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세내역
저자 전예숙
학위 박사
소속학교 경성대학교 대학원
전공 교육학과
발행연도 2019년
쪽수 158
지도교수 강성빈
키워드 #전예숙   # 북한이탈주민   # 적응   # 정착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북한 이탈주민이 남한 사회적응에서 겪는 경험은 무엇인가? 2. 북한 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적응 경험의 구조와 본질은 무엇인가? 참가자들은 37-61세의 남녀 7명이었다. 2018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1대1로 수집되었고,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심층 인터뷰가 진행되었으며 인터뷰는 2-3회나 진행됐고 인터뷰는 40분에서 1시간 20분이었다.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분석은 Giorgi (1997)의 방법을 사용하여 동시에 수행되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에 관한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에 적합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의 일상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또한, 그 경험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의 실제적인 경험의 구조와 본질을 파악하는 연구 결과는 29 가지 공식화된 의미에서 7가지 주제를 확인했다.
다음과 같은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에 관해서 : 1) 그 땅에서 살 수 없어 떠나왔음. 2) 막연하지만 미래를 대비해야 된다고 생각함. 3) 같은 민족임에도 문화가 달라 혼란스러움. 4) 일상생활에서 소통과 대화가 어려움. 5) 차별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느낄 때는 힘듦. 6) 남한에서 잘 사는 것은 나 하기에 달렸음. 7) 진정한 이웃이 될 수 있기를 바람.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경험의 의미는 북한을 탈출할 때의 자신의 모습, 남한 사회에서 남한 사람처럼 되기 위한 노력, 궁극적으로 자신의 원래 모습을 재발견하고 주체성을 회복하는 자아 등의 전환을 통해 남한에서의 적응과정에서 어려움들이 있어도 적응하면서 대비해 나가는 과정에서 특히,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사회에서 자각하는 자신의 역할을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은 가족으로부터 소속감과 미래의 삶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지지체계, 특히 가족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제언으로는 첫째,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전반적인 남한사회 생활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적응 경험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남한에 거주한 지 5년 이상이고 자신의 직업을 비교적 만족스러운 상황인 사람들로서 남한입국이 5년 미만인 북한이탈주민과는 달리 남한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안정적으로 자리잡고 있는데도, 여전히 남한사회의 일상에의 완전 적응, 통합에의 장애를 느끼고 있다는 점이다. 남한에서 잘 사는 것은 나 하기에 달렸다는 생각을 하며 자유를 누리고 있으나 진정한 이웃이 될 수 있는 일상의 과정들이 쉽지 않다는 지적은 이들에게 보다 밀착된 사회관계적, 평생교육적 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히나 ‘북한이탈주민’의 실제 생활의 적응이 대부분 지역 사회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이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친밀한 이웃과 인적 네트워크를 확대할 수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들을 지방자치기관의 가장 기초적인 주민센터나 민간단체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는 노력이 절실하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주민들이 그들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짧은 기간에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의 체제와 문화에 적응 한다는 것은 어렵고 좌절도 있지만 스스로 변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미래의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 달성을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하고 있다는 그들의 모습을 그대로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정책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은 의지가 되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얻었으므로 소외되어 있는 북한이탈주민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안하며, 따라서 활동 및 행사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이 아닌 남한 사람들과의 멘토링 프로그램 등 구체적 지지망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제언한다. 둘째,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사회에서 가족을 재형성하고 가족으로부터 긍정적 지지를 받으므로 건강한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단란한 가족구성원들의 역할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적응 경험이 어떠한 것인지 탐색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한국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이 이질감을 줄여 자유민주주의 속에서 만족하며 삶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6
II. 문헌고찰 8
A. 북한이탈주민의 특성과 사회적응 현황 8
B. 정착지원제도와 사회적응 연구 30
C.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39
III. 연구방법 44
A. 현상학적연구 방법의 특성 44
B.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46
C. 인터뷰가이드 구성 51
D. 자료수집 53
E. 자료분석 방법 53
F. 연구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 56
G.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57
IV. 연구결과 58
A. 주제와 중심의미에 따른 한국사회적응 경험의 상황적구조 58
B.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적응 경험에 관한 개별적구조 111
C.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적응 경험에 관한 일반적구조 118
V. 논 의 126
VI. 요약, 결론 및 제언 132
A. 요약 132
B. 결론 및 제언 133
참고문헌 136
Abstract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