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체제

(The)socialist moral economy and village regime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홍민
학위 박사
소속학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전공 북한학과
발행연도 2006년
쪽수 446
지도교수 박순성
키워드 #홍민   # 사회 주의[社會主義]   # 북한 사회[北韓社會]   # 북한 경제[北韓經濟]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hanges' by the character of social relations in North Korea in 1990s. I think that the character of social relations is 'Socialist Moral Economy'. 'Socialist Moral Economy' is social relations be composed by combination of material redistribution, political redistribution and moral discourse.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system of moral economy. Real socialist countries consider distribution justice as the most important of social aim. These countries must have moral responsibility for social distribution. These countrie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get through planned economy. The state is symbolized as the main body of distribution control and moral achievement. The people have to work in counter-gift dimension. It is that moral intermediate between gift(material redistribution) and count-gift(work). Just exactly, this moral was social motive and fundamental truth composing the society. But in the process of practice, real logics was concealed. The state was the core of all power as icon of moral. The moral served as logic dominating social relations. The bureaucracy met face to face with political and economic uncertainty in performing planned economy. Among bureaucracy, relationship of unofficial bargaining, consultation, conspiracy be formed in the composition of reciprocal relations. The people was developed the politics of everyday in their life. That is, in the relationship of gift and count-gift, concealed real logics was. In the same manner, North Korea is composed that relations. North Korea's leaders have been moralized the state-people relationship and the 'Suryong' take an active hand in symbolic dimension. Including distribution system, Social welfare policies have been symbolized the Suryong's charity. The material basis of the Suryong's charity was the plan-redistribution system. The plan-redistribution system be necessary for bureaucracy to execute very huge material redistribution. The material redistribution is worked together political redistribution. The material redistribution, political redistribution, and moral discourse have composed social relations in North Korea. In 1990's North Korea's economic hardship have an influence the exiting social relations. The state met face to face with the real collapsed the exchange logic of social welfare and work duty between the state and the people. Also, the concealed real logics reveal as positive attitudes in dimension of 'subsistence', such like illegal materials exchange network of bureaucracy, marketplace exchange of people. The 'subsistence ethic' rise to the surface their life. Also private economy actions and omission of public work duty burst into sight. In the process of these, phenomenon of 'amoral familism' come out