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유입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적응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심리적 문화적응이라는 주제를 포괄적이고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다룬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관련 모델을 검토한 후 이를 수정, 보완하여 한국형 모델을 수립하고, 이에 대해 탐색적 확인을 하였으며, 아울러 문화적응 행태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먼저, Berry의 모델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는데, 이 모델이 남북한의 문화 특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즉, 이질 언어 문제와 인종 문제는 없지만, 미묘한 대인관계 방식과 체제 원리상의 차이, 양 체제간의 6.25 전쟁 경험과 50여년의 대립 등에 의한 독특한 문화 차이가 있고, 완전하지는 않지만 인도주의적 차원의 정착 지원 시스템이 비교적 장기간 이루어진다는 점을 이 모델이 수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에 적합한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관련 변인을 일단 망라적으로 포함시켰다. 그리고 최종 모델의 간결성과 통계분석의 적합성을 확보 하기 위해 1차 분석을 통해 모델에서 비중이 낮은 변인은 제거한 후 도착 변인과 성별 변인을 주 변인으로 선택했다. 이들 변인을 반영한 최종 모델에서는, 정착 초기 조건으로서 도착 연령, 지각된 문화 이질감과 자기의식이, 심리적 문화적응 전략으로서 북한 문화 지향성과 남한 문화 지향성이, 정착 과정 조건으로서 지각된 동화압력이, 심리적 문화적응 결과 지표로서 인지, 정서, 행동 측면이 포함되었다. 인지 측면은 남한 사회에 대한 정체감을, 긍정적 정서 측면은 생활만족도를, 부정적 정서 측면은 우울감을, 행동 측면은 사회문화 학습 수준인 남한 문화에 대한 문화적 유능감을 포함 시켰다. 여기서 심리적 문화적응 결과 지표를 다양하게 구성한 것은 적응 행태를 입체적이고 면밀하게 확인하려는 목적때문이었다. 이렇게 구성된 최종 모델은 '1(단일) 민족의 비동질 문화 간 심리적 문화적응 모델'로서, Berry 등이 제시한 '이민족(異民族) 이질 문화 간 심리적 문화적응 모델'과는 매우 다른 한국 문화형 적응 모델이다.
최종 모델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정착 초기 조건인 도착 연령은 북한 문화 지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남한 문화 지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문화이질감은 남한 문화 지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의식은 양측 문화 지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적 문화적응 전략인 남한 문화 지향성은 직접적으로 심리적 문화적응 결과 지표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는, 남한 문화 지향성이 생활만족도에는 정적으로, 우울감에는 부적으로, 문화적 유능감에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는데, 사회적 정체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비해 북한 문화 지향성은 생활만족도에만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다른 심리적 적응 결과 지표에 대해서는 매개변인인 지각된 동화 압력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북한 문화 지향성은 지각된 동화 압력에 정적 영향을, 지각된 동화 압력은 우울감에 정적 영향을, 사회적 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문화적 유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서 지각된 동화 압력은 북한 문화 지향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치는 양가적인(ambivalent) 기능을 보여준다. 즉, 지각된 동화 압력이 클 경우 우울감을 강하게 느끼는 반면, 사회적 정체감과 문화적 유능감은 더 많이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심리적 문화적응 결과 지표들에 대해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간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는데, 여기서 얻어진 군집은 행동 중심 적응 지향군, 인지 중심 적응 지향군, 정서 중심 적응 지향군, 통합 적응 지향군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들이 균일한 방식으로 적응해나가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별로 특정한 유형에 따라 적응해 나가는 개인차를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이 군집을 정착 경과 기간과 관련지어 보았는데, 3년 미만 정착 경과 집단은 행동과 인지 중심의 적응 행태를, 4년차 이상 집단은 정서 중심의 적응 행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에 종단적 연구 방법에 의해 좀 더 명료하게 확인되어야 하겠지만, 정착 경과 기간에 따라서 적응 행태에 달라질 수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내에서 심리적 문화적응을 하는데 있어서는 인구통계학적, 사회 지각적, 성격적 측면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 적응 기제가 독특함을 확인하였다. 단, 연구의 현실적 여건 때문에 여러 가지 측면에서 탐색 수준에서만 논의된 경우도 있어서 후속 연구를 기대해야 할 상황이다.
