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북한 문학을 대하는 우리 사회의 태도는 냉소적이었다. 북한의 문학이 정치의 시녀로서만 기능한다는 단편적인 생각 때문이었다. 우리는 아직까지 냉전 이데올로기에 의해 형성된 고정관념을 걷어내지 못하고 있고, 또 그럴만한 계기도 충분히 가져보지 못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북한 문학 내부에도 원칙과 변칙들이 상호 충돌하여 왔음을 보여줌으로써 북한 문학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조금이라도 불식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창작 원리인 ‘형상화’, ‘전형’, ‘디테일의 묘사’ 등을 방법론적 개념으로 활용하여,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의 주요 장편소설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소설의 행간에 놓여있는 현실과 이상, 정치와 예술 사이의 갈등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에는 않은 다양성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과거의 프로문학 전통과 새로 제기된 항일혁명문학 전통이 공존하였으며, 창작 방법론으로서도 민족문학론, 고상한 리얼리즘론, 비판적 리얼리즘론, 사회주의 리얼리즘론에 대한 해석과 재해석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을 실질적으로 이끌어나간 이기영, 한설야, 천세봉 등의 작가와 안함광, 한효, 엄호석, 김명수, 김헌순 등의 비평가에게 주목하였다. 이들 속에는 구 카프계 문인과 신예 작가 및 신진 비평가들이 뒤섞여 있는데, 바로 이 점 때문에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이 이후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풍요롭게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이다.
북한이 창작 방법론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표방한 것은, 그것의 사회적 효용성이 정치 이념과 잘 부합되었기 때문이었다. 특히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핵심 원리인 ‘전형성’에는 사회적 제현상들에 대한 예견력과 추진력이 내포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방 직후부터 문학을 하나의 ‘운동’의 차원에서 전개해 온 북한으로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가장 이상적인 문학론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은 토지개혁, 한국 전쟁, 농업 협동화 실시 등의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숨가쁘게 치러내야 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사회변화의 속도를 감당해야 했던 ‘전형’은 보편성과 특수성에서라기보다는 가능성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그렇게 찾아진 전형은 부분적으로 ‘전망’이라는 개념으로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가 언어라는 형식으로 전망을 보여주는 것은 결국 독자에게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는 일이며, 궁극적으로 그것은 작가가 사회주의 사회의 도래를 앞당기는 일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일과 같다.
그러나 전망이 지나치게 강조되었을 때 그 작품은 대체로 도식주의를 면치 못한다. 1950년대의 북한 문학이 긍정적 영웅의 형상화에 치중한 것도 사실은 전망을 지나치게 의식했기 때문이었다. 그 때문에 북한의 평단에서는 도식주의 논쟁이 벌어졌는데, 북한에서 벌어진 그 논쟁의 본질을 사상과 예술 사이의 길항관계로 요약할 수 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논쟁은 그 자체로 다양성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그 논쟁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북한 문학을 이해하는 첩경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부분적으로 도식주의 논쟁의 쟁점을 살펴보았다. 북한 문학의 도식성은 일반적으로 혁명적 투사나 당적 인간이 긍정적 주인공으로 설정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북한 문학이 정치 편향적이라고 평가되는 이유도 일단은 긍정적 주인공에게 부여된 정치적 임무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1950년대 후반에 북한 문학계에서 『황혼』의 긍정적 주인공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은 북한 문학의 도식성 극복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결국 사상성의 우위를 강조한 안함광에 의해서 이 논쟁은 결론을 맺지만, 50년대의 북한 문학계에 그러한 다양성이 존재했었다는 기억만으로도 우리는 북한 문학과의 심리적 거리를 한층 좁힐 수가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차이를 수용하는 것이지 차별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은 아니다.
This thesis deals with peasant novels in North Korean from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ill the early 1960s. The main texts of this thesis are Lee Ki-young's 『Tuman-kang』(The Tuman River) and 『T'ang』(Mother Earth), Han Sol-ya's 『Solbong-san』(Mt. Solbong). Ch'on Sae bong's 『New Spring Arrives at Sokkaeul』. Lee Ki-young's pre-Liberation novels 『Ko-hyang』(Hometown) and 『Whang-hone』(Twighlight) are positively made use of in analyzing the above peasant novels.
After Liberation North Korean government carried out land reform in a matter of one month and after the Korean War it enforced agriculture communization in four and a half years. Land reform was enforced as land allotment system in the sense that farmers' characteristics of minor ownership was acknowledged: agriculture communization - nationalization - was achieved step by step inducing voluntary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farmers. In order to effectively go through with the new systems, the P'yongyang regime concentrated its efforts on farmers' recognizing the "superiority" of the new systems by unfolding farmer-oriented enlightenment and study activities, etc.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bove novels are as follows.
Writer Lee Ki-youg's novels may be recapitulated: Firstly, by an exaggerated contrast of positive and negative heroes, the former is described as an ideal man. Secondly. "The Tuman River" and "Mother Earth" are structurally marked by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stream of each period and the demand of the times are accurately reflected in the mediative characters. Thirdly, writer Lee Ki-young repeatedly uses the motif of "early marriage" and "concubinage" systems, their social historical meaning tending to be amplified.
The characteristics of writer Han Sol-ya's novels can be summed up:
Firstly, the essence of his novels consists in describing the hero's fate in "tragic ending". A tragic ending results from "conflict" and the secret of the success of his novels lies in exploration of a new type of conflict. Secondly, the epic structure of "Mt. Solbong" is woven with the double plot of Sundok's tragic experience and Tongjo's mass struggle. Thirdly, in "Mt. Solbong" the nation's liberation struggle by vanguard proletariat is described to have been carried out under the leadership of Kim Il-sung. Thi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ccepted to some extent the tradition of anti-Japanese revolution.
"New Spring Arrives at Sokkaeul" is a novel that has most often been discussed in North Korea literature as a basis for criticizing or eulogizing the recordation of the scene of daily life. The characteristics of writer Ch'on Sae-bong's novels are as follows: Firstly, they explore and propagandize the model of communist party man. Secondly, they focus on the process of struggle between the new and the old in which the new triumph. Thirdly, the guidance of people's committee chiefs and the study of party literature are presented as the background that has systematically pushed on with agriculture communization. The study of party literature as described in "New Spring Arrives at Sokkaeul" was a part of farmer-oriented active enlightenment movement.
By examining these representative North Korean novels. I have clarified in this thesis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peasant literature of North Korea. A conviction about future society is implanted in the minds of North Korean populace by these novels - by artistically representing historical events in "The Tuman River" and "Mt. Solbong" and by beautifying current systems in "Mother Earth" and "New Spring Arrives at Sokkaeul". In post-Liberation North Korean literature up to the early 1960s some attempts are noticeable to get over deceptive appearance. Its typical instance is the controversy among literary critics about the characterization of positive heroes and about artistic specification. If arguments about these get more lively in future, we will have a mor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North Korean literature.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