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한반도 핵균형과 통일, 동아시아 연합

상세내역
저자 이충성
출판연도 2025년 06월 16일
출판사 알리바바북스
쪽수 162
키워드 #한반도   #핵균형   #통일   #동아시아   #연합   #대한민국   #핵무장   #이충성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이충성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수료
- 『한반도 핵균형과 통일, 동아시아 연합』 저자
- 『한국의 핵보유, 한반도 통일, 아시아 방위군 창설』 저자
- 『훈장님한자 천자문』 저자
- 『Nuclear balance on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n Union (Korean version)』 저자 (amazon.com)
- 『South Korea to become a nuclear stat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reation of the Asian Defense Force』 저자 (amazon.com)
- 『Korean Cheonjamun』 저자 (amazon.com)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은 최근 북한이 핵보유국이 되었음을 지적하면서, 한반도의 핵균형을 위해서는 대한민국 핵무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한반도 핵균형과 한반도 통일, 그리고 통일 이후에 통일 한국이 걸어가야만 할 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통일 한국을 완성하고, 동아시아 연합 국가 건설과 아시아 방위군 창설을 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것이 가능한지, 그 가능한 방법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평화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저자의 핵심 주장은 ‘남한 자강(自强)론’과 ‘남북한 간 핵균형론’이다.
이 책은 오늘날 급변하는 위기의 시대 속에서 한반도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희망과 꿈을 찾고있는 책이다.
이 책은 국내 출판과 동시에 『Nuclear balance on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n Union (Korean version)』 또한 amazon.com을 통하여 전 세계에 동시 출간중이다.
올해 반드시 읽어야만 할 책으로 추천드린다.
상세내역
목차
차례

- 머리말 ………………………………………………………… 8

1. 한반도 핵균형의 필요성 ………………………… 10
1) 한반도 비핵화 정책의 실패 ………………………………10
2) 북한의 핵무장 성공 …………………………………………12
3) 북한의 헤게모니 장악과 남한의 헤게모니 상실 …………23
4) 한국 국민들의 독자적 핵무장에 대한 여론 변화 ………28
5) 1970년대 한국의 핵개발 시도 ……………………………32
6) 남한 핵무장을 위해 필요한 것 ……………………………37
(1)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권 및 농축권 …………………41
(2) 정치권의 뒷받침 : 법 규정과 제도의 미비점 개선…………………43
(3) 과학계와 기술 공학계에 대한 집중적 투자 육성 : 핵 주기 연구와 핵 설비 독자 개발 능력 강화 ……46
(4) 전시 작전권 환수 ………………………………………48

2. 핵무장 국가들의 사례 ……………………………51
1)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서 본 핵보유 ………………………51
2) 인도의 핵보유 ………………………………………………58
3) 파키스탄의 핵보유 ……………………………………………61
4) 이스라엘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보유 …………………67

3. 한반도의 통일은 왜 필요한가? …………………82
1) 한반도의 분단이 가져온 한민족의 비극 ……………………82
2) 한쪽이 굴복하는 통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 …………………89
3) 독일의 통일 성공 요인 ………………………………………94
4) 한반도 통일은 동북아 안정과 국제적인 번영 기회 창출…101

4. 유럽 통합의 발전 ……………………………107
1) 유럽연합(EU : European Union)의 발전 과정 ……………107
2) 나토(NATO : 북대서양조약기구)의 발전 과정 …………113

5. 아시아 통합을 위한 노력 ………………………118
1)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ASEAN) ………………………118
(1) 설립 연혁과 조직 ………………………118
(2) 한국과 아세안(ASEAN) ………………………125
(3) 아세안(ASEAN)의 한계와 과제 ………………129
2) ASEAN+3 ……………………………………………………134
3) 동아시아 정상회의 (East Asia Summit, EAS) …………138
4)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ARF) ……………………………140
5) 한중일 정상회의
(China–Japan–South Korea Trilateral Summit) …………144

6. 동아시아 연합 방안 ……………………………147
1) 동아시아 연합의 1단계 : 한반도 평화 통일 ………147
2) 동아시아 연합(EAU : East Asia Union) 건립 ………150
3) 아시아 방위군(ADF : Asia Defence Force) 창설 …156

끝내며 ………161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한반도 핵무기정치
이전글 북한 세습정권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