As the number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to the South Korea increases, the academic concerns for them also increases. However, there was few researches to deal with the topic of psychological acculturation, which is very important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adapt themselves to South Korean culture appropriately and completely. So, in this study, I tried to set up a Korean model by examining and revising the existing models, and confirmed the Korean model at an exploratory level, and, in addition, analyzed acculturation patterns.
At first, I reviewed Berry's acculturation model, and found that his model is not proper for the South and North Korean cultural property. That is, the model can't give clear explanations for subtle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and in political and social system, and unique cultural differences due to 'Korean War' experience and about 50 years' oppos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It also doesn't consider the fact that settlement-support systems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at a humanistic dimension, though not perfect, are kept relatively for a long time in South Korea.
Therefore, I, as the first step, considered all related factors exhaustibly to set up a model proper to Korean culture. And then, I could choose arrival age factor and sex factor as major factors, after eliminating low-weighted factors in the model to guarantee the parsimony of the ultimate model and the relevance of statistic analysis at the first analysis. The ultimate model inclued arrival age, perceived cultural heterogeneity, and self-consciousness as a residence basic condition, the Nor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NKCO) and Sou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SKCO) as psychological acculturation strategies, perceived assimilation pressure as a residence process condition, and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s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utcome indexes. I included an identity to South Korean society as a cognitive factor, life satisfaction as a positive emotional factor, depression as a negative emotional factor, and cultural competency to South Korean culture indicating sociocultural learning level as a behavioral factor. The reason to compose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utcome indexes variously is to identify acculturation patterns in detail and multidimensionally. The ultimate model can be called Korean acculturation model, which is as 'an psychological acculturation model of one-nation, non-homogeneous cultures', different from 'the psychological acculturation model of different-nations heterogeneous cultures' that Berry and his companions proposed.
The results acquired from the ultimate model show that age factor influences on the NKCO positively and on the SKCO negatively, and self-consciousness impacts on both cultural orientations positively. In detail, the SKCO influences on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on depression negatively, on cultural competency positively, and doesn't influence on social identity significantly. In contrast, the NKCO impacts on only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nd influences on other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utcome indexes through perceived assimilation pressure(mediating factor). In other words, the NKCO influences on perceived assimilation pressure positively, and then perceived assimilation pressure influences on depression positively, on social identity positively, and on cultural competency positively. As we know from this, perceived assimilation pressure has an ambivalent effect such as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people who have the high NKCO score. That is, the greater perceived assimilation pressure is, the more they feel depressive and at the same time the stronger they show social identity and cultural competency.
I administrated K-means cluster analysis for the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utcome indexes and considered their relatedness synthetically.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4 groups were induced; behavior priority-acculturation orientation group(BPA), cognition priority-acculturation orientation group(CPA), emotion priority-acculturation orientation group(EPA), and integrated acculturation orientation group(IPA).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don't adjust themselves in an unitary way, but each of them has his own unique adjustment pattern. And, I compared these 4 groups according to settlement period. The result is that people whose settlement period is less than 3 years show BPA and CPA, and people more than 4years demonstrate EPA. Though this results need to be reconfirmed through longitudinal research, it can be inferred that settlement period is correlated with acculturation pattern.
In short, I identified in this research that demographic, social perception, and personality factors all influenced integratively on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nd their acculturation mechanisms were unique. For the limit of the realistic conditions, some subjects were discussed at an exploratory level only, therefore following researches are necessary. I, However, hope this research results can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education and acculturation support policies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