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수행성

상세내역
저자 동국대학교 분단 탈분단연구센터 , 고유환 , 곽정래 , 김병선 , 김종욱 , 박순성 , 이호규 , 이희영 , 조영주 , 조우현 , 홍민
출판연도 2015년 10월 04일
출판사 한울아카데미
쪽수 536
키워드 #분단   #행위자   #네트워크   #수행성   #동국대학교 분단 탈분단연구센터   #고유환   #곽정래   #김병선   #김종욱   #박순성   #이호규   #이희영   #조영주   #조우현   #홍민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동국대학교 분단 탈분단연구센터

엮은이 동국대학교 분단/탈분단연구센터는 분단과 통일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이론적·실천적 고민을 나누는 것을 목적으로 2010년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사회과학연구(SSK)사업의 지원을 받아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탈분단의 사회동학”이라는 주제 연구를 시작했다. 본 센터는 분단이나 통일을 단순히 규범적 담론이나 목적론적 당위성을 통해 진단하는 것을 지양하고 분단의 사회동학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분단이라는 현실 문제를 분석하고 이론화하며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의 인식론적·방법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보여준 다양한 사례 연구에서 영감을 받아 분단을 행위자-네트워크 차원에서 분석했다. 지난 5년 동안 분단 사회의 질서와 분단에 대한 인식론적 성찰을 시작으로 분단 연구를 이론화하고 구체적인 경험 및 사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자(글) 고유환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ㆍ북한학연구소 소장.
상세내역
주요내용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수행성]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해 한반도 분단연구를 새롭게 조망하고 있다. 또한 분단을 존재가 아닌 행위로 파악하는 인식론적 전환을 통해 분단의 실재가 고정된 것이 아닌 다양한 행위자가 개입하는 일종의 네트워크가 수행되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분단의 수행성 차원을 주목한다.
이 책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라는 새로운 관점과 분단의 수행성이라는 전환적 인식으로 한반도 분단연구를 새롭게 해석하면서 구체적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탈분단 패러다임을 모색하고자 한다.
상세내역
목차
제1부 분단 연구의 새로운 지향: 구조에서 수행으로
제1장 한반도 분단 현실에 대한 두 개의 접근: 분단체제론과 분단/탈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_박순성
제2장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분단 연구: 분단 번역의 정치와 ‘일상으로의 전환’_홍민
제3장 분단의 사회-기술적 네트워크와 수행적 분단_홍민
제4장 분단과 예외상태의 국가: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국가 폭력_홍민
제5장 분단 연구의 동향과 과제_ 조우현ㆍ조영주

제2부 안보, 분단의 블랙박스와 번역의 정치
제6장 천안함 사건의 행위자-네트워크와 분단체제의 불안정성_박순성
제7장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위협 인식과 대응에 관한 행위자-네트워크_고유환
제8장 행위자-네트워크로 본 간첩 사건_김병선
제9장 냉전의 ‘이종적 네트워크’로서 ‘평화의 댐’ 사건: ANT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_김종욱
제10장 북한 인권 문제와 한반도 분단체제: ?2014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_박순성

제3부 분단의 또 다른 얼굴: 행위자-네트워크로 본 북한
제11장 아날로그의 반란과 분단의 번역자들: 남한 드라마 시청의 행위자-네트워크를 중심으로_이희영
제12장 (탈)분단과 국제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_이희영
제13장 북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이용 행태 연구_이호규ㆍ곽정래
제14장 북한의 시장화와 젠더_조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