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北韓의 對美 非對稱 抑止.强制 戰略 : 핵과 미사일 사례를 중심으로

North Korea's asymmetric deterrence and compellance strategy against the United States

상세내역
저자 최용환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서강대학교 대학원
전공 정치외교학과
발행연도 2003년
쪽수 318p.
지도교수 .
키워드 #최용환   #한미 관계[韓美關係]   #북한   #대미   #비대칭   #억지강제   #한미관계   #NORTH   #KOREA   #ASYMMETRIC   #DETERRENCE   #COMPELLANCE   #STRATEGY   #UNITED   #STATES   #핵   #미사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이 관심을 가지는 것은 탈 냉전기 북한이 구사하는 대미 전략의 채택배경과 운용논리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 답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북ㆍ미관계의 비대칭적 구조와 북한의 가치관에 입각한 정책적 선택이라는 측면을 동시에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북한의 대외정책은 수수께끼이거나 비이성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 역시 부족하였다. 그러나, 기존 이론의 설명을 통해서도, 북한의 대외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또 다른 목적이다. 이 논문은 북한의 대미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 이론의 억지와 강제의 논리를 빌어 약소국이 강대국을 상대로 구사하는 ‘비대칭 억지ㆍ강제 전략’을 개념 정의하였다. 이러한 틀 속에서 핵과 미사일 개발을 통한 북한의 대미 비대칭 억지ㆍ강제 전략의 채택배경과 성립조건, 그리고 전략의 전개과정을 검토하고 평가해 보았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이 논문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몇 가지 조건이 갖추어진다면 약소국이라고 하더라도 강대국을 상대로 억지와 강제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우선, 강대국은 그 이해관계가 전 세계에 고르게 퍼져있기 때문에 국지적 사안에 대해 전 국력을 쏟아 붓기 힘들 경우가 많다. 또한, 특정 사안에 대해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투입해야 할 비용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 강대국은 해당 사안에 개입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상대적으로 약소국은 국지적 이슈에 자신의 사활적 이해가 걸려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강대국에게는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는 많은 부분을 희생하더라도 특정 사안에 모든 것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약소국이 항상 강대국에 대하여 공격적인 정책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약소국이 강대국을 상대로 비대칭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첫째, 강대국이 충분한 비용을 지불하도록 만들 수 있는 치명적 위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북한의 경우 그것은 핵과 미사일 개발이었다. 북한은 자신이 상당한 정도의 핵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믿도록 하기 위한 많은 수단을 동원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상당한 거리에까지 투발할 수 있는 미사일 기술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이러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정치ㆍ군사적 전략이 마련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고안된 것이든, 우연히 학습된 것이든 북한은 그러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내 여론으로부터 자유로운 정책결정자는 비대칭 전략이라는 일면 무모해 보이는 전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라크의 사례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비대칭 억지는 만약 억지에 실패할 경우 일방적인 패배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인 만큼 정책결정집단의 특성이 중요하다. 북한의 정책결정집단은 국내 여론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군사적인 성격을 농후하게 가지고 있어 과정보다는 목표지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건은 북한이 비대칭 억지 전략을 선택할 수 있는 긍정적 조건으로 작용한다. 넷째, 정책결정자들이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현 상황이 나쁠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개선될 여지가 없을수록 자신의 의지를 강하게 주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상황은 더 없이 이에 부합한다. 북한은 사회주의 동맹 국가들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내부적 발전 잠재력의 고갈로 외부의 도움을 절실히 필요한 상태였다. 다섯째, 약소국과 강대국 사이에 제3세력이 존재한다면, 약소국도 강대국을 상대로 적극적 대외정책을 펼칠 수 있다. 북한의 경우 중국이라는 우호적 지원세력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미사일 사거리 안에 한국과 일본이라는 확실한 인질을 잡아놓고 있는 상태이다. 북한은 비대칭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 특히 미국이 북한을 제압하여 얻을 수 있는 별다른 이익이 없다는 것이 북한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둘째, 북한 체제의 특성이 가진 정책적 딜레마로 인해,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을 통한 비대칭 전략을 선택하게 되었다. 북한은 집단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체제이며, 수령유일체제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 북한은 극도의 폐쇄적인 체제를 유지해왔다. 북한으로서는 체제의 생존을 위해 개혁ㆍ개방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개혁ㆍ개방은 북한 체제의 핵심인 수령유일체제의 유지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적 딜레마를 극복할 수 없었던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을 선택하였다. 북한의 목표는 현 체제를 그 상태로 인정받아 안보 위협을 없애고, 제한된 억지력을 바탕으로 경제적 보상을 받아내는 것이었다. 그러기 위해서 제국주의의 핵심세력인 미국을 직접 상대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 고안한 것이든, 1990년대의 경험을 통해 배운 것이든 핵과 미사일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셋째, 북한이 비대칭 억지ㆍ강제 전략을 구사하는 근본적 이유는 체제의 생존을 위한 것이었다. 즉, 미국으로부터의 안보위협을 억지하고, 체제 생존에 급박하게 필요한 정치ㆍ경제적 지원을 받아내고자 하는 것이었다. 어쩌면 북한은 소규모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통해 미국의 한반도 개입비용을 높임으로써 억지에 필요한 정도의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으로 경제적 지원을 강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북한의 대미 비대칭 전략은 자신의 내부적 모순을 해결하지 않은 대외전략이라는 근본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examine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e post-cold war era. The background and logic of North Korea's U.S. policy are the key concern of this paper. For this purpose,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both asymmetric structure in the North Korea- U.S. relationship and North Korea’s political choice based upon its own value system.

