여 정당한 권리를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국의 PKO 정책에 대한 회고와 반성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의 수동적인 PKO 참여정책은 더욱더 적극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PKO 참여를 통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조와 공감대 형성을 위한 전략적 접근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UN의 PKO가 개입될 경우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실질적 경험축적 이라는 점에서도 한국의 PKO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한반도 문제와 같이 잠재된 갈등양상을 보이는 지역에서의 분쟁의 사후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UN PKO 활동은 지역 내 평화정착에 효과적이지 못한 것이 현실이지만, 이에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UN PKO 활동 중 평화조성이나 평화재건과 같은 갈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한반도 현실에 맞게 적극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With a great focus on the peace keeping activity -one of ways to tackle nation to nation conflicts- of the United Nations, this paper zeros in on coming up with feasible ways to apply its activities to the Korean peninsula. Even at the right moment when the so-called new international order has been taking a deep root in the world since the collapse of the cold-war, there have been mounting demands of the UN's intervention to bring international conflicts to a peaceful settlement. In spite of the end of the past east-west feud, there are continuous complications in country to country, or at a country with new obstacles such as drugs and terrors.

And as for a discord happening in a certain area, either effort by the very rivals themselves to overcome it or a compulsory arbitration of the United States, sole superpower, is tend to foster another unexpected disagreement. As a result, increasing number of countries try to depend on the United Nations favorable in multilateral-involved settlement method as an international standoff takes a place, though the UN has its own obstacles to get rid of. In a nutshell, bigger expectation from all nations on the planet is pouring out on the international police.

At first,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newly-requested roles and functions and the possibility of the UN which is placed under the ongoing newly-born international order, since it's no doubt meaningful to figure out either the possible ways by the UN for solving any regional deadlock or its limit and to search for alternatives to cope with its limit. Therefore, this paper will concentrate on two issues - to find out whether the UN's peace keeping operation can be applied even to the Korean peninsula in which the cold-war still dominates and to grope for new approaches to usher in peace.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in vain exerted its best effort to suggest various way to manage global standoffs. As a matter of fact there has been no perfect solution suggested to exterminate any deadlocks so far. The UN based on all-out security has luckily played the only role to cope with international conflict since the second war.

But nobody can deny that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r the multilateral dispute caretaker was born with its limitation. In other words, it has failed to mobilize its peaceful settlement and compulsory settlement stipulated in the United Nations' charter regarding a variety of complication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due to its systematic contradiction that it's composed of powerful countries like US and weak countries. In a word, it can neither get out of the shadow of its powerful members nor ignore their interests. In a bid for the UN to avoid both any feud with powerful nations and their veto, it successfully came up with a nominal cause -peace keeping operation-which is not stipulated in its charter. And its peace keeping operation has since then been used as a way to tackle so many troubles over the world. It still works at the right moment around the world. There are pouring-out criticism against the UN and its many failures in its operations. As far as conflict-solution is concerned, it's, however, true that there is no other way to replace its peace keeping activity, in spite of the pouring-out blame.

A research was conducted to figure out if the UN peace keeping activity might have a great effect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 comparison of Kashimir and the Korean peninsula. It came to conclusion that it's possible for the UN's PKO to play a great role to bring in peace onto the Korean peninsula. Actually, the international police force will in no time define North Korea as an invader as it provokes a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will form a multinational force and get it engaged in the strife. Except for this, there is a striking discrepancy in handling the two controversial regions, both of which have been showing ominous signs to lead to great crash almost at the same time.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UN's peace keeping operation is feasible enough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at the Korean peninsula can never be excluded from the UN's peace keeping activity. So South Korea should also consider the UN's peace keeping 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it is needed for the government to work out a strategic policy on the possible intervention of the peace keeping operation.

For the fact that the UN's peach keeping operation and its arbitr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s critical for u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peace and the peace keeping operation, with an effort to devise strategies and alternative. Of course, it is undeniable that for the sake of bringing abou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UN may stumble on a limit cau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the very country(South Korea), with the fact that the UN's role is extremely restricted. In particular, taking into consideration what North Korea views the UN or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s a method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powerful count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re may be a criticism that promoting the two-rival cooperation can be possible only in a theory.

