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韓半島 平和體制에 관한 硏究 - 多次元的 接近과 段階別 推進方向을 中心으로 -

A Study on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With Focus on Multidimensional and Stepwise Approach

상세내역
저자 朴炳湳
학위 박사
소속학교 明知大學校 大學院
전공 정치외교학과
발행연도 2005년
쪽수 218 p.
지도교수 裵燦福
키워드 #朴炳湳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반도에서 평화체제 구축은 시대적인 요청인 동시에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 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현실적인 과제로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냉전기 미?북 주도의 한반도 군사질서를 탈 냉전기 통일 지향적인 남북 주도의 군사질서로 전환하는 것이다.

현재 한반도 평화체제 유지는 평화에 대한 남북 상호간의 입장과 논쟁의 차이를 조정하고 타협하는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목표를 놓고 남북한 간에 내재된 복잡한 문제 (issues)들 이를테면, 북한 핵문제 외 다수의 복합적인 잇슈들의 다차원적인 접근 즉, 남북한, 주변국 그리고 주요 현안별로 어떻게 조정되어지고, 그것이 한반도 평화를 유지함에 있어 어떻게 적용되는 가를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차원에서 제기되는 주요 잇슈들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반도 위기 극복과 평화정착의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두었다. 한반도에 공고하고도 안정된 적극적 평화의 상태를 정착시키기 위한 추진전략을 중?장기 차원의 국가안보전략의 관점에서 구상하고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해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평화 및 평화체제의 개념과 평화와 분쟁관계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여 봄으로써, 한반도 군사문제에서 평화체제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제기하였다. 또한, 한반도에서 제기되고 있는 군사문제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의의와 그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어 한반도 군사문제 해결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남북한의 시각과 주변국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입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북한 평화관과 주변국의 평화체제에 대한 상이한 입장을 고려해 볼 때, 한반도 평화체제와 관련된 주요 이슈와 그 대응방법 모색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음을 인식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해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정전협정, 주한미군, 한미동맹, 북핵문제, 군비통제를 주요이슈로 과제를 설정하여 이를 평화체제와 관련지어 그 대응방법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냉전기 미북주도의 한반도 군사질서를 탈냉전기 통일지향적인 남북주도의 군사질서로 전환, 탈냉전하 한반도 정세 구도 변화와 남북한 각각의 국내적 상황이 만들어지는 구조적 상황 속에서 남북한과 미국, 중국을 비롯한 관련 주체들의 상호관계를 조명함으로써, 합리적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21세기 한국은 ‘한반도 평화정착’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있다. 특히 북한 핵문제가 다시 등장하면서 한반도 문제에서 평화의 정착 문제가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이고 적응적인 접근보다는 한반도의 안보 위협 요인을 근원적으로 해소함으로써 남북관계를 정상화·안정화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물론 최근의 북한 핵문제로 인해 전반적인 분위기가 냉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군사적 신뢰구축은 또 다시 무대의 뒤로 물러설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만 북미간, 남북한과 미국이라는 군사적 대결의 구조와 신뢰부재를 해소하지 않고서는 핵문제가 성공적으로 해결될 수 없는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을 위한 전략의 일부로서, 신뢰구축과 군비통제는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 군사적 신뢰구축이나 군비제한, 군축 등과 같이 적극적 의미의 긴장완화조치는 현실적으로 실현하기에는 많은 난관이 내재해 있다. 최소한 평화상태 조성의 조건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조치를 기대하는 것은 구두선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한미간의 공통인식의 기초 위에서 핵문제 해결은 매우 중요하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포함한 평화정착은 북한의 핵개발 계획을 비롯한 대량살상무기에 대한 논의와 해결의 과정이 없이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어 나갈 수 없다.

지금까지 정전협정은 한반도에서 전쟁을 억제하는 ‘위기관리체제’로서 기여해 왔고, 성공적으로 전쟁을 억제해 왔다. 정전협정의 목적은 전쟁을 일시 중지하고 군비통제를 통해 자연스럽게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50년이 경과된 지금까지도 평화체제의 도입은 물론, 군비통제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북한으로부터 핵을 비롯한 대량살상무기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정전협정은 궁극적으로 남북한이 주도하는 평화협정으로 대체되어야 하지만, 평화협정이 본격 논의되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고 한반도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평화정착을 추진함에 있어 평화체제구축 기본방향과 단계별 접근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화체제 구축 문제를 중·장기 차원에서 3단계로 시차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제 1단계에서 군사적 협력기반을 구축하고 제 2단계에서 군사적 신뢰구축을 그리고 제 3단계에서 남북한 평화공존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로서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것이다.

요컨대, 남북 군사 관계 진전을 위한 정치?군사적 여건을 조성하고 이어서 본격적인 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한 제반 조치의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협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북한 핵, 미사일 해결 합의사항의 구체적 이행과, 남북 실질 협력 심화 및 군사적 신뢰 구축 조치의 추진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마지막 단계에서는 자연적으로 남북 평화협정 체결이 가능하다.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is a requirement of the time and a realistic assignment that could advance North and South relationship which was at a stalemate.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is to transform the military system initiated by U.S.A and North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into a new reunification-oriented military system initiated by North and South Korea after the cold war era.

The maintenance of current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is to adjust and negotiate the bilateral situation and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It is most important to examine on how the complex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such a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many numbers of complex issues other than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for instance, how the current issues can be managed depending on South, North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how it is applied in order to maintain the peace in Korean peninsula.

