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 HOME
  • 도서
  • 정치/군사

선을 넘어 생각한다

상세내역
저자 박한식 , 강국진
출판연도 2018년 04월 13일
출판사 부키
쪽수 320
키워드 #선   #넘어   #생각   #남한   #북한   #경계   #분단   #편견   #박한식   #강국진
상세내역
저자 소개
이미지 저자 박한식

1939년 만주에서 태어났다. 해방 시기에 평양으로 건너와 피난민 수용소 생활을 했으나 분단될 때 조부의 고향인 경상북도 청도로 내려왔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아메리칸대학교에서 석사,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1971년부터 2015년까지 조지아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을 가르쳤다.
조지아대학교에서 가르친 학생의 소개로 당시 조지아 주지사였던 지미 카터와 인연을 맺었고, 키터를 통해 덩샤오핑을 만났다. 덩샤오핑의 도움으로 37년 만에 평양 땅을 밟은 뒤로 50여 차례 평양을 방문하며 북한의 실상을 직접 보고 연구했다. 미국에서 북한 전문가로 인정받아 북한 관련 사안이 떠오를 때 국내 언론은 물론이고 CNN과 BBC를 비롯한 유수의 언론들의 인터뷰 요청을 받는다. 1994년 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과 2009년 빌 클린턴 전 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주선하였고, 남한?북한?미국의 비공식 대화인 ‘3자 간 트랙 II’ 대화를 추진해 ‘북?미 평화의 설계자’라는 별칭을 얻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세계적인 북한 전문가 박한식, 시대의 질문에 답하다

북한은 왜 핵을 개발하고 군사 도발을 하는가?
북한 체제는 과연 붕괴할 것인가?
북한은 1인 독재 체제인가?
김정은과 트럼프는 무슨 생각을 하는가?
대북 지원은 북한의 핵 개발을 도왔는가?
중국과 북한은 어떤 관계인가?
북한 비핵화는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왜 통일을 해야 하는가? 통일은 가능한가?

세계적인 평화학자이자 지미 카터와 빌 클린턴의 방북을 중재했던 북한 전문가 박한식이 북한과 남북관계에 대한 질문들에 답한다. 그는 이 질문들에 답하는 과정에서 남북대화를 방해하고 잘못된 대북정책으로 이어지는 편견들을 극복해 나간다. 또한 북ㆍ미관계의 비공식 통로 역할을 했던 경험들을 살려 북한의 여러 말과 행동들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북한과 교류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와 같은 실용적인 지침들 뿐 아니라 평화 통일을 위한 여러 구체적 방안들도 제안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북한 문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추게 될 것이다.
상세내역
목차
머리말
첫 번째, 북한은 과연 붕괴할 것인가
북한 붕괴라는 도그마
민중봉기와 쿠데타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압박과 인내 모두 답이 아니다
북한은 자본주의화되고 있나

두 번째, 미치광이 혼자 북한을 지배한다는 착각
‘포악한 독재자’라는 프레임
김정은의 목표는 덩샤오핑
북한은 1인 독재국가인가
장성택 처형의 의미

세 번째, 선군정치는 군부독재와 같은 말이 아니다
북한의 심장, 주체사상
주체사상을 떠받치는 네 기둥
김일성과 기독교 그리고 통일교
선군정치는 군부독재의 이데올로기인가
북한식 성과 평가는 그 기준이 다르다

네 번째, 북한 인권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
인권 뒤에 숨은 인권 정치
탈북자 증언, 어디까지 믿을 것인가
정치적인, 너무나 정치적인
탈북자 북송반대, 과연 인도주의적인가

다섯 번째, 북한은 외국인 억류로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
2009년과 2016년, 두 외국인 억류 사건의 차이
북한이 요구하는 것은 돈이 아니다

여섯 번째, 대북 지원이 핵 개발을 도왔나
대북 지원 내역 뜯어보기
‘퍼 주기’의 실체

일곱 번째, 중국과 북한, 혈맹과 밀당 사이
피를 나눈 혁명 동지
북핵 중국 책임론의 허상
북·중 경제협력의 두 얼굴
미묘한 긴장, ‘고대사’의 정치

여덟 번째, 진보와 보수를 넘어서 보는 남북관계
남북 대화의 시작, 7.4 남북 공동성명
노태우, 화해와 협력의 기틀을 마련하다
무대책의 대북정책, 김영삼
햇볕정책의 역사적 의의
10년의 성과가 무너지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하여

아홉 번째, 북한 비핵화는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미국 대북정책의 중심, 북핵
미국의 실수
오바마의 대책 없는 ‘전략적 인내’
북한이 핵에 목을 매는 이유
트럼프 시대의 북핵 전망
어렵다, 그러나 길은 있다

열 번째, 분단의 비극, 안보의 함정
안보 접근법과 평화 접근법
또 하나의 흑막, 군산복합체
이산가족 문제는 조심스럽게

열한 번째, 통일은 곧 손해라는 생각에 관하여
남북 협력의 경제 모델, 개성공단
개성의 중요성 그리고 가능성
뉴 프런티어, 나선특별시
북한의 경제적 편익, 지하자원

열두 번째, 남북이 하나가 되는 길은 저 멀리에 있지 않다
동질성 추구보다는 이질성의 포용을
비공식 대화를 활용한다면
남북의 공통점과 차이점
남과 북이 함께 만드는 통일헌법

맺음말
에필로그 : 만주에서 미국까지, 다시 평양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