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광복 70주년, 6·25전쟁 발발 65주년을 맞아 펴낸 북한의 기습 남침을 받아 존망의 기로에 몰린 대한민국이 미국의 도움으로 망국의 위기에서 벗어나 생존하게 되는 과정을 심층 분석한 본격적인 연구서이다. 먼저 미국의 트루먼 행정부가 전략적 가치가 없다 해서 군사력으로 방어 할 대상국가에서 제외한 한국에 어떤 이유로 지상군 까지 파병하기로 결정했는지 그 경과와 배경을 분석했고, 당초 38선 이북으로의 북한군 격퇴만을 목적으로 했던 유엔군이 그들의 작전목표를 어떤 과정을 거쳐 북진통일로 바꾸었는지, 또한 북한 전 지역의 완전점령을 눈앞에 두고 전개된 크리스마스 공세가 중공군의 개입으로 참패로 끝나 통일의 꿈이 물거품이 된 원인은 어디에 있는지도 분석했다.
|
---|
목차 |
머리말/ 5
제1부 시련의 3년/ 17 I. 운명의 날/ 19 ① 1950년 4월 모스크바 20 1. 스탈린과 김일성 비밀회담 2. 구체적인 남침 작전계획까지 합의 3. 스탈린이 남침을 승인한 배경 ② 1950년 5월 베이징 27 1. 마오쩌둥, 스탈린에 조회 2. 북한 지원 다짐 3.‘항미원조전쟁’ 주장은 대외 선전용 ③ 1950년 6월 평양 33 1. 마지막 단계의 전쟁 준비 2. 남침 명령 내용 3. 김일성의 치명적인 작전 변경 ④ 1950년 6월 서울 38 1. 망국의 위기 맞은 대한민국 2. 궁지에 몰린 거짓 발표 3. 이승만 대통령의 비상조치 Ⅱ. 미국의 참전/ 23 ① 심야의 워싱턴 46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 소집 2. 소련을 배후 세력으로 즉각 판단 3. 애치슨의 역할 4. 블레어하우스 회의 ② 맥아더의 출진 60 1. 한국에 무기 긴급 공급 2. 지상군 파견 건의 ③ 유엔군 파견 결의 64 1. 자진철수 권고 거부에 2차 조치 2. 당황한 스탈린 Ⅲ. 유엔군의 북진작전 71 ① 미국의 롤백전략 72 1. 소련 참전 저지 노력 2. 인천상륙작전과 참전 목표 변경 시기 3.‘평화를 위한 단결’ 결의 ② 중국의 개입 84 1. 미국의 중국 개입 저지 노력 실패 2. 중국의 참전 준비 3. 미·중 대결 국면으로 4. 크리스마스 공세 참패와 ‘완전히 새로운 전쟁’ ③ 숨 가빴던 3주간 100 1. 풍전 등화의 대한민국 2.”한국 철수는 절대 안돼“ 3. 맥아더, 합참의 승리 의지 의심 4. 트루먼, 한국 철수 불가 결정 ④ 사라진 통일의 꿈 110 1. 리지웨이 장군, 남한지역 회복 2. 통일 목표 변경 Ⅳ. 세 주역들의 협력과 갈등/ 117 ① 제한전쟁의 한계 118 1.‘신속 작전 완료’ 전략과 ‘제한전쟁’ 방침 2. 서울 수복 후 행정권 이양과 국무부의 견제 3. 맥아더와 합참 ② 크리스마스 공세 실패의 원인과 책임 126 1. 중공군에 관한 정보 부족과 맥아더의 과오 2. 워커 장군의 이견 3. 날개 꺾인 맥아더 ③ 맥아더 전략에 대한 평가 134 1. 리지웨이도 병력 증원 요구 2.‘잘못된 전쟁’ 논란 ④ 상반된 세계전략 143 1. 유럽 우선주의와 아시아 중시주의 2. 인간적 상호불신 3. 끝나지 않은 논쟁 ⑤ 세 주역들의 특징 157 1. 공통점과 차이점 2. 트루먼 3. 애치슨 4. 맥아더 Ⅴ. 기나긴 휴전협상/ 203 ① 휴전협상의 조건들 204 1. 영국과 인도의 협상안 2. 유엔군 북진과 협상안들 3. 영국의 ‘유엔라인’ 안과 평양-원산 방어선 안 ② 험난했던 휴전협상 227 1. 아슬아슬했던 13개국 그룹의 협상안 통과 2. 볼런·케넌의 활동과 미소 담판 3. 파탄이 예정된 개성 휴전회담 4. 판문점 회담의 성과 ③ 한국의 휴전 반대와 설득 작업 240 1. 이승만의 휴전 조건 2. 트루먼 행정부의 상호방위조약 체결 거부 ④ 부산 정치파동과 미국 정부 245 1. 이승만의 비상계엄 선포에 제동 2. 미국의 여야 타협 추진 훈령 ⑤ 휴전협상과 스탈린 251 1. 애치슨의 자유송환 원칙 비망록 2. 그 동안 잘못 이해된 포로송환 문제 3. 스탈린의 회담지연 속셈 4. 애치슨의 값비싼 승리 5. 중공군 최후의 공세로 피날레 제2부 회고와 성찰/ 275 Ⅵ. 6·25전쟁의 성격/ 277 ① 세계 공산혁명운동과 스탈린 278 1. 스탈린과 한반도 현상 변경 전략 2. 세계 공산혁명운동과 특수한 북중관계 3. 세계 공산혁명 운동과 국가이익 ② 20세기형 십자군 전쟁 291 1. 중세 십자군 원정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2.‘내키지 않은 십자군 원정’ 3. 미국의 참전과 서유럽 반응 Ⅶ.왜 6·25전쟁을 막지 못했는가/ 297 ① 무방비 상태의 한국 298 1. 허술한 방어 태세 2. 한국의 공군 보유 반대 3. 맥아더, “한국군 무기는 경찰 수준” ② 미국 측의 정보 실패 307 1. 북한을 과소평가 2. 소련의 북한군 강화에도 무관심 ③ 공산 측의 정보 실패 311 1. 미국의 참전 없을 것으로 오판 2. 스탈린의 착각 ④ 남침 예측과 대책 부재 315 1. 남침이 기정 사실처럼 유포되어도 무대책 2. 미국의 군사예산 삭감도 한 몫 3. 맥아더도 예방조치에 무관심 Ⅷ.6·25전쟁 전 미군 철수의 배경/ 321 ① 모스크바 협정 폐기 322 1. 미국에 불리한 신탁통치 방안 2. 한국문제특별위원회 보고서 3. 미국의 국가이익과 한국 4. 한국에 사실상의 트루먼 독트린 적용 추진 5. 애치슨의 한국 경제지원안 좌초 6. 유엔의 한국 총선 결의 배경 ② 철군을 둘러싼 정책 혼선 350 1. 점령군 철수 시기와 정책 표류 2. 철군 시기 확정 경위 3. 철군 연기 결정의 배경 4. 이승만의 대미 공개 비판 ③ 한국판 마셜계획과 유엔군 편성안 386 1. 애치슨의 응급 처방 2. 의회의 반대로 용두사미화 3. 유엔군 편성안 ④ 애치슨 연설의 교훈 397 1. 미국의 태평양방어선과 한국 2. 심각한 한국의 반응 3. 애치슨 발언 평가 Ⅸ.결어/ 439 지도 목차 맥아더 라인과 신맥아더 라인/ 123 영국의 완충지대안/ 210 ?주석/ 421 ?참고문헌/ 464 ?찾아보기/ 476 |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