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미래의 전쟁

상세내역
저자 최영찬 , 허광환 , 배진석 , 김진호 , 김중희 , 박지민 , 이종영
출판연도 2024년 02월 29일
출판사 북코리아
쪽수 356
키워드 #미래전   #전쟁   #국방분야   #최영찬   #허광환   #배진석   #김진호   #김중희   #박지민   #이종영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최영찬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국방대학교에서 군사전략 석사, 한남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해군 지휘관 및 참모, 국방부 국방정책관리담당,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기획 행정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합동군사대학교 전략학과 교관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해상교통로: 봉쇄의 유용성과 그 경제적 효과』, 『세 번째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의 군사를 말하다』(공저), 『미래전과 동북아 군사전략』(공저), 『새로운 영역에서 전쟁수행, 인지전 2022/2024』(공역), 『미래의 전쟁 기초지식 핸드북 2021』, 『미래의 전쟁 핸드북 2022』, 『핸디한 미래전 포켓 북 2024』 등이 있고, 다수의 국방 및 군사전략과 관련된 논문을 집필했다.

-저자(글) 허광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국방대학교에서 군사전략 석사,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군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육군 지휘관 및 참모, 국방부 육군전투부대개편 담당, 합참 군구조기획 담당을 역임하고, 현재는 합동군사대학교 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세 번째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의 군사를 말하다』(공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분석: 군사적(합동성) 관점에서의 전훈 분석 및 함의』(공저), 『미래전과 동북아 군사전략』(공저) 등이 있고, 다수의 국방 및 군사전략과 관련된 논문을 집필했다.

-저자(글) 배진석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국방대학교에서 군사전략 석사, 동아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해군 지휘관 및 참모, 합참 전력계획 담당을 역임하고, 현재는 합동군사대학교 전력학과 교관으로 재직 중이다.
“모자이크전의 발전과 우리 군에 주는 함의”, “우크라이나의 비대칭전 분석”, “전술적계획수립절차에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개념적 연구” 등 다수의 국방과 관련된 논문을 집필했다.

-저자(글) 김진호
육군 3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건양대학교에서 군사학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합동군사대학교에서 국가안보, 국방정책, 군사전략, 전력 및 작전술 등을 수학했다. 육군 25사단 72연대 1대대 작전과장, 육군대학 적전술학처 교관을 역임하고, 현재는 육군 3보병사단에서 지휘관으로 재직 중이다.
“북한군 지휘통신체계에 대한 소개”, “북한군 교리의 변화: 김정은 집권 이후 중심으로”, “북한 집단군 견제사단의 새로운 공격양상 연구”(공역), “언택트 시대의 군 평생교육체계 시스템 구축: Edu-Tech 기반의 통합 플랫폼 구축을 중심으로”, “군사적 기만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방향 고찰” 등 다수의 국방 및 군사전략과 관련된 논문을 집필했다.

-저자(글) 김중희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합동군사대학교에서 국가안보, 국방정책, 군사전략, 전력 및 작전술 등을 수학했다. 육군 정보통신학교 네트워크 교관, 육군 제1보병사단 정보통신대대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국군지휘통신사령부에서 지휘관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C4I체계의 이해』, 『미래정보전』, 『ICT 신기술 용어집』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군 전술 네트워크 환경하 효율적인 영상정보 유통을 위한 H.264 SVC 기반 비디오 스트리밍 기법”, “전술정보통신체계(TICN)에서의 효율적인 영상정보 공유를 위한 H.264 Scalable Video Coding 기반 비디오 스트리밍 기법” 등 다수의 국방 및 군사전략과 관련된 논문을 집필했다.

-저자(글) 박지민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국방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 미 해군대학원에서 컴퓨터 과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합동군사대학교에서 국가안보, 국방정책, 군사전략, 전력 및 작전술 등을 수학했다. 미사일방어사령부 정보과장, 공군작전사령부 정보상황 담당을 역임하고, 현재는 공군본부에서 참모로 재직 중이다.
“우주작전 수행을 위한 우주 정보 지원방안”, “효율적 우주작전을 위한 합동우주부대 편성방안”, “South Korea’s Options In Responding To North Korean Cyberattaks”, “Responding to North Korean Cyberattacks”, “Finding Effective Responses Against Cyber Attacks For Divided Nations”,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한 특정조직 내부 권력구조 추정” 등 다수의 국방 및 군사전략과 관련된 논문을 집필했다.

-저자(글) 이종영
육군학생군사학교를 졸업하고, 국민대학교에서 안보전략 석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합동군사대학교에서 국가안보, 국방정책, 군사전략, 전력 및 작전술 등을 수학했다. 육군 학생군사학교 전술담임교관, 육군 제5보병사단 작전과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육군 51보병사단에서 지휘관으로 재직 중이다.
“한반도 미래전 양상과 한국형 모자이크전 수행방안” 등 다수의 국방 및 군사전략과 관련된 논문을 집필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전쟁의 복잡성이 누증되고,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미래전 양상이 출현하면서, 국방분야는 다양한 전쟁 양상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이 요구됩니다. 미래전에 대비한 국방분야 발전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반영되어야 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술(art)과 과학(science)이 함께 고려되어야만 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정책만으로는 미래의 전쟁에 대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장기적인 안목과 준비가 필요합니다.
상세내역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제1장 인지전(Cognitive Warfare)]
제1절 서론
제2절 인지전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3절 주요국가 인지전 전략 및 전개 양상
제4절 한국군 인지전 발전 방향
제5절 결론

[제2장 합동전영역작전(JADO)]
제1절 서론
제2절 합동전영역작전에 대한 이해
제3절 한국군 적용상 문제점 분석
제4절 합동전영역작전을 위한 한국군 발전 방향
제5절 결론

[제3장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
제1절 서론
제2절 합동전영역지휘통제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3절 미군 합동전영역지휘통제 전략 분석
제4절 한국군 합동전영역지휘통제 전략
제5절 결론

[제4장 모자이크전(Mosaic Warfare)]
제1절 서론
제2절 모자이크전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제3절 한국형 모자이크전 적용방안
제4절 결론

[제5장 결심중심전(Decision Centric Warfare)]
제1절 서론
제2절 미군 결심중심전 분석
제3절 한국형 결심중심전 개념 및 특징
제4절 결심중심전 수행을 위한 발전 방향
제5절 결론

[제6장 국방 인공지능(AI)]
제1절 서론
제2절 국내외 데이터 환경 및 전략 동향
제3절 우리 군 국방 데이터 전략 분석
제4절 국방 데이터 전략 발전방향
제5절 결론

[제7장 합동우주부대]
제1절 서론
제2절 우주공간의 중요성과 위협
제3절 국가별 우주부대 편성
제4절 합동우주부대 편성 방안
제5절 결론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한국의 사드
이전글 신뢰와 국제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