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북한 핵과 미중 경쟁 격화로 위협받는 대한민국
국내 최고 외교안보 전문가 16인의 정책 제안 분단 극복은 평화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통일의 문제라는 점에서 그 어떠한 분단도 우리의 목표가 될 수는 없다. ‘어떤 평화를 만들어갈 것인가?’ 이 책은 바로 이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한반도, 평화를 말하다』는 대한민국이 지향해야 할 평화와 통일의 정체성을 분명히 짚으며, 한반도 평화를 지키고 정착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4가지 차원(안보, 남북협력, 외교, 인권)에서 엄중하게 논의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북한 핵 능력 강화와 미중 전략 경쟁이 격화되는 이중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 책에서는 현재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정책이 전면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각 분야를 대표하는 외교안보 전문가 16인이 다음 정부를 위한 중요한 정책 어젠다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평화와 통일의 지향점을 분명히 세우고, 튼튼한 평화를 위한 정책의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
---|
목차 |
서문 어떻게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갈 것인가 - 최대석(이화여대)
제1부 평화 담론과 평화 정책 01 한반도 평화와 대한민국의 평화정책 - 홍용표(한양대) 02 한반도 통일담론,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 허재영(연세대) 03 한반도 평화와 대한민국 안보, 무엇이 문제인가? - 이호령(한국국방연구원) 2부 힘으로 지키는 평화 04 북한 군사력에 의한 평화 위협과 우리의 대응 전략 - 양욱(한남대) 05 한미동맹과 한국의 선택 - 박원곤(이화여대) 06 한국의 국방 정책과 방위력 건설 - 신인호(예비역 육군 소장) 3부 협력으로 만드는 평화 07 남북 대화에서의 평화 - 김기웅(전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 08 한반도 평화를 위한 제재와 경협 - 김병연(서울대) 09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한반도 평화 체제 - 김인한(이화여대) 4부 평화 구축을 위한 외교 10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 황태희(연세대) 11 미·중 관계와 한반도 평화 - 박병광(국가안보전략연구원) 12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를 위한 다자 협력 추진 - 신범철(경제사회연구원) 5부 인간과 평화 13 한반도 평화와 북한 인권 - 이금순(통일연구원) 14 지속가능발전 시대의 북한의 발전 전략과 한반도 평화 - 김태균(서울대) 15 이산(離散)을 넘어 평화로 가는 길 - 모춘흥(한양대) 미주 참고문헌 |
---|
다음글 | 북한 핵무기의 국제정치 |
---|---|
이전글 | 북한 계획경제의 정치학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