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수정주의 국가 북한

상세내역
저자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 이정철 , 안경모 , 장철운 , 최용환 , 이종민 , 정은미 , 전영선 , 강혜석 , 강호제
출판연도 2024년 08월 30일
출판사 박영사
쪽수 400
키워드 #수정주의   #남북관계   #대북정책   #북한체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이정철   #안경모   #장철운   #최용환   #이종민   #정은미   #전영선   #강혜석   #강호제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이정철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센터장
현 죠지워싱턴대학교 한국학센터 방문학자 및 베를린 자유대 한국학 연구소 방문학자
전 서울대학교 대학원 평화통일학 협동과정 주임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동 대학원 정치학 박사

안경모
현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부 교수
현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 북한문제연구센터장
전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 연구기획실장
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국방부 정책연구심의위원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동 대학원 정치학 박사

장철운
현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전 연합뉴스 북한부 기자
전 통일부 상임연구위원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졸업,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최용환
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ㆍ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정치학 박사

이종민
현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현 통일미래기획위원회 경제분과 위원
전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경제학 박사

정은미
현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민주평통 상임위원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

전영선
현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연구교수
현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
전 북한연구학회 회장
전 대통령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 박사

강혜석
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현 민주평화통일 자문위원회 상임위원
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구중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ㆍ북한학협동과정 졸업,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강호제
현 베를린자유대학교 한국학과 (독일) Wissenschaftlicher Mitarbeiter(연구교수)
전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과 (독일) 연구교수
전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원
전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현, 통일평화연구원) 객원연구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 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상세내역
주요내용
‘수정주의 국가 북한’이라는 표현은 김정은 시대 북한 변화상의 최종 종착점이 될 수는 없다. 아직도 북한이 가야할 길은 멀고 험하고 그 끝이 어디로 향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김정은이 지향하는 미래상 흔히 강성국가니 전략국가니 하는 그런 북한식 개념을 해석하는 데에 본 용례는 한시적으로는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 위안을 삼고자 한다.

 
북한의 변화를 정치/외교와 군사 그리고 리더십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그리고 과학 기술 등 총체적 영역에서 다루어주되, 그들의 지향점을 ‘서술’하는 데 머물지 않고 나아가 분석, 비판하자는 데 본 책의 의도는 분명하다. 이 점에서 혹 ‘수정주의 국가’란 개념이 내키지 않더라도 우리 저자들의 취지에 대한 최소한의 공감으로 본 책을 대해주길 기대해본다.
상세내역
목차
제 1 장 북한의 정치체제
제1절 서론 3
제2절 사회주의 ‘국가’의 탄생과 당-국가 체제 5
Ⅰ.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국가에 대한 이론 6
Ⅱ. 레닌의 국가에 대한 이론 8
1. 전위당 노선 | 9 2. 제국주의론 | 9
3. 프롤레타리아 국가론 | 10
Ⅲ. 스탈린의 국가에 대한 이론 11
1. 신생 혁명 러시아와 ‘피포위 의식’ | 12
2. 일국 사회주의론과 사회주의 ‘국가’의 탄생 | 13
3. 1924년 〈레닌주의의 기초〉와 당-국가 체제의 원형 | 15
제3절 당-국가 체제로서의 북한 18
Ⅰ. 당-국가 체제의 건설 18
1. 해방 직후의 정치 상황 | 19
2. 해방 3년사: 당의 건설과 ‘집권’ | 20
3. 한국전쟁과 8월 종파사건: 당의 일색화와 당-국가 체제의 수립 | 22
Ⅱ. 당-국가 체제의 변형 25
1. 후계자 김정일과 선군정치 | 25
2. 선군정치의 실제: 국방위원회 체제 | 27
3. 당-국가 체제로부터의 이탈? or 변형? | 28
-xii-

