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주민의 민주시민교육 경험을 통한 삶의 관점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Perspective Change in Life through Democratic Civil Education for North Korean Settlers in Korea

상세내역
저자 조인묵
학위 박사
소속학교 숭실대학교 대학원
전공 평생교육학과
발행연도 2016년
쪽수 179
지도교수 기영화
키워드 #조인묵   # 북한이탈주민   # 민주시민교육   # 삶의 관점 변화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민주시민교육 참여를 통한 삶의 관점 변화를 분석하여 실제적 이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하나원이나 하나센터 등에서 의 민주시민교육 경험을 통해 삶의 관점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연 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으로 진행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2013년도 이후 에 하나원과 하나센터에서 교육을 받은 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들은 눈덩이 표집방법(snowball selection)을 통해 선정하였고 선정된 12명의 연구 참여자에 대해 다섯 차례에 걸친 심층인터뷰를 하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개방 코딩과 축 코딩 및 선택 코딩을 통해 내용 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법 (member checking), 연구자 편견 공개법(researcher’s bias reveal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 윤리성과 관련하여 연구 참여자에 대한 보호관점에서 연구개시 전에 연구에 참여한 사람에게 연구 참여 동의 서를 통해 연구제목 및 연구자, 연구목적 및 방법 그리고 연구절차 등 에 대한 내용을 공지하였으며 자료 누락 방지와 오류 해석 방지를 위 한 줄 단위 코딩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였다. 본 논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북한이탈주민이 민주시민교육 경험을 통하여 삶의 관점이 변화되는 과정은 북한에서 살면서 겪었던 뼈아픈 추억과 하나원의 민 주시민교육 내용 편성에 대한 실망감, 그에 따른 민주시민교육의 무용 론 제기 등에 따라 삶의 관점 변화에 부정적인 요인도 있었지만 또 다 른 한편으로 민주시민교육 내용과 교육제도의 유익성에 대해 깨달으면 서 ‘진정한 민주주의 모습을 인식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했다. 무엇보다도 북한이탈주민은 본래의 자아 정체성을 발견하고 참여교 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상생 협력하는 긍정적인 삶의 태도로 변화 되어 감을 체험하고 남한사회에 바르게 안착하기 위해서는 사각지대 실상을 정확하게 체험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남한사회에 서 진정한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는 북한에서 행복했던 요소들은 계속 발전시키고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체험하게 된다. 두 번째, 민주시민교육 경험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삶의 관점 변 화의 핵심은 인생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민주시민교육 참여’이었다. 삶의 관점 변화는 민주시민교육 참여에서부터 단초가 되기 시작했다. 교육을 통해 그들의 인식 및 행동의 전환이 동시에 일어난 것이다. 민 주시민교육을 통해 인생의 전환점을 가져왔으며 분명한 삶의 목표가 생기게 되었고 목표가 정해지니 목표달성을 위한 각오를 다짐하게 되 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삶의 목표로 인해 북한에서의 불행했던
일들을 어느 정도 잊어버리게 되었고 사고(思考)가 어느 한쪽으로 치 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능력도 배양하게 되었다. 인생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민주시민교육 참여’는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과 조직, 그리고 사회적으로 삶의 관점 변화를 실현하게 됨으로써 사회전반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민주시민교육 경험을 통해 진정한 민 주주의를 발견해 가는 과정에서 평생교육의 목적 및 취지에 맞게 되어 개인의 삶의 질도 높여가게 되었다. 그리고 삶의 관점 변화를 위한 교 육적 패러다임을 통하여 하나원 교육 및 평생교육 기관의 민주시민교 육 프로그램에 대한 쇄신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기업에서도 민주 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민주시민교육의 가치를 확산시켜 국민의 관심을 제고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building a theory on analyzing the perspective change in life through 『democratic civil education』 of North Korean settlers in Korea.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as set. how are their perspectives on life changed through education? For the stud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had received the education in Hanawon and Hana-center. They were chosen through a snowball selection, and data was collected five times through in depth interviews with the 12 selected participants and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s;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s. To ensure validity of the study, methods like member checking and researcher’s bias revealing were used. For ethical integrity focused on the participants’ protection were informed of the subject, the researcher, the purpose, the methods and the procedure of the study, and the principle of the joule was strictly observed to prevent missing data and distor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settlers’ perspective on life through democratic civil education had negative factors in the process of change because doubt about the education was raised with regard to the