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나, A4-5는 누구인가. 왜 여기에 묻혀 있는가”
인류학자, 73년 전 아무도 모르게 땅속에 묻힌 뼈와 조우하다 2023년 3월, 충남 아산 성재산에서 정체불명의 유골이 무더기로 발굴됐다. 양손이 ‘삐삐선(군용 전화선)’으로 묶인 채 일렬로 엎어져 쓰러진 유골들. 그 앞으로 역시 양손이 결박된 한 유골이 쪼그려 앉아 있다, 마치 잠에 든 듯한 모양새로. 그에게 ‘A4-5’라는 식별번호가 겨우 붙여진다. 도대체 이들은 누구인가? 《본 헌터》는 뼈의 증언을 좇는 집념의 인류학자 선주와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이 70여 년 세월을 초월해 만나는 스펙터클한 ‘유골 추적기’이자 생생한 역사 논픽션이다. 이 책의 저자이자 한겨레에서 30여 년간 베테랑 기자로 일해온 고경태는 꾸준히 폭력과 억압의 흔적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전작에서 특히 베트남전쟁기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사건을 면밀히 다룬 저자는 이번엔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과 국가폭력 피해자의 상흔을 심도 있게 다룬다. 2023년 3월 아산에서 유골이 발굴된 직후, 한 주에도 몇 차례씩 아산의 발굴 현장과 청주에 위치한 선주의 연구소를 찾아 취재했다. 그렇게 〈한겨레〉에 6개월 동안 폭발적으로 써내려간 기획기사 ‘본 헌터’를 개고하고,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해 발굴 연표·이름 대조표·역사사회학자의 발문을 추가하며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을 보강해 책으로 선보인다. 이 책은 두 이야기가 동시에 진행되는 독특한 ‘교차식 구성’을 따르며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의 참상과 땅속에 묻힌 진실을 추적한다. 먼저, 하나의 축은 민간인 학살사건 이야기로, 유골·생존 피해자·유가족·유품·관련 주변인·가해자 등 여러 화자의 시점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뼈아픈 학살 사건을 입체적으로 재현해낸다. 다른 하나는 인골에 대한 순전한 호기심으로 한평생 유해가 남긴 진실을 좇아온 실존인물 ‘뼈 인류학자’ 선주의 이야기이다. 영문도 모른 채 죽임 당한 이들과 집념의 인류학자, 서로 관계가 없어 보이던 두 이야기는 시공간을 초월해 결국 아산 민간인 학살사건으로 만나게 된다. 발문을 집필한 역사사회학자 강성현이 언급한 바와 같이, 두 이야기가 교차하는 “일종의 ‘다크 투어’ 방식으로 죽음의 이유와 특징을 탐문”한다는 점은 이 책의 큰 특징이다. 여기에 생생한 현장 사진과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으로 독자에게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높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한국전쟁 취재의 축은 충남 아산이었다. 처음 그 작은 도시에서 1000명 넘게 죽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놀란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러나 아산은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었다. 이름만 들으면 아는 대한민국 지역 중에 전쟁과 학살의 광풍을 비껴간 곳이 거의 없다. 그 지명 뒤에 모두 ‘대학살’이라는 말을 붙여도 모자람이 없다. 도대체 얼마나 많이 죽이고 죽었다는 말인가. _서문 중에서, 5~6쪽. |
---|
목차 |
서문: 기적을 꿈꾸며
1부 65만 시간의 기다림 사람을 할 결심 나, A4-5 끈기의 합기도 소년 중학생의 절규 슬기슬기 손 선생 “여긴 땅 파면 다 시체야” 모란, 폐결핵, 사투 검은 낫은 말이 없고 버클리의 두 얼굴 나는 어느 집 자식이었나 뼈들에 압도당하다 소리 없는 도망 아치섬에서 온 손님 사색 없이 사형, 사형 인류의 조상, 루시 나는 프락치가 됐다 흥수아이에 대한 추리 은비녀의 독백 장 선생 뼈의 증언 오빠의 환청 머리뼈의 역사 아버지를 찾아서 경식의 치아가 사라졌다 2부 “부역 혐의 처형” 육군유해발굴단으로 맹씨네 연좌제 태극기 휘날리며 7일간의 감금 미완의 집념 우리는 이성의 빛을 품고 있는가 역사와 목숨에 대한 상상력 죽음은 평등하지 않다는 것 금정굴 유해 발굴 큐브의 말들 귀신의 바다 왜 이렇게까지 죽였을까 상왕동의 찡그린 남자 충무공의 후손들 골령골과 모던 미스 신은 위대했다 슈팅스타가 창공을 가르자 사라진 아버지의 진실 사람이 아니라 시스템으로 아버지는 인민위원장 해양 뼈대학 피해자가 가해자로 마침내 만나다 본 헌터 봄을 기다리며 발문: 한국전쟁 전후, 광풍의 역사 틈으로·강성현 부록 - 인물 이름 대조표 -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해 발굴 연표 |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