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 교회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성격 연구 : 지배체제 및 종교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urch Communication in North Korea : Focused on The Change of Ruling System and Religion Policy

상세내역
저자 최명국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전공 신문방송학과 신문학전공
발행연도 2004년
쪽수 248p.
지도교수 .
키워드 #북한   #교회   #커뮤니케이션   #지배체제   #종교정책   #최명국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This thesis is all about North Korea Church Communication with their particular political and special social atmosphere. The author wants to analyze and demonstrate deeply these constructional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it focused and defined to Christian Church as a Social Institution. So the author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North Korea Church's stand-or-fall(浮沈) was effected so much by their religious policy."

The author could specified, nevertheless no matter what Kim Il-Sung and Kim Jung-Il said it was effected the life and death of Institutionalized Church by Kim's personal Religion Perspective. This is the truth what the author thought about.

The Christian Church could have been existed how hard situations that are collapsed the Church Building by them. Of course, it could survive invisibly. This Christian Church as an Institutional Church is as same as communication group. And it is called "Kommunicative Gemeinde." This would be equally social code to God or Holly Spirit.

The goal of research is to try to find out "How could North Korea Church communicate?" "How could they carry the messages about Lord, Jesus, Condoner, Salvation, Haven, Hell, Church Service, and Holly Spirit?", And then "When and where do they?" So, the author thought that could figure it out all about these questions.

The channels as communicational learning are consisted of Official-Institutional and Non official-Private. And the message of Christian depends on the latter. It is so sure thing.

According to this reason, the thesis have been cleared that North Korea's distinctiveness and characteristic of Non official-Private. On and on, the author have been finished to analyze North Korea's Days such as Saturday and Sunday. It would be count on private time. For this case, there are so many difference things between North Korea's Weekday and Weekend, and South Korea's of it.

After mid-1990, there were issues about the mission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s God people. At that time, also, North Korea Church such as "Bong-Su" could have been activated to their government new open policy.

This is the aspect of the question which the author must study and analyze "Now are they Real-Christian or Pseudo-Believer?" And finally, this research uses following methods such as Eschatology, Religious-Social approaches, Communication theory,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
목차
목차 ⅰ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목적 4

제2장 이론적 배경과 기존 연구(문헌) 고찰 7

제1절 기존 연구의 검토 7

제2절 이론적 배경 16

1. 교회커뮤니케이션 이해의 전제 16

1.1 커뮤니케이션 이론 17

1.2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능력 20

1.3 커뮤니케이션 대상과 인지적, 감정적 관계 22

2. 커뮤니케이션과 종교의 제도화 25

2.1 종교와 교회의 사회제도화 27

2.2 기독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 30

2.3 기독교 교회 커뮤니케이션 특성 35

2.4 교회 커뮤니케이션 양식과 기능 41

제3절 사회주의와 종교커뮤니케이션 43

1. 마르크스주의 종교론 43

1.1 종교의 본질과 정의 43

1.2 종교의 특징 46

1.3 종교의 사회적 지위와 기능 47

2. 사회주의 종교와 “변화” 51

2.1 사회주의하의 종교 존재 이유 51

2.2 사회주의하의 종교의 변화 55

3. 사회주의의 종교 특징 59

3.1 종교의 민간화 60

3.2 종교의 평등화 60

3.3 종교의 합법화 61

3.4 종교의 세속화 61

4. 사회주의사회의 종교 역할 62

4.1 종교의 소극적인 작용 62

4.2 종교의 적극적인 작용 63

5. 종교의 지향점 66

5.1 종교의 자연적 소멸론 66

5.2 지향점 실현을 위한 준비 67

제4절 북한체제의 종교(교회) 커뮤니케이션 68

1. 북한의 종교정책 68

1.1 김일성의 종교관 68

1.2 김정일의 종교관 71

1.3 주체사상과 기독교 73

2. 종교정책의 시기구분 77

2.1 북한의 현대사 시대구분에 따른 종교정책 변화 80

2.2 민주건설시대의 종교 (1945-1950.6) 80

2.3 ""조국해방전쟁""시대의 종교 (1950.6 - 1953) 83

2.4 사회주의 건설시대의 종교 (1953~1988) 85

2.5 개방화 시대의 북한교회 (1988~현재) 88

3. 북한기독교 변천사 89

3.1 종교와 사회주의의 만남 (1945 ~ 1953) 89

3.2 사회주의 속에서의 생존모색(1953-1972) 103

3.3 해빙의 징후 (1972 - 현재) 109

제5절 커뮤니케이션 사회학적 북한교회 분석시각 116

제3장 연구문제 123

1. 【연구문제 1】 북한의 종교정책은 어떠한가 123

(1)【연구문제 1-1】 북한 종교정책의 억압적 특징은 무엇인가 123

(2)【연구문제 1-2】 북한의 종교정책이 교회커뮤니케이션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123

2. 【연구문제 2】 북한의 공식적 교회커뮤니케이션의 구조와 특징은 무엇인가 123

(1)【연구문제 2-1】 교회의 외형적 특징은 어떠한가 124

(2)【연구문제 2-2】 예배형식은 어떠한가 124

(3)【연구문제 2-3】 메시지전달통로로서 설교는 어떠한가 124

(4)【연구문제 2-4】 성경과 찬송가는 어떠한가 124

(5)【연구문제 2-5】 신학교육기관은 어떠한가 124

(6)【연구문제 2-6】 예배분위기는 어떠한가 124

3. 【연구문제 3】 북한의 비공식적 교회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특징은 무엇인가 124

(1)【연구문제 3-1】 북한에 비형식적, 비제도적 교회는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124

(2)【연구문제 3-2】 북한의 비형식적, 비제도적 교회들의 신도규모는 얼마나 되는가 125

(3)【연구문제 3-3】 북한의 비형식적 교회신도들의 커뮤니케이션적 특징은 무엇인가 125

4. 【연구문제 4】 북한의 미디어정책과 미디어종교보도특징은 어떠한가 125

(1)【연구문제 4-1】 북한의 공적 커뮤니케이션 특징은 무엇인가 125

(2)【연구문제 4-2】 북한의 사적 커뮤니케이션 특징은 무엇인가 125

(3)【연구문제 4-3】 북한주민의 매체접촉상황은 어떠한가 126

(4)【연구문제 4-4】 북한의 미디어정책과 미디어종교보도 특성은 무엇인가 126

5. 【연구문제 5】 북한 교회커뮤니케이션의 사회커뮤니케이션적 특징은 무엇인가 126

(1)【연구문제 5-1】 북한의 개방정책과 미디어정책이 교회커뮤니케이션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126

(2)【연구문제 5-2】 북한 교회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변화 가능성과 한계점은 무엇인가 126

제4장 연구방법 127

제1절 연구설계 127

1. 연구대상의 선정 127

2. 포커스그룹인터뷰의 설계 128

제2절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ed Group Interview) 129

1. FGI방법의 특징 129

2. 조사과정 131

제5장 연구결과 및 분석 133

제1절 연구집단의 일반적 특성 133

제2절 북한교회 커뮤니케이션망의 특징 134

1. 【연구문제 1】의 연구결과 134

2. 【연구문제 2】의 연구결과 140

3. 【연구문제 3】의 연구결과 153

4. 【연구문제 4】의 연구결과 160

5. 【연구문제 5】의 연구결과 174

제6장 결론 및 논의 193

참고문헌 199

부록 221

Abstract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