time when they had been hopeless and disappointment about Hanawon’s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started to recognize “what genuine democracy is” with its usefulness of contents and system of education. Finally, they experienced the change of their life through repeated cycles of the strategic behaviors. Most of all, they experienced their change into a cooperative and positive life attitude, and learned that they should be aware of the reality of a dead zone to settle in South Korea, and figuring out who they were and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participatory education. In addition, they learned that it is desirable to keep developing what had made them happy in North Korea and that was knowing that would get freedom in South Korea. Likewise, the repeated cycle of the period of experience, transformation, and the formation after the early phase of realizatio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leads to their perspective change on life by reflecting their experiences they got through the repeated cycle of the strategic behaviors of life and putting them into action. Second, the point of the perspective change on life through civil education was “Democratic civil education serving as priming water”. The perspective change on life originated from this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 the change of their recognition and behaviors was made at the same time. Democratic civil education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m, They could set a goal because of it, and accordingly they made a resolution to achieve it. What’s more, their goals caused them to forget the time when they had been unfortunate in North Korea to some degree, and they were able to prevent having a biased opinion. “Democratic civil education serving as priming water”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ety by changing their perspective on life personally and socially through continuous efforts. In this way, the theoretical model of how their perspective on life was changed wa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studying this subjec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participant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personal life concerning the goal of lifelong education, while they were realizing what genuine democracy is through democratic civil education. In addition the educational paradigm for the perspective change on life caused democratic civil education programs in Hanawon and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to be renovated. Also, this led some corporations to be interested in democratic civil education and people to pay more attention to it by spreading its educational value.
목차
국문초록 ⅵ
영문초록 ⅶ
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2 연구문제 6
1.3 용어의 정의 6
제 2 장 문헌 고찰 7
2.1 북한이탈주민의 실태 7
2.1.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7
2.1.2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8
2.2 민주시민교육과 관점변화 10
2.2.1 시민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개념 10
2.2.2 민주시민교육의 특성 및 필요성 13
2.2.3 민주시민교육 실태 및 방향 15
2.2.4 바람직한 민주시민교육 방향 ·23
2.2.5 삶의 관점 변화 ·26
2.2.6 북한이탈주민의 의식변화 ·27
2.2.7 전환학습 ·31
제 3 장 연구방법론 33
3.1 연구 방법 33
3.2 연구 참여자 37
3.2.1 연구 참여자 선정 37
3.2.2 연구 참여자 특성 39
3.3 자료수집 47
3.4 자료분석 48
3.4.1 개방 코딩 51
3.4.2 축 코딩 51
3.4.3 선택 코딩 52
3.5 연구윤리와 타당성 53
제 4 장 연구의 결과 55
4.1 개방 코딩의 결과 55
4.1.1 제2의 인생을 설계하게 한 학습 58
4.1.2 남한의 선진학습제도에 감탄 64
4.1.3 민주시민교육 참여 66
4.1.4 아직도 멀고 먼 맞춤형 학습 69
4.1.5 남한제도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시행착오와 상실감 73
4.1.6 북한에서의 뼈아픈 추억 77
4.1.7 북한의 빈익빈 부익부 81
4.1.8 암담한 북한사회 환경 83
4.1.9 희망하는 직업 갖기 어려움 ·87
4.1.10 정보제공과 동영상 교육의 중요성 88
4.1.11 북한 등에서의 행복했던 추억 91
4.1.12 인생의 좌우명을 설정하고 각오를 다짐 94
4.1.13 남북한의 실상 재인식 99
4.1.14 진정한 민주주의 모습 인식 101
4.2 패러다임 범주 분석 06
4.2.1 인과적 조건 109
4.2.2 중심현상 110
4.2.3 맥락적 조건 111
4.2.4 중재적 조건 112
4.2.5 작용·상호작용 전략 115
4.2.6 결과 116
4.3 핵심범주 : 민주시민교육 참여 119
4.3.1 이야기 윤곽 121
4.3.2 유형분석 127
제 5 장 논의 및 결론 133
5.1 요약 133
5.2 논의 134
5.2.1 민주시민교육 참여를 통해 시작된 삶의 관점 변화 135
5.2.2 민주시민교육 참여를 통한 사회적 비전 137
5.3 결론 및 제언 141
5.3.1 결론 141
5.3.2 제언 145
참고문헌 146
부 록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