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해방기 북한 시문학 연구 : 1945~1950년을 대상으로

(A) Study on North Korean Poetry from 1945 to 1950

상세내역
저자 우대식
학위 박사
소속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전공 국어국문학과
발행연도 2002년
쪽수 151p.
지도교수 .
키워드 #해방기 북한 시   #북한 시문학 연구   #해방기 시문학   #우대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45년 해방 직후부터 1950년 전쟁 전까지 북한 시문학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사회주의 채택과 남한 시문학에 대한 대타적 위상 정립기에 북한의 시문학론은 당의 건설이라는 정치적 과제와 더불어 기존 서울 중심의 문학론으로부터 탈피하여 독자적인 문단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해방 초기 북한에서 사회주의적 이념을 지향했던 시인들은 당대 북한 사회를 그들이 염원했던 유토피아로 인식했다. 그러한 점에서 소위 민주개혁으로 이어지던 당대 사회는 시인들에게 텍스트 창작의 기본적 모티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1946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결성을 계기로 북한문학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게 된다. 당시 북한문학이 추구한 당성과 인민성·계급성은 결국 <북조선 로동당>의 노선과 정책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의 문제로 남게 되었다. 이 때 북한 문학이 강조하는 것이 바로 '과학성'이다. 이 '과학성'이라는 문맥은 인식의 문제와 현실에서의 과학 기술이라는 두 가지 명제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1947년을 넘어서면서 북한은 수세적 민주기지론에서 공세적 민주기지론으로 선회하게 된다. 시문학도 이러한 정치적 움직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해방 초기 남한 문단에 대한 콤플렉스를 완전히 극복하고 북한 문단을 한국 문학의 중심으로 인식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불거져 나온 것이 고상한 리얼리즘론이다. 이 고상한 리얼리즘론은 완전무결한 공산주의적 인간형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출되었다는 점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과는 일정한 거리를 가지는 것이다.

시적 형상화와 현실인식에서는 계급적 각성이라는 측면을 먼저 고찰했다. 이 계급적 각성은 사회주의 건설에 있어서 선취해야 할 기본적 요건이 된다는 점에서 해방 후 북한 시문학은 대중화 교육을 통해 작가와 대중들의 계급의식 고취를 위해 전력을 다하게 된다. 북한사회는 당대의 현실을 '합법칙적 세계'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문학적 응답으로 '의욕적인 세계로의 작위'를 강조하게 된다. 그러나 '합법칙적인 의욕적 세계로서의 작위'라고 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입장에서는 정당한 명제가 실천의 문제에 부딪쳤을 때 지나치게 의욕의 세계를 앞세움으로써 작위로서의 예술성이 손상을 입었다. 1948년 이후 북한의 시문학은 뚜렷한 목적의식을 바탕으로 한 창작방법론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는 시인들을 소위 '정밀기사 시인'으로 규정하기에 이른다. 이 정밀기사 시인들의 과업은 단지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에 작가가 깊숙이 들어감으로써 당대의 노동계급성과 인민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양식적 고찰에서는 서정, 서사 그리고 모더니즘의 행방에 대해 다루었다. 모더니즘의 경우는 시 양식적 문제와는 다르지만 모더니즘의 행방은 북한시의 양식적 변화와 필연의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고찰하였다. 해방 직후 많은 시인들이 과업시에 해당하는 정치적인 시를 창작했던 것도 사실이지만 서정시도 일정량 창작되었는데 이는 남북 시문학의 공통 분모라는 점에서 귀중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전후부터 지금까지 북한의 서정시가 소박한 감정의 드러냄으로 머물고 마는 것은 해방 직후 서정시에 대한 북한문단의 인식에서 비롯된 바이다. 역사적 대전환기에 새로운 것의 발견을 위한 파토스가 북한예술에 드러나는 방식이 바로 공리주의적 예술관이라 볼 수 있는데 시에서 그 구체적인 방법론이 서사성의 추구였다. 서정적 응축을 통해 새시대의 논리를 급속히 전파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서사성은 주요한 시적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서사는 낡은 사상과 제도를 거부하며 영웅과 영웅적 행위에 대한 요구로 관철된다는 점에서 서정과 서사의 운명적 관계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해방 직후 북한에서의 모더니즘의 행방은 당시 시인들의 정신적 지평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1946년 말이면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체제가 자리를 잡는 동시에 많은 시인 작가들이 소위 과업시를 쓰지 않으면 안되었던 시기이다. 그러나 동시에 전통적인 모더니즘의 방식을 구가하던 많은 시인들이 어떻게 창작 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시기이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불거져 나온 모더니즘 계열의 시집들은 북한의 모더니스트 시인들의 정치적 감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해방기 북한 시문학의 문학적 성취는 대중들의 소박한 진실과 왜곡되지 않은 항일투쟁의 시에서 찾을 수 있었다. 김일성이라고 하는 개인의 당파성에서 벗어난 대중들의 건강성과 항일투쟁의 시적 형상화는 매우 의의 있는 성과라고 할 것이다. 북한 시문학의 한계로는 김일성 찬가와 대중성을 강조한 형식의 저급성 그리고 무비판적인 소련 찬양을 대표적인 예가 된다.

전략적인 의미로 정치적인 시가 현재까지 무비판적으로 산출된다는 것은 오늘날 북한 시문학의 근본적인 문제이며 동시에 북한 시문학 연구의 가장 큰 어려움인 것이다.

