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본 책은 한국의 국력 신장과격상된 위상, 한반도의 지정학·지경학적 입지를 살려서, 미중 간 대립과 분쟁의 진원지인 한반도를 동북아의 협력과 공동번영의 중심축으로 전환하기 위한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모쪼록 한반도에서 지각변동이 진행되는 전환기에 이 책이 한국인에게 통일한국의 비전을 구현하는 길잡이 역할을 한다면, 한반도 중심축 국가로서의 린치핀 코리아가 이루어질 것을 믿는다.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정책실을 포함한 정부부처의 정책입안자, 통일의 꿈을 이루기 위해 헌신하는 분들, 그리고 중심축 한반도 국가를 이끌어 나갈 젊은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
---|
목차 |
서문: 한반도 중심축 통일국가론 이승율·정경영·이중구
01 통일 한반도의 비전 02 남북한 국력의 통합 승수효과 03 한반도의 지정학·지경학적 재조명 04 통일국가 건설을 위한 대전략 05 한반도 중심축 국가로서의 국민 인식 제1장 한미동맹과 다자안보 병행 전략 정경영·박상중 01 추진 목표와 이론적 고찰 02 한미동맹의 평가와 조정 03 다자안보협력 실태 평가 04 인도-태평양 전략 참가 여부 판단 05 안보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의 역할 제2장 북핵 폐기 전략 박종수·전수미 01 비핵화의 정의 및 관련국 관점 02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배경 03 비핵화 협상 과정 및 관련국 입장 04 비핵화 시나리오 05 비핵화에 따른 한국의 역할 제3장 남북경제공동체 구상 조봉현·정일영·김재효 01 남북경제공동체의 이상 02 남북경제협력의 현실 03 새로운 남북경제공동체의 설계 04 동북아지역 지자체 간 경제협력 05 동북아 경제협력 중심축으로서의 남북경제공동체 제4장 한반도 물류 중심축 경제발전 전략 이성우 01 추진 목표와 기조 02 한반도 중심축 국제물류 추진 전략 03 4차 산업혁명과 물류 발전 전략 04 유라시아 연계 한반도 물류 네트워크 05 유라시아 물류 중심축으로서의 한국의 역할 제5장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과 법체계 정비 방안 한명섭·문선혜 01 추진 목표와 기조 02 한반도 평화협정의 필요성과 특수성 03 한반도 평화협정에 관한 법적 쟁점과 내용 04 한반도 평화협정에 따른 법체계 정비 방안 05 동북아의 평화적 법질서 구축을 위한 한국의 역할 제6장 갈등구조 해소와 통일교육 정용상·이갑준 01 남북·남남갈등 원인 진단 02 남북·남남갈등 해소책 03 통일교육 실태 평가 04 새로운 통일교육 패러다임 05 동북아 공동체의식 정립을 위한 한국의 역할 정책 제안 한반도 중심축 추진 로드맵 |
---|
다음글 | 북한이 핵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
---|---|
이전글 | 헤게모니의 미래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