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상세내역
저자 오원환
학위 박사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공 언론학과
발행연도 2011년
쪽수 295
지도교수 마동훈
키워드 #오원환   # 탈북   # 탈남   # 정체성   # 민족국가   # 디아스포라   # 이동   # 불안   # 북한이탈주민   # 탈북자   # 탈북청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은 북한 사회의 탈출 이후 중국, 한국을 경유하여 영국으로 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탈북 청년이 경험하는 정체성 변화에 대한 연구다. 탈북 청년의 탈 국경(脫 國境)적 이동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은 삶의 조건에서 파생된 불안이 이동의 동기였으며 새로운 정체성 형성의 계기라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식량난으로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렸고, 중국에서는 불법월경자라는 이유로 극도의 신변불안을 느꼈다. 경제적 가치가 무엇보다 강조되는 한국 사회에서는 막연하면서도 지속적인 자신의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을 떨칠 수 없었다. 이러한 불안을 야기시킨 삶의 조건들은 탈북 청년의 정체성 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탈북 청년은 비교적 단기간에 다양한 구조들을 경험하고, 다양하게 호명되면서 거주 공간의 상징적 질서 속에 배치되고 타자화됐다. 그리고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형성된 탈북자 정체성과 조응하고 갈등하면서 정체성 혼란과 위기를 경험했다. 정체성 개념은 탈북자를 둘러싼 다양하고 추상적인 힘들에 대한 현실에서의 경험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그래서 탈북자의 삶의 조건이나 불안의 모습을 정체성의 문화적 재현이나 자기 재현을 통해서 발견하고 해석할 기회를 갖게 된다.
이 연구의 주요 관심사는 세 가지다. 첫째는 탈북 청년의 민족국가 정체성의 변화 양상이다. 북한에서는 민족적 정체성과 국가적 정체성이 거의 일치했으나, 중국과 한국 그리고 영국으로 이동하면서 민족국가 정체성은 분화되고 변화된다. 특히, 한국에서 탈북자가 경험하는 민족적 정체성의 변화는 남과 북의 민족주의가 구체적 현실에서 충돌한 결과이다. 둘째는 탈북 청년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의 형성이다. 탈북과 재중생활에서 경험되는 디아스포라적 특징, ‘조상의 땅’인 한국에서 발견되는 탈북자 디아스포라의 특수성, 그리고 영국에서의 본격적인 디아스포라 등을 통해서 탈북 청년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 형성을 해석하고 예측한다. 마지막 관심사는 탈북 청년의 탈남 현상이다. 탈남 현상은 탈북자를 둘러싼 한국 사회의 지배적 힘들이 경합한 결과이다. 탈북 청년의 이산민적 삶의 경험과도 관련이 깊다. 그래서 탈북자 정체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담론적 질서들과 탈북자를 타자화시키는 매커니즘을 분석하고, 탈북자의 이산민적 경험과 특정한 상상의 방식을 통해서 탈남 현상을 해석한다.
이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탈북 청년 개인들의 역사적 경험과 인식의 변화를 통해서 탈북자를 이해하고, 오늘의 한국 사회를 성찰하는 것이다. 그것은 결국 남과 북을 모두 경험한 탈북자를 통해서 통일시대의 문화적 통합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추상적 수준이 아닌 현실의 구체적 삶에서 발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Facing an identity crisis is utterly inevitable for North Koreans who have escaped from their homeland to seek a better life in another country. People under North Korean rule are suffering—famine and hunger-related illness—as they are forced to worship their dear leader. It was bound to happen that some people sought to flee the country for a better life, and yet they are facing another obstacle: identity politics.
This thesis analyzes the identity politics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migrated to the U.K. through the route of China and of South Korea after they had fled from North Korea. Upon stepping in the new country, North Korean youths were at first seen not as a refugee, but as an illegal alien in China. They were placed as ‘the hostile and poor other inside nation’ in neo-liberalistic South Korea. The youths came across rapid and various structural changes in relatively short period; they were interpellated as ‘others’ and were considered as strangers, being constantly and symbolically discriminated in places they reside. The anxieties that they received became motives for them to form a new type of identity as well as to leave for a better life. The surrounding of newly residing places has made the youths to experience identity crisis, and, in every place they go, their identities are constantly reconstructed. The concept of identity suggests an empirical basis in everyday lives explicating some significant forces surroundi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contributing to discover and interpret their conditions as well as anxiety through cultural and self representation.