It has been argued that North Korea‘s foreign policy is unreasonable or, at best, enigmatic. Therefore,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explain North Korea's foreign policy theoretically and systematically.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North Korea’s foreign policy can be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theories and logic. The theory of deterrence and compellance is the case in point. Based on this theory, this dissertation tries to explain North Korean policy against the United States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This dissertation first defines the notion of asymmetric deterrence and compllance strategy that weak nations adopt when they deal with the big and strong nations. Then,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background and evolution of North Korea's deterrence and compullance strategy against the United States, which has heavily relied on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and evaluates its current and future effectiveness.

The followings are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dissertation.

First, Even a weak country can exert some kind of deterrent and compelling power against a strong and big country if certai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are met and allowed. The reasoning for this argument is somewhat straightforward and obvious. Generally, a powerful country has an interest in many regions all over the world. It means that the powerful country can hardly devote all their energies to each individual local matter. Also it does not want to intervene in a dispute if the benefits from such an intervention are smaller than its investments. However, the interest structure of a small country is very focused and dense. Especially, it has a vital interest in their own and local matters. Consequently, a weak country sometimes resists very strenuously against a much more powerful country with all its efforts if its vital interests are at the risk. Nevertheless, a minor power dose not always choose an aggressive policy against a major power. There should be some conditions for using an asymmetric strategy against major powers. Namely, minor power should possess an ability with which to exact very high price from the part of major power when there should be a duel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the case with North Korea. North Korea has not only developed nuclear weapons and long range ballistic missiles but also made it apparent to major powers that it has possessed these nuclear and military capabilities. Also, North Korea seems to have political and military strategies for using such a threat. Whether these strategies are designed purposely or obtained coincidently, it seems for North Korea to internalize these strategies in its foreign policy. Also, North Korean leaders are free from its own public opinions. If decision makers are free from public opinion or able to defy it, there are more possibility for them to choose audacious policy measures such as an asymmetric strategy. As we can see in Iraqi case, the asymmetric strategy can end up with a lopsided defeat and major catastrophe to its own practitioner if it fails to deter much more powerful enemy states. North Korean leaders are not only completely free from public options but also highly militaristic. For them, policy objects themselves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their processes. This propensity has made it much easier for North Korean leaders to choose asymmetric deterrence strategies as their core foreign policy measures. Furthermore, The economic situation of North Korea has been getting worse and worse since the early 1990s. North Korea has not only lost its socialist allies in Eastern Europe but also exhausted its internal capability and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If the decision makers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ir countries more pessimistic, their behavior becomes more audacious. The North Korean case is such an example. Also, the asymmetric strategy becomes more useful when there exist third parties between the two antagonizing actors. North Korea has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China and hold South Korea and Japan as its hostages with the suicidal threat of nuclear attacks and massive bombings. This situation made it more profitable for North Korea to deploy asymmetric strategies against the Unite States In sum, while North Korea to deploy asymmetric strategies as its core foreign policy measures the United States can get few benefits even if it defeats against and gets mastery over North Korea.

