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통일을
한평생 가슴에 품었던 지도자 1945년 8월 15일, 해방의 기쁨으로 들뜬 조선 사람들이 독립운동을 이끈 그들의 지도자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감격과 환호 속에서 사람들이 외친 이름은 우리 민족이 가장 어려웠던 시기에 민중의 곁을 지켰던 지도자 ‘여운형’이었습니다. 여운형은 일제에 맞설 때는 태양처럼 뜨거운 사람이었지만, 헐벗고 굶주린 조선 사람들을 향해서는 봄날의 햇살처럼 따사로워 ‘해를 품은 지도자’로 불렸습니다. 1945년 당시 여운형은 ‘조선을 이끌어 갈 양심적인 지도자’, ‘최고의 혁명가’로 꼽힐 만큼 민중들에게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인물이었습니다. 여운형은 삼일 운동의 주춧돌이었습니다. ‘손기정 선수 일장기 삭제 사건’의 주역이기도 했지요. 여운형은 독립운동에 관한 일이라면 어디든 달려갔습니다. 일본의 저명인사들이 모인 자리에서 당당히 조선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연설을 할 만큼 담대한 인물이었지요. 그러나 이처럼 역사적으로 중요한 순간마다 주요한 역할을 했던 여운형의 이름이 오늘날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요? |
---|
목차 |
미제공
|
---|
다음글 | 한반도 평화, 다른 길은 없는가? |
---|---|
이전글 | 통일의 정치사상적 기초: 자유, 민주주의, 인권에 입각한 통일 이론의 의미와 쟁점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