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통일 외교관의 눈으로 보다

상세내역
저자 백범흠
출판연도 2019년 08월 02일
출판사 늘품플러스
쪽수 321
키워드 #통일   #외교관   #대북정책   #백범흠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1962년 12월생
연세대학교 정치학사
독일연방행정원 석사
프랑크푸르트대학 정치학 박사 이수
경제외교대학 정치학 박사
중국청년정치대학 객원교수
중국, 유럽, 중앙아시아에서 중견·고위외교관으로 근무
상세내역
주요내용
외교사와 지정학, 2가지 시각으로 보는 통일

분단 상태에 놓인 우리나라가 생존과 번영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북한과의 공존공영, 나아가 통일을 달성해야 한다.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국가 간 행태를 기록한 외교사에서 배우고,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지리와 국가 행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지정학에서 지혜를 얻어야 한다. 통일 문제 역시 우리가 살고 있는 지리적 공간인 한반도와 인근국의 행보를 떼어놓고는 생각할 수 없다.
많은 외교·안보 전문가가 국가 위기 타개 방안으로 미·중 간의 균형외교와 함께 용미, 용중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약한 우리가 미국이나 중국과 같은 강대국을 활용할 방법은 없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여 전전긍긍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지금,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리의 능력과 처지를 냉정히 평가하고 분석해야 한다. 우리는 갑이 아닌 을이다.
북핵과 통일 문제, 경제력과 군사력, 미·중·일·러 등 한반도 인근 강대국의 행태, 중국 포함 동아시아 지정학 등을 시간과 공간, 즉 외교사와 지정학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바라보는 저자의 시각을 통해 통일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자.
“남·북통합은 동아시아 현상유지를 타파하는 민족적 사업이기 때문에 진취적 국민정신이 필요하다. 통일을 위해서는 우리사회의 각성이 필요하다. 우리 모두, 특히 각계 엘리트들은 치욕의 역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스스로를 먼저 희생함으로써 나라를 구하겠다는 마음가짐을 새롭게 해야 할 것이다.”
상세내역
목차
프롤로그 - 세계를 보는 2가지 시각: 외교사와 지정학
1 국가 생존과 통일 / 017
1) 남·북 공존공영과 통일 / 018
2) 서독의 서방정책, 동방정책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 033
2 국가의 기초: 국력과 국가 의지 / 049
3 지정학과 군사력 / 059
4 유라시아 정세 변화와 한반도 / 075
1) 미·중·러 관계 / 076
2) 3극 체제의 대두 / 080
3) 소연방 해체와 러시아연방 탄생 / 092
4) 미·중·러 관계의 변화 / 098
5) 중·러 관계 전망 / 106
5 유라시아 지정학: 동아시아-서태평양-인도양 / 123
6 한반도와 중국 / 151
1) 김정일 사망, 장성택 처형과 중국 / 152
2) 순망치한, 보거상의 / 159
3) 중국은 한반도 불통불란을 원하는가? / 167
7 미·중 태평양 전쟁 / 183
8 북·미·중 트라이앵글 / 199
9 일본은 메이지 시대로 돌아가려 하는가? / 215
10 러시아의 전략적 가치 / 231
에필로그 - 유연한 자주의식과 국가 개혁 / 234

부록
한반도 문제
Ⅰ. 한반도 미래의 설계자로 / 244
Ⅱ. 꽃놀이패를 쥐게 될 한국 / 247
Ⅲ. 외교가 실패하면 남는 것은 전쟁 / 259
Ⅳ. 지금 한반도는 백척간두 / 266
Ⅴ. 균형 잃으면 독립도 없다 / 272
중동·중앙아 문제
Ⅰ. 유라시아 그레이트 게임 / 278
- 자기 민족 포용 않는 국가에 미래 없다
Ⅱ. 중동의 키key 이라크 / 298
Ⅲ.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카스피해 석유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