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독일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청소년 정치교육

Political education of youth in East Germany after reunification

상세내역
저자 임춘희
학위 박사
소속학교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전공 통일교육전공
발행연도 2012년
쪽수 314
지도교수 신종대
키워드 #임춘희   # 독일통일   # 동독   # 청소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은 독일통일 전후 동독지역의 청소년 정치교육을 분석한 것이다. 동독지역은 통일과정에서 사회적 변혁이 급격히 이루어진 곳이다. 독일의 통일 과정에서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사회주의 이념과 제도 속에서 성장한 동독 청소년들을 통일된 사회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것은 동시에 동독 청소년들이 그동안 받아왔던 사회주의적 정치교육을 통일된 사회에서 어떻게 전환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독 청소년들이 어떻게 통일을 경험하였는가를 살펴보았고, 통일 이후 나타난 청소년 사회문제는 어떤 것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교육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통일 이후 등장한 여러 가지 정치교육 담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동독에서는 사회주의를 건설하고 산업화의 추진력으로서 정치교육이 매우 강조되었다. FDJ를 통해 청소년들의 사적영역까지 통제하려고 하였으나 서독 TV를 통해 서구적인 가치를 받아들이면서 이미 80년대부터 청소년들은 심성구조의 변화를 겪게 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일상생활에서부터 정치교육이 소리 없이 무너지고 있었고 이것이 결국에는 독일 통일로 가는 내재적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독일이 통일되는 과정에서 동서독 청소년들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서로 다른 사회에서 성장한 동서독 청소년들이 차이점 보다는 유사점이 크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 이유를 1980년대 후반에 동독청소년들의 가치관이 서독청소년들의 가치관과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구동독지역에 이미 1970, 80년대부터 서독의 매스컴의 영향과 사적영역의 비공식적인 여가문화의 확산을 통하여 가치관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통일된 독일에서의 청소년 사회문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논의될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통일이라는 특수 상황과 관련하여 독일에서 발생되는 청소년문제를 사회적 변화에 따른 정체성의 전환문제, 실업과 폭력문제 그리고 사회 문화적 갈등문제 측면과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교육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통일 이후 구동독 여러 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치교육에 대한 담론은 구동독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입장, 서구 민주주의 가치 확립을 강조하는 입장,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해 역사의식을 강조하는 입장, 보편주의적인 민주정치문화 학립을 강조하는 입장을 살펴보았다.
또한 통일 이후 정치교육의 방향이 서독식 정치교육의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비판하고 동독 지역 청소년들에게는 특수한 상황을 전제로 한 정치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동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치교육과 서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치교육이 동시에 요청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사회 문화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정치교육의 내용에는 서독에서 성공한 정치교육의 성과가 반영되어야 하며, 동독지역 청소년들로 하여금 서독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단순히 습득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객관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동독 청소년들에게 새로 맞이한 통일사회는 전체 유럽역사와 세계화의 맥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견해를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통일 독일에서 청소년 정치교육의 담론과 내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은 한국의 통일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독일이 통일 이후 직면하고 있는 사회 문화적 갈등 문제는 통일이 되면 우리도 언젠가는 만나게 될 통일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political education of youth in East Germany around the era of German Reunification. East Germany had seen revolutionary social changes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Here our focus lies in "How to educate East German youth who had grown in the socialist ideology and system to attain desirable values in the reunified society". This also involves the matter of how to make adjustments to the socialist political education under which East German youth had been raised. Hence, this thesis concerns the experiences that East German youth went through during the reunification process and the new problems that were brought up among the East German juveniles as well as the function of political education as a solution to such problems. In addition, this thesis also deals with various kinds of political education discourses that came into light after reunification. In East Germany, political education was vastly emphasized as a momentum for achieving socialism as well as industrialization. The government even tried to have control over private lives of the youth through FDJ, but they already underwent internal changes due to the inflow of Western values through Western German TV. In other words, East Germany's political education began to collapse from the basis of teenagers' daily life, and this is considered one of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Comparative analysis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shows that there we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German youth and the West German youth despite their distinctive backgrounds. The reason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East German youth had shared similar values with the West German youth in the late 1980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changes in the value system of Eastern Germans through the influence of Western German mass media in 1970s and 80s as well as the spread of unofficial recreation culture in a private sector.
Many different cases can be discussed on the issue of juvenile social problems in the reunified Germany, but this research specifically examines the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s of identity crisis, unemployment, violence, and sociocultural conflicts in light of post-reunification social changes that occurred in such a unique situation as reunification.
The discourses this thesis explored on the post-reunification political education in several states in East Germany are as follows: the view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East Germany, the view declaring the importance of the establishment of Western democratic values, the view stressing the historical awareness to settle ethnic identity, and lastly the view highlighting the establishment of general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This thesis also criticizes the uniform application of Western German style political education and claims that it is imperative to provide an appropriate polit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circumstances of adolescents in West and East Germany. In order to resolve the sociocultural conflicts, the new political education should reflect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the political education of Western Germany. Furthermore, it should be able to teach adolescents living in the old-East Germany how to objectively evaluate values and norms of the Western Germany rather than simply obtain them. The research also notes that it is needed for the adolescents in the old-East Germany region to understand the unified Germany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European history as well as the globalization.
The analysis about the political education of the unified Germany for the youth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contex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amifications of the sociocultural conflicts in the unified Germany would be the very problems that Koreans would confront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
목차
국문요약 = v
제Ⅰ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1. 문제의 제기 = 1
2. 선행 연구 검토 = 5
제2절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 12
1. 이론적 배경 = 12
2. 분석틀과 주요개념 = 22
제3절 연구 방법 및 논문의 구성 = 28
1. 연구 방법 및 자료 = 28
2. 논문의 구성 = 32
제II장 통일 이후 동독지역 청소년 특징과 사회문제 = 33
제1절 동독 청소년의 일반적 특징 = 34
제2절 통일과정의 동독지역 청소년 특징 분석 = 37
1. 가치관 = 37
2. 가정생활 = 46
3. 학교생활과 여가생활 = 54
4. 교회생활 = 63
제3절 통일 이후 동독지역 청소년 사회문제 = 67
1. 정체성의 전환 문제 = 67
2. 실업과 외국인 폭력문제 = 82
3. 사회·문화적 갈등 문제 = 106
제III장 통일 이후 동독지역 청소년 정치교육의 변화와 과제 = 143
제1절 통일 이전 동독 청소년 정치교육의 특징 = 144
1. 80년대 이전까지의 정치교육 = 144
2. 80년대의 정치교육 = 165
제2절 통일 이후 동독지역 청소년 정치교육의 변화 = 173
1. 학교 교육제도과 교육과정의 변화 = 173
2. 교육과정 개혁에 따른 정치교육의 변화 = 181
제3절 통일 이후 정치교육의 내용 및 교육과정 분석 = 188
1. 정치교육의 내용 = 188
2. 정치교육 과정 및 교과서 분석 = 197
3. 정치교육 방법 = 204
제4절 통일 이후 청소년 정치교육의 과제 = 208
1. 정치교육에 대한 담론 = 208
2. 정치교육의 방향 = 219
제IV장 통일독일 정치교육이 한국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 227
제1절 통일독일의 정치교육 담론과 한국의 통일교육 = 228
제2절 통일독일의 정치교육 내용과 한국의 통일교육 = 232
제3절 새로운 한국의 통일교육 방향 = 235
제V장 결론 = 241
참고문헌 = 247
부록 = 272
1. 1차 인터뷰 = 272
2. 2차 인터뷰 = 286
3. 분석교과서 목차 내용 = 298
ABSTRACT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