Second, the underlying dilemma of North Korean regime has made it inevitable for the decision makers to take the asymmetric strategy via nuclear and missile program. North Korea is a collectivist state and its whole society is subordinate to one leader, Kim Il-Sung, and later, Kim Jung-Il. In order to preserve this socio-political system, North Korea has maintained highly closed state. Although system reform and economic openness are the essential elements for North Korea's survival and further development, these measures can be fatal venoms to the current system of supreme leadership of Kim Jung-Il. Against this dilemma, North Korean decision makers have chosen the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 as their alternative option. North Korea has tried to use these programs for obtaining some kind of guarantee for the security of its regime and exacting economic reward from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concerned neighbors. In this respect, North Korea has attempted to challenge directly "the imperialist leader" i.e., the United States. It is because that North Korea believes its regime survival is in the hands of the United States. Whether the asymmetric strategy is deliberated or learned through the past experiences, it is clear that North Korea tries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strategy through the threa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Third, the ultimate goal of the North Korean asymmetric deterrence and compellance strategy is the regime survival. Namely, North Korea wants to deter security threat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n exact economic reward through the nuclear threats and deals. It may be true that North Korea possesses deterrence capability through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 that makes the cost of U.S. military intervention inordinately expensive. However, this strategy has some limits.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is strategy can exact economic rewards from bot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ncerned states. Also, this strategy provides no solution to North Korea's own internal problems. It is the most fatal limitation of North Korea's deterrence and compellance strategy.
목차
목차 ⅰ

국문초록 ⅸ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가설 및 방법 8

3. 기존연구검토 11

가. 억지 및 강제와 관련된 연구 11

나. 비대칭 전략에 대한 논의 20

다. 북한의 대외관계에 관한 연구 24

4. 논문의 구성 31

Ⅱ. 비대칭 억지·강제 전략의 논리 33

1. 주요 개념: 억지, 강제, 그리고 비대칭 억지·강제 33

가. 억지의 기본 논리 33

나. 억지이론의 발전과정과 주요개념 35

다. 강제(compellance)의 개념: 위협과 관련된 주요 개념과의 비교 39

라. 비대칭 억지·강제의 개념과 기본 논리 47

마. 비대칭 억지·강제가 성립할 수 있는 조건들 74

2. 비대칭 억지·강제 전략의 사례 81

가. 비대칭 강제 전략의 사례 81

나. 핵개발을 통한 비대칭 억지 전략의 실패 사례 89

Ⅲ.비대칭 억지·강제 전략의 성립조건 102

1. 북한에 유리한 조건 102

가. 억지충분성 개념: 최소억지(minimal deterrence) 104

나. 특정 사안에 대한 강력한 의지 112

다. 지정학적 조건: 후원국과 인질의 존재여부 116

2. 폐쇄체제·집단주의체제인 북한의 자율성 121

가. 대내적 자율성 123

나. 대외적 압력으로부터의 자율성 128

다. 대내외적 연계의 자율성 137

3. 북한의 가치관과 체제 특성 139

가. 집단주의 가치관과 수령유일체제 141

나. 선군정치 147

Ⅳ. 비대칭 억지·강제 전략의 전개: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사례 152

1. 냉전기 북한의 핵개발 배경과 원인 154

가. 핵개발 초기: 북한 핵개발의 발단과 원인(遠因) 154

나. 한국과의 군비경쟁 및 한국의 핵개발 159

2. 탈냉전기의 핵개발: 국제사회의 변화와 북한의 선택 179

가. 탈냉전과 북한의 생존전략 180

나. 1993년 핵위기 187

다. 핵과 연계된 미사일 개발 219

3. 계속되는 문제들 227

4. 소결 232

Ⅴ. 대미 비대칭 억지·강제 전략에 대한 평가 238

1. 비대칭 억지·강제 전략의 채택 배경 240

가. 국제체제의 변화와 약소국의 생존 240

나. 북한식 합리성의 문제 244

다. 북한의 현실 인식 247

2. 비대칭 억지·강제의 성공·실패 조건 251

가. 능력의 문제: 북한 핵무기의 유용성 251

나. 북한 체제의 특성과 비대칭 억지·강제 전략 260

다. 북한의 지정학적 위치와 비대칭 억지·강제 전략 264

3. 소결 274

Ⅵ. 결론 279

참고문헌 288

Abstract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