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분단된 마음 잇기』는 남과 북의 접촉지대를 중심으로 분단된 마음의 모습과 공존할 수 있는 미래의 실마리를 찾아보고 있다. 이러한 직접적 접촉지대 뿐만 아니라 독일 통일과 동서독 주민들의 내적 통합 문제(제2부 5장), 남북한 공식 대화에서의 상호인식(제2부 4장), 북한의 핵에 대한 초기 인식과 그 변화(제3부 1장)도 자료를 짚어가며 분석하고 있다. 남북관계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주는 실증적 연구들이 분단과 통일에 대한 고민에 대한 답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
---|
목차 |
머리글 5
제1부 마음의 통합: 이론적 접근 제1장 남북한 접촉지대와 마음의 통합 이론: ‘마음의 지질학’ 시론 (이우영·구갑우) 15 제2부 제도화된 접촉지대 제1장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임대아파트 단지 남북한출신주민들의 갈등과 협상 (이수정) 51 제2장 개성공단에서의 남북한 접촉이 북한 근로자에 미친 영향: 남한 주민에 대한 북한 근로자의 태도 변화 (양문수) 86 제3장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에 대한 남한 주민의 태도: 설문조사 결과 분석 (양문수) 108 제4장 남북한 대화에서 남북한의 상호인식 변화: 노태우 정부 시기 남북고위급회담을 중심으로 (윤철기) 133 제5장 독일 ‘내적 통합’이 남북한 ‘마음의 통합’에 주는 교훈 (윤철기) 166 제3부 비제도화된 접촉지대 제1장 북한 ‘핵 담론’의 원형과 마음체계, 1947~1964년 (구갑우) 197 제2장 남북한 마음의 통합 -접촉지대로서 대북 인도적 지원의 경우- (이우영) 241 제3장 영국 뉴몰든 코리아 타운 내 남한이주민과 북한난민 간의 관계와 상호인식 (이수정·이우영) 277 제4장 북한이탈주민의 노동권과 마음의 통합: 인천시 남동구의 비정규직·비공식분야 노동자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윤철기) 322 참고문헌 357 찾아보기 370 저자약력 378 |
---|
다음글 | 독일통일총서 18-외교분야 1 |
---|---|
이전글 | 분단폭력: 한반도 군사화에 관한 평화학적 성찰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