In this treatise, we have seen North Korean poetry that covers from the liberation in 1945 prior to the Korean War in 1950. This period was the one of the adoption of socialism and also of the establishment of an alternative for South Korean poetry. In this situation, the theory of poetry in North Korea came out as motions of solving the problem of political matters, that it, forming a party and of forming an independent group that was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group which had centered on the theory of literature in Seoul. In the earlier period of the liberation, socialism-oriented poets perceived the society of North Korea those days as Utopia that they had desired for. In such points, the society those days, which was going to so-called democratic reformation, was used as basic motives for composing by the poets.

North Korean literature started its full-scale activities with forming in 1946. The line and the policy of should be represented well in dangseong, inminseong, and gyegeupseong which North Korean literature pursued those times. It was scientific feature (gwahakseong) that the North Korean literature emphasized. This context of scientific feature included the both propositions: problem of perception and on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reality.

North Korea turned their policy from the defensive democratic base theory (minju gijiron) to the offensive one since 1947. The poetry also moved in accordance with such political change. In other words, they completely dismissed a sense of inferiority over the literary group in South Korea at the earlier period of the liberation, and made sure that the literary group in North Korea was the center of literature. In this situation, elevated realism came out. This was somewhat different from socialistic realism because this elevated realism aimed to produce perfect communistic people.

We have considered the aspect of class awakening in the truth of composing poems and in recognizing reality. This class awakening should proceed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Therefore, North Korean poetry tried its best for inculcating class consciousness into writers and people through education of popularization.

The society of North Korea perceived the reality of life those days as synthesis-lawful world (hapbeopchikjeok segye). In literary response to this, the artificiality as intentional world (uiyokjeokin segyeroui jakwi) was emphasized. Yet, with the standpoint of socialistic realism, that is, the artificiality as intentional world, the nature of art as artificiality got damaged when just preposition conflicted with the problem of practice. It was because intentional world was exceedingly set at the head.

North Korean poetry needed the methodology of composing with the ground of an obvious sense of purpose since 1948. Such need made the poets to be called so-called precision-describing poets (jeongmil gisa). These precision-describing poets should get themselves deeply involved in the life of people, going beyond just describing the reality of life. And they should represent working class consciousness and inminseong.

In consideration of styles, it was discussed about the traces of lyric poetry, epic poetry and modernism. Although the case of modernism is different from the one of styles in poetry, we discussed it with the respect that the trace of modernism was closely related to changing of styles in North Korean poetry. Right after the liberation many poets composed political poems, that is, gwaeop-si. Yet, they also wrote some lyrics; they are precious elements for the theory of unified poetry (tong-il simunhakron). We, however, cannot deny that poor understanding on lyric poetry of North Korean literary group right after the liberation should be blamed for that the lyric poetry in North Korea still stays in just showing the artless feelings.

In a great turning point in history pathos for finding new things came out as an utilitarian sense of art in North Korean art. The pursuit of the nature of description was the specific methodology in poetry. The nature of description appeared as a main method in poetry because it was difficult to spread out the logic of new ages through condensation of lyric poetry. The description at this time refused the old ideas and old systems, and it required a hero and heroic action. In this point, we can notice the destined relation between lyricism and description.

We can not neglect the trace of modernism in North Korea right after the liberation because it tells us the minds of poets those days. The late of 1946 was a period that the system centered on Kim Ⅱ-Seong was settled and many poets had to write so-called gwa-eopsi. Yet, it was also a period that many poets who used the style of traditional modernism did not concretely agree how to write at this time. We can say that two collections of poems came out in these situations show political senses of modernist poets in North Korea.

We could find the literary achievement of North Korean poetry at the period of the liberation in peoples artless truth and undistorted poems of an anti-Japan struggle. It was poetically embodied that peoples sound characteristics which escaped from Kim Ⅱ-Seong his partisanship, and that the anti-Japan struggle as well. This was a meaningful result. It was explained with some examples that North Korean poetry had limitations: poems in praise of Kim Ⅱ-Seong, lowness of forms that emphasized popularity, and the praise of the Soviet Union without any criticisms.

Political poems have been produced strategically till now without any comments; this is the basic problem of North Korean poetry today and the hardest difficulties in studying.
목차
국문초록 ⅰ

목차 ⅰ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1

2. 연구사 개관 4

3. 연구 방법 및 범주 7

Ⅱ. 시대적 배경과 시문학의 이론적 토대 10

1. 사회주의 채택과 남한 시문학에 대한 대타적 위상 정립 12

2. 당론의 체계 확립과 과학기술의 문맥화 24

3. 민족해방의 논리와 문학적 중심의 확인 36

Ⅲ. 시적 형상화와 현실인식 45

1. 해방의 두 가지 의미 - 반제·반봉건주의와 계급적 각성 46

2. 합법칙적 창작 의욕과 시적 작위의 모순 56

3. '정밀기사(精密技士) 시인들'의 전형성 추구와 그 한계 66

Ⅳ. 북한시의 양식적 특성에 관한 고찰 78

1. 서정성의 추구와 파멸의 운명 79

2. 서사성의 강화 - 영웅의 일대기와 범인의 헌신 89

3. 역사감각의 부재와 모더니즘의 행방 100

Ⅴ. 북한시의 문학적 성취와 한계 114

1. 대중적 건강성의 형상화 115

2. 당파성의 왜곡과 무비판적 찬양 125

Ⅵ. 결론 135

참고문헌 141

Abstract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