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주민 제노포비아(Xenophobia) 현상의 유발요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Xenophobia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상세내역
저자 신동선
학위 박사
소속학교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전공 경찰학
발행연도 2016년
쪽수 148
지도교수 신현기
키워드 #신동선   # 북한   # 이탈주민   # 제노포비아   # Xenophobia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들의 현황 및 범죄실태(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들이 우리 사회에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는 정책적인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의 유발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5
제2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북한이탈주민 개관 6
1. 북한이탈주민의 의의 6
2. 최근 북한이탈주민의 특징 6
3.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일탈 10
4. 북한이탈주민 현황 및 범죄 실태 12
제2절 제노포비아 개관 25
1. 제노포비아의 의의와 기원 25
2. 제노포비아의 유발 요인 26
3. 제노포비아의 유형 33
4. 제노포비아의 확산 40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41
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선행연구 41
2. 제노포비아에 대한 선행연구 45
3.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 48
제3장 연구의 설계 50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50
1. 연구모형의 개발 50
2. 연구가설의 설정 51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54
1. 독립변수 54
2. 매개변수 56
3. 종속변수 56
4.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57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59
1. 표본설계와 자료수집 59
2. 분석방법 60
제4장 조사결과의 결과 및 논의 61
제1절 연구대상자의 특성 61
1. 인구사회학적 특성 61
2.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접촉과 인식 62
3.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유발요인 70
4.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정도 76
5. 북한이탈주민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대응방안 필요성에 대한 인식 78
제2절 상관관계 분석 99
제3절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접촉과 인식 및 제노포비아
유발요인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제노포비아 정도에 미치는 영향
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접촉과 인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정도에 미치는 영향 101
2. 제노포비아 유발요인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정도에 미치는 영향 102
제4절 제노포비아 정도가 북한이탈주민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대응방안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104
제5절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의 매개효과 106
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접촉 및 인식과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대응방안 필요성과의 관계에서 제노포비아의 매개효과 106
2. 제노포비아 유발요인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대응방안 필요성과의 관계에서 제노포비아의 매개효과 108
제6장 결 론 111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11
제2절 정책적 제언 113
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제고 114
2. 민족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함양 114
3. 사회적 거리감 해소 위한 대중매체 역할 강화115
4.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존중 풍토조성 116
5. 북한이탈주민 기본권 보장위한 법·제도적 장치 마련·117
참고문헌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