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초판 내용을 수정 보완하고
두 편의 마을 이야기를 새로 추가한 수정증보판! 제51회 한국출판문화상, 제24회 단재상 수상작 “한국전쟁에 관한 기념비적 저작” 한국전쟁 미시사의 역작! “한국전쟁기 마을 사람들은 왜 그토록 서로를 죽였던 걸까?” ☞ 선정 및 수상내역
-제51회 한국출판문화상 -제24회 단재상 수상작 |
---|
목차 |
수정증보판 서문
초판 서문 총론: 마을에서 바라본 한국전쟁 1. 프롤로그 2. 전쟁과 마을 주민 간의 갈등구조 신분·계급 간의 갈등|친족·마을 간의 갈등|종교와 이념 간의 갈등 3. 마을 지도자·국가권력과 전쟁 마을 지도자의 영향력|국가권력의 마을 개입 4. 전쟁 이후의 마을 5. 에필로그-복합적 갈등구조론 1장. 친족 간 학살의 비극, 진도 동족마을 X리 1. 진도에서 X리는 어떤 마을인가 진도의 주요 성씨와 X리 곽씨 문중의 위상|진도와 X리 주민들의 토지 소유 2. 1930년대 X리 청년들의 민족·사회 운동 참여 1933년 자각회의 결성과 해산|진도적색농민조합의 결성과 해체 3. 해방 직후 X리 현풍 곽씨의 동향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 참여|경찰 입문과 우익청년단 결성 4. 한국전쟁기 친족 내 갈등의 폭발과 학살의 반복 전쟁의 내습과 거듭된 학살|계파별 희생자|X리 비극의 특징|전쟁 이후 현풍 곽씨의 위상 변화 5. 맺음말: 친족 내 갈등과 배후의 국가권력 2장. ‘영암의 모스크바’, 한 양반마을의 시련 1. 두 양반가 전주 최씨와 거창 신씨 2. 한말·일제강점기 영보마을의 민족·사회 운동 한말 영보마을의 의병전쟁|신간회 영암지회의 해산과 영암농민조합의 탄생|영암공산주의자협의회와 영보농민시위사건의 전모 3. 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 격동의 영보리 해방 직후 송석정 사건과 ‘반동 3인’ 처단 사건|전쟁기 마을 주민들의 ‘총피란’과 ‘총자수’ 4. 맺음말: 전쟁은 마을에 무엇을 남겼나 3장. 양반마을과 평민마을의 충돌, 부여군의 두 동족마을 1. 부여군 두 동족마을의 역사와 흔들리는 신분제 항일민족운동의 요람, 진주 강씨 민촌마을|400년 전통의 명문가 풍양 조씨 반촌마을|신분제의 해체와 두 동족마을의 대립 2. 한국전쟁기 두 동족마을의 충돌 부여군 남로당과 대한청년단의 설립|금강 변 구드레나루 학살과 보복 인민재판|인공 치하 두 마을의 토지개혁 3. 전쟁의 상처와 강호동지회의 발족 4. 맺음말: 신분 간 투쟁으로서의 마을 전쟁 4장. 땅과 종교를 둘러싼 충돌, 당진군 합덕면 사람들 1. 전쟁 이전 지주·마름과 소작인 간의 갈등 합덕면은 어떤 마을인가|합덕면의 토지 소유자 분포|합덕리소작회의 결성과 마름-소작인 간의 갈등 2. 한국전쟁기 마을 주민 간의 갈등 인민군의 토지개혁과 박명렬가 습격 사건|인공 치하 합덕성당의 수난|합덕면 남씨가와 오씨가의 충돌 3. 맺음말: 계급·이념 간 대립으로서의 마을 전쟁 5장. 두 명문 양반가의 충돌, 금산군 부리면의 비극 1. 금산군 부리면의 명문가 해평 길씨와 남원 양씨 2. 두 가문의 좌우 분화 금산청년동맹과 전북조선공산당재건 사건|해방 직후 부리면 길씨와 양씨의 좌우 분화 3. 한국전쟁기 두 가문의 동향과 11·2사건 4. 끝나지 않은 이야기: 전쟁을 기억하는 사람들 5. 맺음말: 좌우 이념 대립으로서의 마을 전쟁 6장. 분단과 전쟁, 그리고 완도군 소안면 사람들 1. 머리말 2. 분단과 전쟁에 의한 완도군의 민간인 희생 해방~1946년 완도군의 정치사회적 동향|1947~1949년 완도 경찰의 좌익 소탕작전 3. 한국전쟁 발발 이후 완도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국민보도연맹원 학살 사건|나주부대의 학살 사건|경찰·인민군 대치기 경찰의 좌익혐의자 학살|인민군의 완도 진주 이후 인민군과 좌익 측의 민간인 학살|인민군 철수 이후 경찰의 민간인 학살 4. 소안면 A마을 주민들의 희생 A마을의 주요 인물|전쟁 이전 좌파 청년들의 희생|한국전쟁기 A마을 주민들의 희생 5. 소안면 B마을 주민들의 희생 전쟁 발발 이전 B마을 두 집안의 갈등|전쟁 발발 이후 B마을 주민들의 희생 6. 맺음말 7장. 한국전쟁 전후 해남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1. 머리말 2. 한국전쟁 이전 해남군의 상황 일제하~해방 직후 해남군의 상황|1946년 11월 봉기와 가담자 학살 3. 한국전쟁기 해남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보도연맹 관련자의 학살|나주부대의 마을 주민 학살|인민군·좌익의 우익 세력 학살|경찰·청년단의 부역혐의자 학살 4. 맺음말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
다음글 | 월간 북한동향 2025년 5월 |
---|---|
이전글 | 한반도 평화의 지정학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