Ⅲ. 당-국가 체제의 복원 30
1. 김정은 시대의 개막과 당의 부상 | 31
2. 제8차 당대회와 선군정치의 역사화 | 32
3. 당-국가 체제 복원의 실제: ‘당 사업 전반의 정규화’ | 33
제4절 개인독재와 북한 41
Ⅰ. 개인독재의 등장과 부침 42
1. 스탈린체제와 개인숭배문제 | 42
2. 1956년의 갈림길: 탈스탈린화 vs 탈소련화 | 44
Ⅱ. 개인독재의 제도화 46
1. 혁명적 수령관과 10대 원칙 | 46
2. 사회정치적 생명체론과 후계자론 | 49
Ⅱ. 개인독재와 3대 세습 50
1. 김정은 시대의 개막과 개인독재 | 50
2. 정치 제도화와 제3의 길 | 52
3. 백두혈통론과 세습의 정치 | 54
제5절 결론 56
제 2 장 북한의 군사적 변화
제1절 서론 65
제2절 김일성·김정일 시대 북한의 군사적 변화 67
Ⅰ. 김일성 시대 북한의 군사적 변화 67
1. 군사정책의 변화 | 67 2. 군사력의 변화 | 69
Ⅱ. 김정일 시대 북한의 군사적 변화 72
1. 군사정책의 변화 | 72 2. 군사력의 변화 | 73
제3절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군사정책 변화 77
Ⅰ. 2013-2018년: 경제건설 및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 77
Ⅱ. 2018-2019년: 한반도 평화의 봄 국면 80
Ⅲ. 2019년 이후: 장기전 전망 하의 자강력 제일주의 82
제4절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군사력 변화 86
Ⅰ. 핵전력의 변화 86
1. 핵 역량의 변화 | 86 2. 미사일 역량의 변화 | 87
3. 미사일 외 핵 투발 역량의 변화 | 90
Ⅱ. 재래식 군사력의 변화 91
1. 육군 전력의 변화 | 92 2. 해군 전력의 변화 | 94
3. 공군 전력의 변화 | 95 4. 기타 재래식 군사력의 변화 | 99
제5절 결론 99
제 3 장 북한의 외교 및 대남 정책
제1절 개관 107
Ⅰ. 북한의 외교정책 이념과 원칙 108
Ⅱ. 대외/대남 정책 결정 구조 109
제2절 북한 대외/대남 정책의 변천 114
Ⅰ. 냉전기 북한외교 114
Ⅱ. 탈냉전기 북한 외교 117
제3절 김정은 시기 북한의 대외/대남정책 119
Ⅰ. 김정은 시기 북한 대외정책 변화 119
Ⅱ. 하노이 이후 북한의 국제정세 인식과 대외·대남 정책 특징 125
제4절 결론: 전망과 과제 138
제 4 장 북한의 경제
제1절 서론 145
제2절 북한의 경제체제 146
Ⅰ.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 146
Ⅱ. 전통적인 북한 경제체제의 특징 148
Ⅲ. 1990년대 경제위기와 시장화 149
Ⅳ. 북한경제의 이중구조 151
Ⅴ. 북한의 경제개혁 153
제3절 북한의 경제성장 155
Ⅰ.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 추이 155
Ⅱ. 북한 경제성장의 기여요인별 분해 159
Ⅲ. 김정은 시기의 경제성장 160
Ⅳ. 대북제재와 코로나19의 영향 162
제4절 북한의 대외무역 166
Ⅰ. 북한의 무역의존도 166
Ⅱ. 북한 대외무역의 구조적 특징과 변화 169
Ⅲ. 밀무역 173
Ⅳ. 외화수급 상황 176
제5절 북한의 산업과 기업 178
Ⅰ. 북한의 산업구조 178
Ⅱ. 북한의 국영기업 현황 180
제6절 북한의 금융 182
Ⅰ. 북한의 사회주의 금융제도 특징 182
Ⅱ. 김정은 시기 금융제도 변화 185
Ⅲ. 북한 금융시스템의 한계와 외화통용현상 187
Ⅳ. 사금융 191
제7절 결론 192
제 5 장 북한의 사회구조와 변동
제1절 서론 201
제2절 북한의 사회계층 203
Ⅰ. 사회계층의 구조와 변화 203
1. 성분 중심의 사회계층 | 203 2. 새로운 계층의 부상 | 206
Ⅱ. 중산층의 생활양식 210
1. 구중산층의 생활양식 | 210 2. 신중산층의 생활양식 | 211
제3절 정보사회로의 이행 214
Ⅰ. 지식경제와 전민과학기술인재화 214
1. 정책 추진 배경 | 214
2. 과학기술보급실의 보급과 원격교육 | 215
Ⅱ. 정보통신기술(ICT)의 일상화 218
1. 휴대전화의 대중화 | 218 2. 일상생활 속 ICT 활용 | 222
3. 소비플랫폼의 변화 | 226 4. 정보 격차 | 231
제4절 결론 233
제 6 장 북한의 문화
제1절 서론 243
제2절 북한 생활문화와 전통문화 246
Ⅰ. 식생활 문화 246
Ⅱ. 의생활 문화 248
Ⅲ. 주생활문화 251
1. 북한의 주거 정책과 주거문화 | 251
2. 김정은 체제의 주거문화 | 254
Ⅳ. 전통문화 256
제3절 북한 문화예술과 민족문화 261
Ⅰ. 북한 문화정책의 방향 261
Ⅱ. 북한의 문화예술 264
1. 북한 문학 | 264 2. 북한 영화 | 266
3. 북한 음악 | 269
제4절 북한의 교육과 학교생활 274
Ⅰ. 북한 교육이념과 체제 274
Ⅱ. 김정은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276
Ⅲ. 북한의 대학 278
1. 대학 진학 | 278 2. 북한의 대학교 | 280
제5절 결론 282

