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南北韓 統合過程의 葛藤管理에 관한 硏究

(A)study of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이재규
학위 박사
소속학교 경기대학교 대학원
전공 행정학과
발행연도 2003년
쪽수 194p.
지도교수 .
키워드 #남북 통일[南北統一]   #남북한   #통합과정   #갈등관리   #통일   #이재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남북한 사이의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바람직한 통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1945년 분단이후 지난 50 여 년 동안 남북한 주민은 정치, 경제, 이념,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상이하고 대립되는 체제와 제도 속에서 생활해 왔다. 본 연구는 향후 남북한이 통합을 이루어가는 과정에서 겪게 될 갈등을 기존이론으로부터 도출한 주요 영역별로 살펴보고, 통합과정에서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분야별 통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갈등관리 및 통합이론을 검토해보고, 이로부터 남북한의 갈등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변수로서 이념, 엘리트, 경제, 문화, 제도, 대외요인 등 6개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주요변수를 중심으로 세 분단국의 통합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통합 과정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독일의 경우는 흡수통합사례에 해당하며, 통합과정에서 경제, 문화적 갈등이 심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의 경우는 북베트남이 군사력의 우위를 바탕으로 전쟁을 통하여 남베트남을 통합시킨 전쟁통합사례로서, 강제력에 의해 북베트남의 이념과 제도를 남베트남에 이식시키는 과정에서 거의 모든 분야에서 갈등이 심각하게 표출되었고 통합의 비용도 매우 컸었다. 예멘의 경우는 합의통합 후 전쟁통합사례로 규정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남북 예멘의 지도자들이 합의를 통해 통합이 이루어졌으나, 통합이후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함으로서 내전을 겪게 되고, 다시 전쟁을 통해 통합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사례가 주는 정책적 시사점은 통합과정에서 정치, 제도 등 공식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이념, 문화, 경제 등 비공식적 요인이 통합을 어렵게 하고 사전에 주의 깊게 관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문화적, 이념적 차원의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남북통합은 매우 불안정할 수밖에 없으며, 통합이후 또 다른 갈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남북한은 통합으로 가는 과정에 있으며 거의 모든 영역에서 갈등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대내외적 환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특히 김대중정부 이후 적대적 대북정책이 포용정책으로 전환되고, 남북한 사이의 경제협력이 활성화되고,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짐에 따라 남북한의 갈등은 완화되는 추세에 있었다. 그러나 대외적으로는 9·11테러 이후 미국의 대북한 정책이 강경정책으로 전환되고, 북핵문제가 불거지면서 북미간의 갈등이 다소 고조되고 있다. 노무현정부는 기본적으로 대북포용정책을 계승하고 있으나, 최근 일부 접근방식에서 조정과 수정을 가하는 대북 '평화번영정책' 을 표방함으로써 한층 복잡한 상황전개를 상정한 통일정책을 구상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한층 가깝게 다가온 남북한의 통합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주요 분야별로 통합을 향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이념적 측면에서는 동일한 민족임을 강조하는 역사적 동일체와 열린 민족개념을 강조함으로써 이념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국제사회의 성원으로서 공동발전을 추구하는 보편적 민족주의를 채택함으로써 통일에 대한 국제적인 지지를 얻어내기 위한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엘리트 측면에서는 그들이 글로벌라이제이션(globalization)의 심화로 이념적 유연성을 가지게 될 것임을 전제로 북한 엘리트에 대한 현재적 위협을 둔화시키면서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틀을 수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내 엘리트들이 보다 실용성을 바탕으로 남북관계의 실질을 개선하는 정책개발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셋째, 경제적 측면에서는 통합이후 경제력의 격차로 인해 계층 및 지역갈등이 증폭될 것을 고려하여, 남북한의 경제력을 증강시키고, 실질적인 통합 과정에서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소득, 생활기반 등과 관련된 사회보장제도를 확충해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문화적 측면에서는 통합이전에 남북한의 스포츠 및 문화영역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통일 후에 겪게 될 문화충격을 최소화하는 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화정책은 남북한이 공유하고 있는 역사 및 문화적 가치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질 때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문화교류에서는 비정부조직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고 문화적 동질성의 회복에 시간이 소요됨으로서 조속히 진행될 필요가 크다.

다섯째, 제도적 측면에서는 급격한 제도변화가 가져올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고, 적응기간을 주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적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역별로 남북한의 전문가들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제도통합에 관한 쟁점을 논의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제도통합과정에서 겪게 될 부작용을 상당부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대외적 차원에서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국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이들이 우리 정부의 통합방안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교적인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북핵문제가 국제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과의 우방관계를 돈독히 하면서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북한과의 직접적인 협상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남북한 통합과정의 갈등관리는 위에서 살펴본 이념, 엘리트, 경제, 문화, 제도, 대외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상호작용을 검토하면서 정책수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념과 문화적 차원은 가장 기본 적인 바탕을 이루고 엘리트들의 향배와도 직결된다. 아울러 경제력이나 대외적인 관계의 진전과 더불어 구체적인 제도적 통합이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policy agendas and instrument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onflict which may develop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It is not an easy process to integrate the South and North into a unified country. Whil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deal with Korean integration, few efforts has been made in dealing with it in the light of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This study selected six variables, such as, ideology, elite, economy, culture, institution, and external relation, which are strongly related with the conflict dur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The possible conflict has been analyzed along with these six categories of the variables.

With this framework in mind, three specific integration cases, German, Vietnam, and Yemen, have been analyzed. And the author tried to find out any policy implication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Korean integration. In German case, as an 'absorbtion integration' case, formal unification raised serious conflicts in economic and cultural area between the two Germans. Vietnam case is a 'compulsive integration by military power,' and North enforced their ideology and system in South. In this process a large number of Vietnamese had to face serious conflicts in all of their lives. Yemen, another compulsive integration by military power after mutual agreement, expected mutual economic benefits when they agreed integration. At the integration stage, however, they suffered from cultural as well as religious conflict which cannot be overcome by potential economic benefits Finally their conflict has been oppressed by military action by the North.