This study, furthermore, examines the change of nation-state identity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during the movement and settlement. Within the national identity lies the meaning of an imagined people a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ommunity, along with the meaning implying the social community that i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These two identities are strongly connected in North Korea. However, upon settling in various countries—China, South Korea and the U.K.—two identities were no longer integrated with other and they were separated as completely separated entities. Especially in South Korea, the youths’ national identities constantly change in the collision of both Korean (abstract) nationalisms in concrete situations. Moreover,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their diasporic identity; the youths have acquired the diasporic characteristics during their stay in China, and also experienced another phase of diaspora in South Korea as well as in the U.K. Lastly, this study examines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North Koreans are leaving South Korea. They departed the country because of personal reason as well as structural reason. Especially, North Korean youths in South Korean society thought that an unconditional standard for better life lies in the economic value. Their vision of a competitive person is someone who is equipped with skills to run the economy, with reasonable fluency in English. For the youths, the issue of English language is one of the skills that ease their own economic unrest that runs constantly with uncertainty.
The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to achieve cultural integration and reunify the Korean peninsula peacefully, we need to first understand the extraordinary lifetim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people and their struggles to survive both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It seeks to understand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personal experiences through changes of their identities and reflections of Korean society.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9
제3절 연구문제 13
제4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17
1. 연구대상 17
2. 연구방법 20
제5절 논문의 구성 27
제2장 전지구화시대의 민족국가 정체성 30
제1절 정체성 개념 고찰 31
제2절 근대 민족국가와 민족국가 정체성 35
제3절 전지구화(globalization) 시대의 민족국가 정체성 41
제4절 소결 49
제3장 북한 주민의 정체성과 탈북의 의미 52
제1절 북한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 구조 52
1. 북한의 정치∙경제와 계층 구조 54
1) 북한의 정치∙경제 체제 54
2) 북한 사회의 계층 구조 57
2. 북한의 주체사상과 민족주의 59
1) 북한의 주체사상 59
2) 북한의 민족주의 63
3. 북한 주민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 66
제2절 북한 주민의 탈북 동기와 과정 75
1. 북한 주민의 탈북 동기 75
2. 탈북 과정과 경로 87
제3절 북한 주민의 탈북과 그 의미 91
1. 탈국경의 경험 91
2. 정체성의 혼란 94
1) 새로운 삶과 정체성의 혼란 94
2) 가족 해체와 정체성의 혼란 98
제4절 소결 105
제4장 재중 탈북자의 이주와 정체성의 변화 107
제1절 재중 탈북자에 대한 관련국의 인식 109
1. 중국과 국제 사회의 재중 탈북자 인식 109
2. 북한과 남한의 재중 탈북자 인식 114
제2절 재중 탈북자의 삶과 정체성의 문제 117
1. 비법월경자(非法越境者)로서 재중 탈북자의 삶 117
2. 재중 탈북자의 한국에 대한 환상 124
제3절 한국으로의 이주와 망명 과정 132
제4절 재중탈북자의 한국행과 그 의미 140
1. 민족국가 정체성의 변화 140
2. 재중탈북자의 디아스포라 143
제5절 소결 149
제5장 한국 사회의 탈북자 정체성과 탈남의 의미 151
제1절 한국 사회의 탈북자 정체성 152
1. 한국 사회의 탈북자 인식 152
1) 탈북자의 입국현황 153
2) 관련법의 변천 155
3) 탈북자를 구성하는 상징적 질서들 165
2. 탈북자 정체성에 관한 호명 176
1) 시니피앙으로서의 ‘탈북자’ 177
2) 탈남인가 위장망명인가? 190
제2절 탈북자의 탈남 동기와 과정 193
1. 탈북자의 탈남 배경과 동기 194
1) 문화적 이질성 197
2) 경제적 빈곤과 불안 202
3) 사회적 관계망의 부실 209
4) 탈북자의 정체성 혼란 214
5) 가치관의 급격한 변화 223
6) 한국에서의 탈북자 디아스포라 232
2. 영국으로의 탈남과 디아스포라 239
1) 탈북자의 탈남 현황과 망명 절차 239
2) 망명 신청자(Asylum Seeker)로서의 삶 246
3) 난민(Refugee)으로서의 삶 251
4) 영국에서의 탈북자 디아스포라 257
제3절 탈북자의 탈남 의미와 정체성 262
제4절 소결 267
제6장 결론과 제언 269
제1절 결론 및 요약 269
제2절 한계 및 제언 278
[참고문헌]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