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육군사관학교 정치사회학과 교수진의 다층적이며 다면적인 분석으로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체제, 군사에 대해 알아본다.
1부에서는 북한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북한 체제의 형성, 북한의 정치, 사회, 경제, 외교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북한의 1인 독재체제와 주체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하여 분석했으며, 2장에서는 북한의 독재체제가 어떠한 정치적 원리에 의하여 작동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북한의 사회통제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북한 주민들의 사회적 삶과 인권침해에 대하여 분석했다. 4장은 성장과 분배의 관점에서 북한 경제의 실패원인을 제시했으며, 5장에서는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된 원인을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북한의 군사에 관하여 집중 조명하였다. 먼저 6장에서는 북한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북한의 대남 전쟁의도가 지속되고 있는 원인에 대하여 제시했다. 7장에서는 북한이 강력한 군사력을 발전 및 유지시키는 원인을 북한의 군사전략 차원에서 분석했으며, 8장에서는 북한의 당-군관계로 인한 북한군의 한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9장에서는 북한이 대규모 병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인을 병역제도의 차원에서 고찰해 했으며, 10장에서는 북한이 엄청난 양의 무기체계를 생산 및 소비하는 원인을 북한 군수산업의 발전과 연계하여 분석했다. 11장에서는 북한의 대남도발 특징과 변화 양상을 제시하고, 이론적 차원에서 북한의 대남도발 원인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12장에서는 북한의 체제가 붕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북한체제의 붕괴 가능성을 전망하였다. |
---|
목차 |
제1장 북한은 공산주의 국가인가?
1. 공산주의의 개념 2. 공산주의 국가의 붕괴 원인 3. 북한의 공산화 과정 4. 맑스-레닌주의 포기와 일인독재체제 형성 제2장 김정은은 어떻게 북한을 지배하는가? 1. 민주주의 국가와 공산주의 국가의 정치체제 2. 공산주의 국가의 정치체제와 북한의 정치체제 3. 조선노동당의 기능과 구조 4. 국가 기구의 기능과 구조 5. 북한의 권력세습 제3장 북한 주민은 왜 저항하지 않는가? 1. 사회통제의 정의 2. 주민성분 조사사업의 역사 및 기능 3. 북한의 사회통제 방법 4. 사회통제의 부작용 제4장 북한 경제는 왜 실패하였는가? 1. 북한 경제의 실패: 성장측면 2. 북한 경제의 실패 원인: 성장측면 3. 북한 경제의 실패: 분배측면 4. 북한 경제의 실패 원인: 분배측면 제5장 북한은 외교는 왜 고립되었는가? 1. 북한 외교정책의 목표와 역사 2. 북한 외교정책의 결정과 집행 기구 3. 북한의 외교정책 수단 4. 북한의 외교적 고립 원인 제6장 북한은 왜 전쟁을 포기하지 않는가? 1. 북한정권의 목표 2. 북한의 6.25 전쟁 기획 의도 3. 북한의 6.25 전쟁 준비 4. 북한의 전쟁 의도와 능력 제2부 제7장 북한은 어떻게 전쟁을 준비해 왔는가? 1. 북한의 재래식 전력 2.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3. 북한의 사이버ㆍ전자전 전력 제8장 북한은 군을 어떻게 통제하는가? 1. 공산주의 국가에서의 군에 대한 지도·지휘체계 2. 북한의 군에 대한 지도·지휘체계 3. 북한군의 이원적 지도·지휘체계에 대한 역사적 형성과정 4. 북한의 군사국방 지도·지휘체계와 핵심 조직 5. ‘선군정치’는 군이 당보다 우위에 있다는 뜻 아닌가? 6. 북한군을 둘러싼 조직을 통해서 본 당-군 관계 함의 제9장 북한은 어떻게 대규모 병력을 유지하는가? 1. 북한의 병역제도 2. 예비전력 3. 상비전력 제10장 북한의 군사비는 어떻게 책정되며, 무기체계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1. 북한의 군사비와 무기체계 발전 개요 2. 북한 군수산업의 구조 3. 북한 군수산업의 생산과 소비 4. 북한 군수산업에 대한 평가 제11장 북한은 왜 도발하는가? 1. 군사도발의 개념 2.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 현황 3.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 배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 4. 대남 군사도발 실행 조직 5. 향후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 전망 제12장 북한은 왜 붕괴되지 않는가? 1. 급변사태의 주도 세력 2. 급변사태의 발생 시기 3. 북한 정권의 급변사태 대응능력 4. 북한 급변사태의 조건과 시나리오 |
---|
다음글 | 북한총람(2011~2023) |
---|---|
이전글 | 본 헌터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