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동북아 정세 변화와 북한의 전략적 선택

상세내역
저자 김진하 , 박영자 , 홍제환 , 박형중 , 전성훈 , 이석 , 정성철
출판연도 2022년 12월 30일
출판사 통일연구원
쪽수 350
키워드 #동북아   #정세   #변화   #북한   #전략   #선택   #김진하   #박영자   #홍제환   #박형중   #전성훈   #이석   #정성철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김진하

대표작으로 『김정은 정권의 핵 외교와 대외정책 변화』이/가 있다.

저자(글) 박영자

2004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숙명여대·성균관대·이화여대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북한 체제 및 젠더사 연구와 강의를 진행했다. 2013년 이후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으로 북한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 체제 변동, 균열과 통합 등을 연구하고 있다. 통일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지자체 등의 북한통일 분야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북한 기업의 운영실태 및 지배구조》(2016), 《북한인권 제도 및 실태 변화추이 연구》(2016), 《전환기 쿠바와 북한 비교》(2015), 《북한의 시장화와 정치사회 균열》(2015)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김정은 체제의 통치행위와 지배연합〉(2013), 〈독재정치 이론으로 본 김정은 체제의 권력구조〉(2013), 〈체제변동기 북한의 계층·세대·지역 균열〉(2012) 등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현재 미ㆍ중 간 갈등 및 경쟁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가일층 격화되는 미ㆍ중 경쟁과 갈등은 동북아 국제정치 및 경제질서의 구조적 환경의 전반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남북한 및 동북아 국가들의 대내외정책 선택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지대하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ㆍ중 경쟁과 갈등 상황의 전개 양상이 북한에 미치는 영향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미ㆍ중 갈등의 전개 양상은 향후 북한의 대내외정책 및 전략 선택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것이며, 북한의 전략변화가 한국의 외교 안보적 상황에 끼칠 효과도 적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 보고서는 향후 5년 근미래 시점까지의 미ㆍ중 갈등 전개 양상을 외교, 안보, 경제 차원에서 예상해보고, 이러한 국제질서 변화가 북한의 대외 및 대남전략, 대내외 경제정책, 그리고 대내 통치정책 선택에 미칠 영향력을 시나리오를 통해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북한의 향후 핵정책 및 대내외 경제ㆍ외교정책 변화를 적실성 있게 전망함으로써 북한 비핵화 유도 정책 개발과 미ㆍ중 경쟁 및 북한의 정책 변화에 대비한 한국의 대응책 모색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북아 외교 안보 및 국제경제 질서의 구조적 변화, 그리고 이에 대한 지역 주요 국가들, 특히, 미ㆍ중 및 북한의 대응 전략을 분석ㆍ예상하면서, 미ㆍ중 갈등과 경쟁의 정치, 경제, 안보 등 다면ㆍ다층적 구조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대응 전략 선택을 전망하였다.
상세내역
목차
요약

ChapterⅠ
서론|저자 일동

Chapter Ⅱ
동북아 국제질서 변동

Chapter Ⅲ
북한의 대외전략 전망

Chapter Ⅳ
북한의 대내 및 경제정책 변화 전망

Chapter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저자 일동

참고문헌
최근 발간자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