Furthermore, there may be an argument that the UN's role has nothing to do with the Korean peninsula peace, cause it has a week point in handling the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rbitrary role on this area. In the long run, an assertion that the UN's function pursuing peace and stability is too normative and irrational to deal with the ongoing acute troubles on the Korean peninsula gradually gains momentum.

But the basic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two rivals are lack of building up their mutual trust. The UN can play a great role as a catalyst to boost mutual trust of the two sides if they really want to se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well equipped with its own systems and organizations to usher in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It's totally up to the two Koreas whether it(the UN) can be used as an element to draw aggressive cooperation from themselves.

It is requested for South Korea to secure cooperation and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the UN, not to mention what it should be a place for the two sides' talks to boost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other to enjoy such an international material and political support and solidarity, South Korea should aggressively participate in the UN's peace keeping operation through an effort to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with its service. It is only possible for South Korea to request its lawful right towards the world only when Korean peace keepers take a risk to maintain the world peach and security. In such a sense, the Korea government need to look back on its past PKO policy and reflect itself. And it is essential for the government to overhaul its passive PKO policy.

Therefore, it need to come up with its strategical approach not only to drawn international joint efforts but also to arouse an international concession. And the reexamination of its PKO policy should for sure be conducted in terms of piling up practical experiences to take the initiative as the UN's PKO starts to stick its nose out into the Korean peninsula peace matter in the future. It is true that the UN's peace keeping operation is not effective in bringing a peaceful settlement to areas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with a possible conflict lurked in, due to the fact that the UN peace keeping operation is aimed at treating troubles after the end of a conflict in a region. But it is needed for the government to cash in on a few roles of the UN peace activities like fostering peace mood and constructing peace - ways to prevent feud - for the sake of the peaceful Korean peninsula.
목차
목차

