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민간인들이 영문도 모른 채 억울하게 죽음을 당하고 학살을당한 그 후손들은부모의 얼굴도 상면 못한 유복자뿐만 아니라 많은 아들딸들이 어두웠던 과거의 슬픈 사연을 안고 모진 세파에 시달리다벌써 70십 중반에 접어든 노인이 되었고 일부는 세상을 떠났다.
아버지의 사랑도 제대로 받지 못한 그 자식들은 세상의 냉대와 연좌제의 굴레에서 평생 가슴의 응어리로 남은 채 기를 펴지 못하며 살아오기도 하였고 또 어떤후손들은 빨갱이 자식이란 오명을 뒤집어 쓴 채 힘겹게 살아오다 세상을 떠난 유족도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창원유족회에서는 2022년 11월 26일 창원시와 경남도의 도움으로 마산합포구 가포동 시부지에 희생자위령탑이 세워지면서 일부 밝혀진 학살희생자들의 이름을 명각비에 새겨 넣기도 하였으며, 그 후손들의 아픈 사연들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2024년 제74주기 17차 합동 추모제에 맞춰 〈그날의 눈물〉이란 창원유족회 증언 3집을 발간하게 되었다. |
---|
목차 |
발간사 6
1부 - 고마운 분들의 이야기 보도연맹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 / 김영만 11 뼈에는 이데올로기가 없습니다 / 김영진 25 보도연맹원 학살을 발굴 취재, 보도 / 김주완 37 유족회 일을 내 일같이 도운 / 노창섭 51 양민학살에 치를 떨은 / 이상익 65 2부 - 잊혀져가는 유족들의 슬픈 이야기 숙직날야밤에 걸려진 인공기의 누명 때문에… / 강경석 79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복역 중 전쟁으로 희생 / 김일두 89 시민극장 모임에 가신 후연락 두절 / 김흥배 99 한의사 개업을 늦추며 독립운동에 투신했지만… / 노승용 107 이웃집에불꺼러 가셨다 사라진 아버지 / 방경희 117 동네 어귀에 놀러나간아버지가… / 이두희 127 저녁식사 중 정체불명의 사람들에 불려나간 후 사라짐 / 지점자 137 “잠깐 갔다 오겠다”며 따라나선 후사라진 아버지 / 최한홍 149 특별기고 90년대 이후 경남의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운동, 이렇게 시작되었다 / 김주완 159 진실화해위원회 진실규명 결정서 175 괭이바다 / 노치수 200 창원유족회 발자취 204 경상남도 각 시군별 유해 매장지 210 |
---|
다음글 | 전장에 두고 온 학생증 |
---|---|
이전글 | 현대북한연구 27권 1호(2024)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