in society's several class. The 'amoral familism' is behaving the sake of only myself or family's interest rather than the state's interest or collective moral aim First, the Suryong manage the regime's guard forces by slush fund. These minority privileged nomenklatura enjoy an exclusive prerogative of material occupation right in the exchange political capital and royal with the Suryong. The 'political capital' is the right to occupy all public resources and services though bureaucratic status. These bureaucracy come into the right to hold domestic resources and to conduct official or unofficial trade. the Suryong economy's funds is provide in the commensalism between the Suryong and nomenklatura. Second, low rank bureaucracy be in possession of competence to control the people's everyday economy though political capital. These low rank bureaucracy be parasitic on the people market exchanging for subsistence in marketplace. The extorted money or goods offer a bribed to a higher officer for the accumulation of political capital and silent approval of illegal actions. Third, among the people be appearing the phenomenon of 'marketplace individualist'. They go the length of engaging in trade for subsistence in public supply shortage situation. For market exchange, they have to make practice get out of their workshop. They have to offer a bribed to factory manager or collective farm foreman in the sake of private economic actions. They are not agency of pursuit of profits but only agency make an effort for maintaining subsistence. But these economic agent of subsistence dimension be unable to view as market agent in capitalist market economy. These marketplace exchanges is on the social context like socialist planned economy' problems, distortion of bureaucratic process, unfair social hierarchy, moral resentment as a matter of life and death. Therefore, their marketplace economy must analyse after due consideration about social relations and social context. North Korea's moral economy meaningful the moral judgement and resistance of the people against the symbolic violence of state, unfair social class structure.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 1
제2절 논문구성 = 6
제3절 연구방법 = 10
1. 문헌분석 = 10
2. 질적 연구와 탈북자 면접조사 = 11
1) 북한연구와 면접조사의 필요성 = 11
2) 면접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 = 12
3) 탈북자 면접조사의 적용 = 18
4) 면접조사의 한계 및 개선점 = 19
제2장 논문의 이론적 구성과 분석틀 = 21
제1절 연구문제와 예비적 고찰 = 21
1. 역사와 공간: 사회주의체제의 역사와 지방 공간의 인식 = 21
1) 사회주의 역사의 인식과 '아래로부터의 역사' = 22
2) 역사 인식의 세 층위와 사회적 공간의 교차연계 = 26
2. 국가와 사회: 사회주의체제 국가-사회관계의 이론과 실제 = 29
1) 구분대립의 추상적 관계와 연속구성의 실제적 관계 = 29
2) 제도적 응축과 일상적 실천으로서 국가-사회관계 = 33
3. 관계와 구성: 사회주의체제의 '관계자본'과 일상의 정치 = 36
1) 사회주의체제에서의 '관계자본' 교환과 관계문화 = 36
2) '일상의 정치': 지배-저항의 코드와 '재전유' 전략 = 47
제2절 정치와 경제의 통합메커니즘: '사회주의 도덕경제' = 52
1. 도덕경제의 개념 = 52
1) '도덕경제'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 52
2) 도덕경제와 사회주의체제 연구 = 55
2. 도덕경제의 구성 = 59
1) 도덕경제와 사회적 관계의 형식과 내용 = 59
2) 사회적 관계의 층위와 사회주의 도덕경제의 구성 = 63
3. 북한체제 변화 동학의 설명틀 = 72
제3절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 체제'의 동학 = 73
1. 지방과 지방공간에 대한 인식 = 73
2. '마을체제'의 개념과 구성틀 = 76
1) '마을체제(village regime)'의 개념 = 76