국문초록i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목적1

제2절 연구방법과 범위6

제2장 신국제질서에서의 국제분쟁과 UN 평화유지활동8

제1절 신국제질서와 국제분쟁8

1) 국제질서의 재편9

2) 탈냉전시대의 체제적 특성과 분쟁11

(1) 분쟁의 개념13

(2) 탈패권화와 두 세계의 구조화15

(3) 분쟁의 탈냉전 체제적 배경18

(4) 탈냉전적 분쟁의 특징21

3) 분쟁의 원인과 유형24

4) 국제사회의 분쟁관리26

(1) 분쟁개입27

(2) 분쟁관리전략과 수단30

(3) 국제체제의 분쟁관리 및 해결능력33

제2절 평화유지활동의 개념과 유형36

1) 평화유지활동의 개념과 특성36

(1) 평화유지 개념의 이해36

(2) PKO의 특성39

2) 평화유지활동의 유형42

(1) 감시단(Observer Mission)43

(2) 평화유지군(Peace Keeping Force)43

(3) 혼성 PKO44

3) 평화유지활동과 평화적 해결, 집단안보와의 상관관계45

제3절 UN의 평화유지활동의 배경과 활동47

1) 보편적 기구로서의 UN49

(1) 국제연합의 탄생49

(2) UN에 대한 이론적 시각52

(3) 탈냉전시대의 UN55

2) 평화유지활동의 형성과정58

(1) PKO 탄생배경58

(2) 변천과정59

가. 생성기(1948년~1955년)59

나. 활성기(1956년~1967년)60

다. 쇠퇴기(1968년~1978년)61

라. 침체기(1979년~1987년)62

마. 전환기(1988년~현재)63

3) 평화유지활동의 발전경로64

(1) 평화유지활동의 물리적 변화65

(2) 평화유지활동의 질적 변화66

(3) 유형별 평화유지활동68

가. 예방외교(Preventive Diplomacy)70

나. 평화조성(Peace Making)71

다. 평화유지(Peace Keeping)72

라. 평화재건(Peace Building)72

마. 평화강제(Peace Enforcement)74

제3장 캐시미르 분쟁과 UN PKO77

제1절 캐시미르 분쟁의 역사적 배경과 원인77

1) 캐시미르 개관79

2) 캐시미르 분쟁의 역사적 배경81

(1) 무굴 제국 전후의 캐시미르82

(2) 시키와 도그라 왕조82

(3) 무슬림들의 자각85

(4) 인도로의 편입86

3) 캐시미르 분쟁의 원인88

제2절 캐시미르 분쟁의 전개와 국제정치적 의미90

1) 캐시미르분쟁의 전개90

(1) 인도로부터 파키스탄의 탄생91

(2) 캐시미르의 영토 분할 과정92

가. 독립에 따른 영토의 귀속 문제92

나. 분쟁의 전개 과정93

①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47. 9. ~ 1949. 1. 1)93

②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65. 8. 5 ~ 9. 22)94

③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71. 12. 13~12. 17)96

2) 캐시미르 분쟁의 최근 상황97

(1) 캐시미르에 대한 양국의 입장97

(2) 캐시미르 지역내의 상황99

3) 캐시미르 분쟁의 국제정치적 의미101

(1) 캐시미르 지역의 전략적 가치102

가. 인도, 파키스탄102

나. 중국, 러시아103

다. 유럽, 일본103

라. 미국104

(2) 인도, 파키스탄의 핵 정책105

가. 인도의 핵 정책106

나. 파키스탄의 핵 정책106

(3) 캐시미르 분쟁의 국제정치적 의의107

가. 분쟁의 기본 성격107

나. 캐시미르 분쟁의 국제정치적 의의108

① 미국과 인도, 파키스탄 관계109

② 중국과 인도, 파키스탄 관계110

③ 한국과 캐시미르와의 관계111

제3절 캐시미르에서의 PKO활동113

1) 캐시미르에서의 PKO의 역할114

(1) UN의 분쟁 개입114

(2) 분쟁 해결을 위한 PKO 활동115

가. UNMOGIP의 임무115

나. UNMOGIP의 구성116

다. UNMOGIP의 운용 및 활동118

2) UNMOGIP 최근 활동121

(1) UNMOGIP의 철수 요구121

(2) UNMOGIP의 철수에 대한 양국의 입장122

(3) 옵저버의 안전 문제대두123

(4) UNMOGIP의 임무 수행 제한124

제4절 캐시미르 PKO의 특성과 한계125

1) UN의 평화유지활동 정책 수행 측면126

(1) 유엔의 개입 시기의 지연126

(2) UN의 분쟁 중재 후 사후책 미흡127

(3) UN의 과도한 개입127

2) UN 평화유지활동의 기본 원칙 수행 측면128

(1) 중립성(Impartiality)의 원칙128

(2) 양자 동의(Consent)의 원칙129

(3) 협조(Cooperation)의 원칙130

(4) 안정(Stabilization)의 원칙130

제4장 PKO와 한국의 안보전략133

제1절 한반도 문제의 원인과 국제화133

1) 한반도 문제와 UN 참여134

2) 한반도 문제의 원인136

3) 한반도 문제의 국제화139

제2절 한국의 PKO 전략과 활동142

1) 한국의 PKO 전략142

2) 한국의 PKO 참여 및 활동143

(1) PKO 참여 현황143

(2) PKO 참여의 특징146

3) 한국의 PKO 참여에 대한 우려와 기대효과147

(1) PKO 참여에 대한 우려 사항147

(2) PKO 참여의 기대효과149

제3절 PKO의 한반도 적용 가능성 진단153

1) 국제연합과 한반도154

2) 한반도 문제에 대한 국제연합의 역할과 효과158

3) 북한의 국제연합과 PKO166

(1) 외교의 기본 방향166

(2) 국제연합과 PKO에 대한 북한의 입장170

4) 한반도에서의 PKO 설치 가능성172

5) 한반도 지역에 향후 UN PKO 개입 가능성177

제5장 결론182

1. 캐시미르와 한반도 문제의 비교182

2. 한반도 평화와 PKO186

參考文獻189

Abstract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