제 7 장 북한의 국가기구와 법
제1절 서론 289
제2절 북한의 국가기구 292
Ⅰ. 국가주권기관 295
1. 최고인민회의 | 295 2.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 298
3. 지방인민회의 | 300
Ⅱ. 행정적 집행기관 301
1. 내각 | 301 2. 지방인민위원회 | 305
Ⅲ. 사법ㆍ검찰기관 307
1. 중앙검찰소 | 307 2. 중앙재판소 | 310
Ⅳ. 국무위원회와 국무위원장 311
1. 2016년 이전: ‘중앙인민위원회’와 ‘국방위원회’ 체제 | 312
2. 2016년 이후: 국무위원회 체제 | 317
제3절 북한의 법 320
Ⅰ. 북한 법의 이론과 역사 322
1. 김일성 시대: 법 활용론의 점진적 강화 | 322
2. 김정일 시대: ‘사회주의법치국가론’의 등장과 부상 | 324
3. 김정은 시대: ‘사회주의법치국가론’의 전면화 | 327
Ⅱ. 김정은 시대 북한 법의 실제 329
1. 친(親)인민적 법 | 331 2. 반(反)인민적 법 | 334
3. 국제규범 관련 | 338 4. 제도화 관련 | 341
제4절 결론 343
제 8 장 북한의 과학기술 정책과 지역혁신체제
제1절 서론 353
제2절 북한 과학기술 정책의 역사적 변천과정 354
Ⅰ. 토대 구축과 북한식 기술혁신체제 형성 354
1. 과학기술 기관 설립 및 운영 | 354
2. 천리마운동과 북한식 기술혁신운동 | 355
3. 경제-국방 병진노선과 과학기술 정책의 후순위화 | 358
Ⅱ.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발전 전략 재정립 360
1.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발전 전략 재부각 | 360
2. 기계제작 기술과 IT의 집중 발전 | 361
3. 정보화시대 선언과 국방공업 우선 경제발전 전략 | 362
Ⅲ. 군수의 민수전환과 지역혁신체제 구축 364
1. CNC를 앞세운 첨단돌파전략 | 364
2. 과학기술과 교육을 중심에 둔 경제발전 전략 | 366
3. 지방경제 발전과 지역혁신체제 구축 | 367
제3절 김정은 시기 북한 과학기술 정책의 특징 368
Ⅰ. 북한 과학기술계 체계 368
Ⅱ. 경제발전을 위한 과학기술 정책-강한 현장지향성 369
Ⅲ. 과학기술 우선 정책 370
Ⅳ. 과학기술자 우대 372
Ⅴ. 전민과학기술인재화 373
제4절 지방발전 20×10 정책과 지역혁신체제 375
Ⅰ. 지방공업발전 정책 시범 사업(김화군)-기술의 국가 지원, 자원과 인력의 지방 자립 375
Ⅱ. 지방발전 20×10 정책 377
Ⅲ.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준비 379
1. 전자업무연구소 | 379 2. 기술고급중학교 | 381
제5절 결론 382

찾아보기 387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신 국가안보론
이전글 북한 핵담론 따라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