2) 마을체제의 구성과 동학 = 78
3) 도덕경제 메커니즘과 마을체제 = 81
3. 마을체제와 '군'(郡)의 공간적 함의 = 82
1) 정치행정적 공간: 통치공간의 조직화와 '마을의 정치' = 82
2) 경제지리적 공간: 국가 축적체계와 지방경제 = 100
제3장 호혜의 도덕담론과 위장된 순응의 사회적 관계 = 116
제1절 호혜의 도덕담론과 사회주의적 사회관계 = 118
1. 국가: '베풂과 보답'의 도덕담론과 정치경제적 통합메커니즘 = 118
1) '돌봄'의 담론과 증여-답례의 정치적 지배논리 = 119
2) '인민적 복무' 담론과 충성-정치자본의 교환 논리 = 123
3) 노동의 도덕화 담론과 일상적인 동원의 논리 = 126
2. 관료: 불확실성의 담론과 도덕적 공모관계 = 130
1) 관료적 도덕담론과 정치자본-상징자본 교환 논리 = 130
2) 계획의 완수와 파기: 불확실성의 담론과 관료적 복화술 = 133
3. 인민: 생계보장의 담론과 노동일상의 정치 = 135
1) 생계보장의 담론과 보호-속박의 논리 = 135
2) 생계윤리와 노동일상의 정치 = 136
3) 노동과정과 노동자 정체성 = 144
제2절 생계윤리의 담론과 위장된 순응의 체계 = 156
1. 국가: 고난-인내의 도덕담론과 희생양의 통합메커니즘 = 156
1) 고난-인내의 도덕담론과 선군시대 도덕의리 = 156
2) 비사회주의 현상과의 투쟁과 희생양의 통합메커니즘 = 161
2. 관료: 위기-부족의 담론과 비도덕적 가족주의화 = 168
1) 위기-부족의 담론과 자체 생존의 현실 담론 = 168
2) 행정적 '도덕규율'의 붕괴와 비도덕적 가족주의화 = 173
3. 인민: 생계윤리의 담론과 장터개인주의의 일상화 = 174
1) 집단적 도덕 목표와 생계윤리의 이중구조 = 175
2) 경제심성의 변화와 장터개인주의의 일상화 = 180
제3절 마을체제와 담론의 질서: 통제의 구심력과 생존의 원심력 = 184
1. 국가의 축적체계와 지방희생의 담론 = 184
1) 국가의 축적-소비 균형과 지방경제의 자체해결 담론 = 184
2) 중앙의 통일적 지도와 지방의 창발성 담론 = 186
3) 인민적 시책의 지방 책임화와 지방 인구 통제 담론 = 200
2. 타협조정의 지방정치와 자체해결의 담론 = 205
1) 주인-대리인 관계와 중앙-지방관계 및 이익 공모 = 205
2) 지방 내부의 공모담합협력의 관계들 = 208
3. 주민의 심성구조 변화와 공동체 일상의 담론 = 228
1) 노동자농민들의 심성구조 변화 = 229
2) 공동체 심성과 일상의 담론 = 234
제4절 요약 및 소결 = 242
제4장 계획-재분배의 메커니즘과 생존-연결망의 정치 = 245
제1절 계획-재분배 사이클의 사회적 구조와 위기 = 247
1. 국가 축적체계와 계획-재분배 전략의 실패 = 247
1) 중공업 우선 노선과 국내 생산-재분배를 통한 축적 = 248
2) 자립적 민족경제 노선과 대외관계를 통한 축적 = 269
2. 계획의 불확실성과 관료적 재분배의 왜곡 = 278
1) 정보화의 실패와 계획화의 왜곡 = 279
2) 관료적 재분배의 왜곡과 행정적 도덕규율의 붕괴 = 282
3. 노동의 도덕화와 노동서사의 핍진성 = 286
1) 노동과 동원의 도덕화와 인격적 지배의 담론 = 287
2) 노동과정의 핍진성과 노동일상의 미시질서 = 289
제2절 계획-재분배 사이클의 붕괴와 생존의 사회적 관계 = 291
1. 국가: 수령경제와 충성자본-정치자본의 교환전략 = 292
1) 수령경제의 통치자금 경로와 시장교환 관계 = 294
2) 상징자본의 경제자본화 전략 = 306
2. 관료: 계획의 관료적 봉합과 정치자본의 경제자본화 전략 = 309
1) 계획의 관료적 봉합과 시장교환 관계 = 309
2) 정치자본의 경제자본화 전략 = 311
3. 인민: 생존의 '장터경제'와 작업장 관료자본의 교환전략 = 327
1) 주민들의 '장터경제'와 시장교환의 관계 = 328
2) 관료자본을 통한 경제자본화 전략: 시장교환과 관료통제 = 333
제3절 마을체제의 계획-재분배 체계와 생존의 사회적 교환질서 = 335
1. 국가 축적체계와 지방의 정치자본 교환전략 = 335
1) 계획과제 수행과 비공식적 교환 전략 = 335
2) 정치자본과 지방 현실의 타협 = 343
2. 지방 관료의 정치자본의 경제자본화 전략 = 344
1) 뇌물수수-담합과 정치자본 활용 = 344
2) 주민경제 약탈 기생과 정치자본 활용 = 347
3. 주민 장터경제와 작업장 관료자본의 교환전략 = 349
1) 마을 주민들의 생존방식과 교환 세계 = 349
2) 협동농장의 노동일상과 생존전략 = 350
제4절 요약 및 소결 = 355
제5장 시장교환의 메커니즘과 비도덕적 가족주의화 = 358
제1절 시장교환의 체계와 수령경제의 생존 전략 = 360
1. 가산제적 가족경제와 북한체제 = 360
1) 가산제의 권력기초와 가족경제의 작동원리 = 360
2) 가산제적 가족경제 원리와 북한체제 = 361
2. 수령경제의 비도덕적 가족주의화 전략 = 364
1) 수령경제의 형성과 재생산의 구조 = 364
2) 수령경제의 사회관계와 시장교환 관계의 결합구조 = 367
제2절 시장교환의 체계와 관료세계의 생존 전략 = 370
1. 가산제적 가족경제와 사회주의 관료체계 = 370
1) 가산제적 합리성과 관료적 실천의 구조 = 370
2) 사회주의 관료세계의 연줄과 호혜의 원리 = 373
2. 관료세계의 비도덕적 가족주의화 전략 = 378
1) 정치자본 획득 전략과 비도덕적 '기관본위주의' = 378
2) '장터경제'의 교환체계와 관료들의 약탈적 기생 = 386
제3절 시장교환의 체계와 주민들의 '장터개인주의' = 391
1. 시장교환과 '장터경제'의 사회적 관계 = 391
1) '장터'의 사회적 함의와 '장터경제'의 개념 = 391
2) 국가통제 변수와 시장교환의 관계 = 393
3) 생산적 자본의 미성장과 '장터개인주의' 심성 = 399
2. 시장의 도덕적 '묻힘'과 사회적 관계의 변화 = 401
1) 시장교환의 정치적도덕적 함의 = 401
2) '도덕화된 가격', '경쟁가격'과 '정의로운 가격' = 402
제4절 요약 및 소결 = 405
제6장 결론: 도덕경제의 사회적 구조와 북한체제 = 406
<참고문헌> = 412
<부록> = 435
ABSTRACT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