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연변 조선족 사회와 한반도 평화 통일

상세내역
저자 홍면기
출판연도 2018년 12월 31일
출판사 동북아역사재단
쪽수 166
키워드 #조선족   #한반도   #평화   #통일   #홍면기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1958년 경기도 포천 출생. 경복고등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북경대학 국제관계학원에서 박사학위(국제정치학)를 받았다. 대만 국립정치대학 국제관계연구중심에서 양안 문제를 연구할 기회를 갖기도 했다. 남북관계 발전과 통일,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국제관계 등에 관심을 가지고 통일부에서 일 해왔다. 현재는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에 파견되어 조사관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중?일의 찢어진 역사, 그 아물지 않은 상처를 찾아가며 진정한 용서와 화해를 통한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의 길이 무엇인가를 탐색해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번역서로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기원》(2005)이 있고, 〈中國對韓半島地緣戰略與東北亞新秩序的探索〉(2000, 박사논문)과 〈중국의 한국전쟁에 관한 인식 변화〉, 〈중국의 부상과 북한의 위기 : 중국 대한반도 정책의 딜레마〉 등 중국과 통일 문제와 관련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조선족 사회와 한국통일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상세내역
목차
여는 글 잃어버린 지평선

제1장 통일공간의 재편과 연변, 조선족
1 국제질서와 생태의 지속과 변화
2 통일공간의 변화와 재구성
3 연변, 조선족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제2장 조선족 사회의 변화·발전과 역사의 유산
1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발전
2 과경성(跨境性)의 기회와 딜레마
3 역사의 유산

제3장 초국경 공간에서의 경쟁과 협력
1 중국의 변강 ‘재영역화’ 정책
2 연변의 탈경계, 탈경계의 연변
3 경쟁과 협력 사이의 문제들

제4장 갈라진 집은 서 있을 수 없다
1 한국인과 조선족, 그 굴절된 상호 인식
2 네트워크가 힘이다 : 화교와 유태인의 경우
3 남과 북 : ‘분단형’ 재외동포 정책의 한계

제5장 조선족 사회는 평화와 통일의 지렛대가 될 것인가
1 화교, 유태인의 성공 요인과 조선족 사회
2 재외동포(조선족) 정책의 환경과 방향
3 미래지향적·진취적 역사인식을 갖는다는 것

닫는 글 문제의 핵심은 다시 남북 관계이다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예정된 위기
이전글 북핵 30년의 허상과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