Under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realistic alternative policy for an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during this resea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ethod to overcome the crisis in Korean peninsula and settlement of peace. Also, to embody the driving-strategy that settles the steady and determined aggressive peace condition in Korean peninsula within a long-termed national defense security angle, and to present a fundamental and collective answer on peaceful resolution for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and an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It also presented that it is inevitable to discuss on peace regime in Korean military matter, by first examining an theory about peace, peace concept and conflict relationship. In addition to that, as examining the character and structure of military matter that was alleged in Korean peninsula, it presented a meaning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its rationality and necessity, and a military method to approach an resolution in Korean peninsula.

And it compared a viewpoint of North and South Korea on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posi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U.S.A., China, Japan and Russia.

After examining, while we consider the peaceful stand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different standpoint on peace regime of neighboring countries, it recognized a issue regarding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and finding a corresponding method that were badly needed.

Possessing a consciousness on this matter, in order to present a fundamental and overall solution for a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armistice agreement, U.S. Army in Korea,

Korea-U.S, Allianc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rms Control were set as major assignments, and those issues were connected to peace regime in a way to figure out the corresponding tact.

For the last, it presented a rational method to establish a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by illuminating a inter-relation among North, South Korea, U.S.A., and China under the structural situation made by transforming the former military order initiated by U.S.A. and North Korea during the cold war and by change in power structure in Korean peninsula after the cold war and by their own national situation.

On 21st century, Korea possesses the assignment to resolve the issue of 'peace settlement'. Specially, sinc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entered on the stage again, the peace settlement issue in Korean peninsula has became even more important and, other than short-term, fitting approach, a strategic approach is necessary to settle and stablize the North and South relationship by fundamentally removing of a security-threatening point.

Of course, while the overall mood is cooling because of the recent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confidence could lost its position as a prior issue. However the nuclear issue never could be solved successfully without resolving the confronting military structure between North and U.S.A and North, South and U.S.A, and without a lack of confidence.

As a part of strategic plan to establish a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and Arms Control must be realized. There are many obstacles to realize the positive meaning of tension-easing work such as establishing a military confidence, Arms Limitation and Arms Reduction. It is nothing but a verbal shout to expect this level of stage without first establishing a minimum level of peace stage develop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mutual cognition, the resolving of the nuclear issue is very important. The realistic advancement of peace settlement including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is impossible without the process of discussion and solution on North Korean nuclear weapon developing plan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 cease-fire treaty so far has been supporting as a 'crisis managing system' to suppress a war in Korean peninsula, and it was successful. The purpose of cease-fire treaty is to halt the war instantly and naturally replacing it into a peace treaty by arms control. But unfortunately, even after 50 years has passed, not only introducing a peace system but also arms control have not been established, instead, South is under the situation that North is threatening with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cluding a nuclear weapon.

Although the cease-fire treaty should be replaced with a peace treaty that North and South Korea initiate, it is criticized by scholar on Korean peninsula that a prior condition is necessary to discuss a peace treaty on a realistic business level.

As described above, this paper analyzed a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at needed to be resolved beforehand in order to propel a peace policy in Korean peninsula, and it also presented a concrete alternative policy. In other side, as a long term dimension, it presented a three level approaching method in order to establish a peace settlement in Korean peninsula which is the core assignment for a peace system establishment matter. On the first level, to establish a base for a military cooperation, on the second level, to establish a military confidence, and on the third level, to sign a peace treaty as a legal and systematical device for a coexistence of North and South under a peace.

For instance, it is necessary to propel a gradual and leveled consult of various treatment for an establishment of actual military confidence after assisting a political and military situation for an advanc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In addition, if the agreement on resolving a North Korean nuclear and a missile issue is carried out on a realistic level, and if a propelling of deepening realistic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and the treatment of military confidence building is advancing naturally, the peace treaty between North and South can be agreed naturally on the last level.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기존의 연구경향 6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14

제2장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 18

제1절 평화 및 평화체제의 개념 18

제2절 평화와 분쟁관계 29

제3절 평화체제의 구성 및 유형 36

제4절 평화체제 연구개념도 46

제3장 한반도 평화체제의 기본고려사항 47

제1절 한반도 군사문제의 구조와 성격 47

제2절 한반도 평화체제 의의와 필요성 58

제3절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국제역학 구도 62

제4절 한반도 군사문제 해결 접근방법 64

제4장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남북한의 시각 72

제1절 평화에 대한 남한의 기본입장 73

제2절 평화에 대한 북한의 기본입장 80

제3절 소결론 87

제5장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주변국의 시각 89

제1절 미국의 입장 89

제2절 중국의 입장 93

제3절 일본의 입장 95

제4절 러시아의 입장 96

제5절 소결론 98

제6장 한반도 평화체제와 군사적 과제 99

제1절 주요 이슈와 대응방법 100

제2절 정전협정 대체문제 104

제3절 한·미 군사관계 변경 108

제4절 자주와 동맹관계 120

제5절 북핵문제와 평화체제 135

제6절 군비통제 및 군축 159

제7절 평화와 안보관계 166

제7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 171

제1절 평화체제 구축 기본방향 171

제2절 평화체제 단계별 접근전략 174

제3절 평화체제의 시차적 추진방안 178

제8장 결론 188

참고문헌 194

ABSTRACT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