Based on three cases, several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sorted ou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eriousness of ideological and cultural matters in advance. Ideological matters are closely related with elites of the society. Dialogue and continuous and extensive exchange programs will mitigate confrontation in these areas. These three areas are the base for further integrative efforts in the areas of economic and institutional aspects. Also external and diplomatic efforts will bring in more solid integrative environment which will bring a room for positive measures by the two sides.

An intensiv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along with the six variables chosen and the study comes up with policy proposals. Major findings and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First, in ideological aspects, the Korean government would better emphasize universal or open nationalism to manage ideological conflicts. Emphasis on the common historical legacies and commonality of national. heritage will help to alleviate ideological confrontation which is rather a recent phenomena. Some consideration should be paid not to hurt friendly atmosphere among related countries by emphasizing global trend and contribution to the stability of the region.

Second, in elite areas, the North Korean system should be more open and adapt to the global trend of market economy and liberal democracy with the infusion of such values into the elite circle of the North. Vivid and diverse debate regarding to the ideological spectrum of the future society should be one of the social issues.

Third, in economic areas, the two economy should expand their capacity enough to sustain the costs of the unification. Also, the South should be well prepared to expand social security systems in the North. Regional disparities should be minimized and positive measures for the weak should be implemented as integration goes on.

Fourth, in cultural sectors, sports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s should be expanded. Also religious freedom of the North should be extended. Diversity and freedom of religion will be the fundamental base for integration with minimal conflict.

Fifth, in institutional aspects, experts of the major sectors of society as well as government try to design various institutions of the unified Korea. These institutions includes political and governmental structures and details of social and economic systems.

Sixth, in external relations, Korean government has to formulate unification- friendly milieu and active role for designing unification formula without impinge on the interests of the concern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and EU. With the new development of nuclear problem, the Korea-U.S. rel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international concern for the Korean unification should be increased as cold era ends.

Although the above six factors are separate in appearance, there are very clos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In developing any policy tools or instruments the relationship should be exploited in full potential. The ideological factor and elite group movement are closely related and any efforts to adapt to the global trend through frequent contacts with international entities by the North Korean elites will help mitigate any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addition, harmony in the area of cultural and mental attitude are key concern □or resolving emotional conflict among the mass. Institutional measures can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made in the areas of socio-economic areas.

The dissertation can be evaluated as an attempt to delve into six areas of potential conflict with previous evidence found in the three already integrated cases. Although there are many gaps between the cases and the Korean situation, many lessons could be drawn. And some policy proposals, which may be not specific enough due to the uncertainty we face at this stage, will give some benchmarking in dealing with the conflict which will come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is endeavor, however, lacks rigorousness in analysis because of the wide scope of the paper The author has intended, at the initial phase of the study, to show some interconnectedness of the conflict among different segments of values and social sectors. More systematic examination of the causes of the conflict and their relationship should be pursued with some empirical evidence.
목차
목차 ⅰ

標目次 ⅴ

圖目次 ⅴ

感謝의 글 ⅵ

論文槪要 Ⅷ

第1章 序論 1

第1節 硏究의 目的 1

第2節 硏究의 範圍와 方法 2

1. 硏究의 範圍 2

2. 硏究의 方法 4

第2章 葛藤管理와 統合理論 5

第1節 葛藤管理와 再社會化理論 5

1. 葛藤의 意義 5

2. 葛藤의 原因과 分野 7

3. 再社會化理論 9

第2節 統合理論 10

1. 統合의 槪念 10

2. 統合의 分野 12

3. 統合關聯 諸 理論 16

第3節 南北韓 葛藤 및 統合의 分野와 變數 28

1. 主要變數의 選定 28

2. 主要變數의 內容 31

3. 分析體系 40

第3章 分斷國의 統合과 葛藤管理 事例 43

第1節 統合方法과 特徵 43

1. 獨逸 : 吸收統合事例 43

2. 베트남 : 戰爭統合事例 46

3. 예멘 : 合意統合 後 戰爭統合 事例 49

第2節 主要變數別 葛藤樣態 分析 52

1. 獨逸 52

2. 베트남 56

3. 예멘 64

第3節 分斷國 統合事例의 示唆点 69

第4章 南北韓 葛藤要因 및 狀況分析 74

第1節 葛藤要因 74

1. 北韓側 要因 74

2. 南韓側 要因 78

3. 南北關係 要因 80

4. 對外的 要因 82

第2節 葛藤狀況 分析 86

1. 理念的 分野 86

2. 엘리트 分野 90

3. 經濟的 分野 91

4. 文化的 分野 94

5. 制度的 分野 96

6. 對外的 分野 97

第5章 葛藤管理와 統合方案 99

第1節 統合의 與件 99

1. 不利한 與件 99

2. 有利한 與件 108

第2節 葛藤管理와 統合을 위한 努力 113

1. 南北對立期 : 1950年代 ~ 1970年代 初 114

2. 南北對話 開始期 : 1970 初 ~ 1980年對 後半 114

3. 交流協力 準備期 : 1980年對 末 ~ 1990年 後半 115

4. '包容政策'의 始作期 : 1998年 以後 117

第3節 葛藤分野別 統合方案 121

1. 理念的 分野 121

2. 엘리트 分野 129

3. 經濟的 分野 138

4. 文化的 分野 145

5. 制度的 分野 153

6. 對外的 分野 158

第4節 政策的 含意 163

第6章 結論 167

參考文獻 174

ABSTRACT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