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북한 핵무기의 국제정치

상세내역
저자 김영식
출판연도 2021년 04월 16일
출판사 보민출판사
쪽수 304
키워드 #북한핵무기   #국제정치   #핵문제   #북미관계   #김영식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 졸업(정치학사)
프랑스 파리 제10대학(정치사회학 박사)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정치학 교관
국토통일원, 정책기획실 보좌관, 통일연수원 교수
미국 국무성 초청 미국 방문
프랑스 파리 제3대학 초청 교환교수
세종대학교 교양학부장, 사회과학대학 학장 역임
현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명예교수

「권력의 유토피아」(공역)(청계연구소, 1988)
「한반도 문제의 역사적 성격」(한국학술정보, 2004)
“제6공화국에서의 민주화”, 「한국정치외교사학회논총」(1997)
“Retrospect on the Korean War: In the Context of Int’l Relations”(Korea & World Affairs)
“Les Divergences Strat?giques am?ricaines et chinoises sur la p?ninsule cor?enne”(Guerres Mondiales et Conflits Contemporains) 외 다수
homepage http://www.youns-kim.org.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은 2013년 5월 23일부터 현재까지 본인의 Homepage(www.youngs-kim.org)와 서울대 문리대 동창 site(www.dongsoong65.net)에 실렸던 글 중에서 국제정세와 관련된 부분만 추려서 책으로 출간한 것이다. 대체로 이 책의 내용들은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통상적인 일반 국민들의 지혜를 추구하려는 의도에서 작성하려고 노력한 결과들이다. 오늘날의 언론 매체들이 보이는 경향은 상당히 자기의 주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입장에서 편향적인 것을 부인하기 힘들다. 합리성을 기반으로 이념적 자기 주장을 강화하려는 매체들의 논조는 어느 매체라고 지적할 것 없이 매우 편향적이고 배타적이고 공격적이다. 한편, 이 책의 내용을 전개하는 순서를 고려하면서, 먼저 생각이 난 것은. 앞으로 있을 미-북한의 비핵화 교섭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뜻이 앞서는 의도에서 정리하고자 했다. 그런 취지에서 이제는 남-북 대화나 접근을 宥和(유화)로만 보려는 태도, 퍼주기, 또는 저자세라는 표현으로만 비판하기보다는, 적극적인 대북 자세를 제시하고 참여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책임 있는 정당의 자세라고 할 수 있으며, 포용력 있고, 앞날을 내다보는 정책이 정당들 간의 인식에서 자리 잡기를 기대해본다.
상세내역
목차
緖言(서언)

제1부. 북한의 핵 추구

01. 국제정치의 파라다임의 변화: 냉전체제의 붕괴
02. 역사적 전환점에 선 한반도
03. 미-북한의 핵 교섭
04. 2017년, 희망과 불안
05. 북한의 비핵화 교섭 (1)
06. 북한의 비핵화 교섭 (2)
07. 시대의 변화와 頂上 회담들
08. Strategic Ambiguity의 幻影과 통일정책
09. Trump-Kim 회담: 싱가포르 성명

제2부. 김정은 시대

01. 김정은의 외교
02. 외교란 무엇인가?: 하노이에서의 반추
03. Trump 대통령의 고뇌와 미-북한 핵 협상
04. 러시아의 등장
05. 緊迫한 상황, 2002년의 幻影
06. 새로운 요소를 필요로 하는 미국
07. 동아시아에서의 강화되는 군비경쟁: 중국 대 3자 협력체제
08. 남-북한의 “對峙와 對話”의 국제정치
09. 미국의 Creative Ideas와 New Initiatives
10. 미국-중국-일본: 역사로서의 미래: 추세연장법(Trend Extension Method)의 의미
11. 정책적 지도력(Policy Leadership)의 문제: 미국과 한국의 사례
12. Biden 행정부의 출범과 한반도: 변화의 모색: 민주당의 득세
13. 미-북한 간의 북핵 교섭 30여 년의 의미

Epilogue
부록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신한국책략 4.0
이전글 북한 계획경제의 정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