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전쟁의 복잡성이 누증되고,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미래전 양상이 출현하면서, 국방분야는 다양한 전쟁 양상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이 요구됩니다. 미래전에 대비한 국방분야 발전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반영되어야 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술(art)과 과학(science)이 함께 고려되어야만 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정책만으로는 미래의 전쟁에 대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장기적인 안목과 준비가 필요합니다.
|
---|
목차 |
추천사
프롤로그 [제1장 인지전(Cognitive Warfare)] 제1절 서론 제2절 인지전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3절 주요국가 인지전 전략 및 전개 양상 제4절 한국군 인지전 발전 방향 제5절 결론 [제2장 합동전영역작전(JADO)] 제1절 서론 제2절 합동전영역작전에 대한 이해 제3절 한국군 적용상 문제점 분석 제4절 합동전영역작전을 위한 한국군 발전 방향 제5절 결론 [제3장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 제1절 서론 제2절 합동전영역지휘통제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3절 미군 합동전영역지휘통제 전략 분석 제4절 한국군 합동전영역지휘통제 전략 제5절 결론 [제4장 모자이크전(Mosaic Warfare)] 제1절 서론 제2절 모자이크전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제3절 한국형 모자이크전 적용방안 제4절 결론 [제5장 결심중심전(Decision Centric Warfare)] 제1절 서론 제2절 미군 결심중심전 분석 제3절 한국형 결심중심전 개념 및 특징 제4절 결심중심전 수행을 위한 발전 방향 제5절 결론 [제6장 국방 인공지능(AI)] 제1절 서론 제2절 국내외 데이터 환경 및 전략 동향 제3절 우리 군 국방 데이터 전략 분석 제4절 국방 데이터 전략 발전방향 제5절 결론 [제7장 합동우주부대] 제1절 서론 제2절 우주공간의 중요성과 위협 제3절 국가별 우주부대 편성 제4절 합동우주부대 편성 방안 제5절 결론 |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