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현대북한연구 27권 1호(2024)

상세내역
저자 한울 편집부 , 구갑우 , 이무철 , 조진구 , 한주희 , 이준식 , 김화순 , 박민주 , 남영호 , 류경아 , 홍건식 , Dean J.Ouellette
출판연도 2024년 05월 17일
출판사 한울
쪽수 464
키워드 #현대   #북한   #연구   #한울 편집부   #구갑우   #이무철   #조진구   #한주희   #이준식   #김화순   #박민주   #남영호   #류경아   #홍건식   #Dean J.Ouellette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한울 편집부
상세내역
주요내용
도서 PDF 받기:_현대북한연구 27권 1호 2024

『현대북한연구』 27권 1호에서는 일반논문 10편을 선정하여 싣는다.

구갑우는 김정은 집권 6년차에 구호처럼 등장했던 우리 국가제일주의가 하나의 이념처럼 체계화, 공식화되는 과정을 ‘계보학적’으로 접근한다.
이무철은 북한의 대남·통일정책 전환의 의미와 특성 등을 북한이 주장하는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조진구는 2002년 9월 북일 양국 정상회담 후에 발표된 평양 선언에 대한 양측의 인식과 대응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한주희는 시진핑 집권 제1기(2012~2017년) 중국의 갈등적 대북정책 결정요인을 ‘승리연합’의 규모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준식은 조선로동당 규약이 당 강령, 당의 조직·운영원리, 당 조직의 권한 및 대외 영도방침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북한 헌법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김화순은 노동시장에서 생존을 위해 공식/비공식 부문 간 경계를 가로질러 유동하는 노동자들을 가리켜 경계에 선 "생존노동자"라고 부를 것을 제안한다.
박민주는 시장화 이후 북한 주민의 이동·운반 경험을 통해 기술·사회적 변화 동향과 그 함의를 분석한다.
남영호는 북한 주민이 하나로 통합된 공동체라는 통념에 문제를 제기한다.
류경아·홍건식은 2019년을 기점으로 변화하는 북한의 기후변화 담론을 확인하기 위해 ??로동신문??의 관련 보도 내용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한다.
Dean J. Ouellette(딘울렛)은 관광정치의 렌즈를 통해 북한의 대내외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한의 ‘사회주의 관광’을 고찰한다.
상세내역
목차
[현대북한연구 27권 1호(2024) 목차]

편집자의 글

일반논문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계보학 / 구갑우
북한의 대남·통일정책 전환 분석: ‘우리 국가제일주의’를 중심으로 / 이무철
역사로서의 평양 선언과 북일 관계 / 조진구
시진핑 집권 제1기 갈등적 대북정책의 결정요인 분석: 정치지도자의 국내정치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 한주희
조선로동당 규약과 북한 헌법의 관계 연구 / 이준식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닫힌 세계 속 부유(浮遊)하는 북한 공장노동자들의 목소리 / 김화순
북한 주민의 모빌리티와 이동·통치·젠더 / 박민주
비가시성의 공동체: 북한에서 인민과 대중은 분리되는가 / 남영호
김정은 시기 기후변화 담론 변화 분석: 『로동신문』에 나타난 성과 정당화와 한계 / 류경아·홍건식
Contemplating Tourism Politics and North Korea’s Post-Pandemic World / Dean J. Ouellette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그날의 눈물
이전글 동북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