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은 통합적 코리아학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남북의 지성사를 검토하며 그 쟁점과 특징을 포착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책은 그러한 노력의 산물이다. 사상과 문학,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분단 이후 남북 지성사의 흐름과 계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분단 고착과 탈분단의 사상 의식 그리고 지성사적 이념화 과정”을 다루었다. 1960-1970년대 한국의 지성사는 국가화된 민족주의와 그에 대립하면서 분단체제의 질곡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분리 · 정립되어 갔다. 2부에서는 남북의 지성사 가운데 문학사에 주목하여, “남북 문학사의 쟁점과 소통 방안”을 모색했다.남북 문학계에 작용한 역사적 흐름과 세부 사항을 고려하면서 문학사의 쟁점들을 정리하는 한편 서로의 ‘차이’를 만들어 낸 사회 역사적인 연원을 고찰하고, 연구 성과의 상호 이해와 비판을 통해 남북 문학사의 접점을 발굴하고자 했다. 3부에서는 “1960년대 남북의 근대화 규범의 변화”라는 주제 아래 1960년대 남북 역사문화의 변화 과정을 추적했다. 남북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정체성을 새로이 구성하는 과정에서 근대화의 가치와 규범을 어떻게 구축하고 내면화해 갔는지 논증하고자 했다. |
---|
목차 |
발간사 ‘포스트-통일 연구’의 의의와 방향: ‘사람의 통일’과 ‘코리언의 자기 이해’ 8
서문 남북 지성사의 쟁점과 특징 10 <제 1부. 분단 고착과 탈분단의 사상 의식 그리고 지성사적 이념화 과정> 분단체계에서 민족-민주의 국가화와 한국 현대 지성의 이념적 모색 :탈식민-탈분단의 고투로서‘삼민’의 이념화_박영균 21 분단국가의 수도로서 서울과 평양의 공간적 생산 :1970년대를 중심으로_박솔지 49 1950~1960년 초반 『思想界』 담론장에 나타난 식민과 탈식민의 교차 :역사인식을 중심으로_박민철 81 <제 2부. 남북 문학사의 쟁점과 소통 방안> 남북 문학계의 고전 산문 장르사의 쟁점과 접점_김종군 115 〈홍길동전〉에 대한 남북 문학연구의 쟁점과 그 사회문화적 배경_박재인 153 ‘광주인민봉기’의 정치와 문학적 재현_김종곤 197 <제 3부. 1960년대 남북의 근대화 규범의 변화> 워싱턴대학프로젝트(1958~1964)와 미국식 경영관리법의 도입_정진아 233 1961년 베를린위기와 북한체제의 공고화_도지인 267 북한 언어 정책과 정치: ‘평양‘문화어’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_전영선 295 부록 참고문헌 326 논문출처 342 저자소개 343 |
---|
다음글 | 포스트제국의 통일정체성 |
---|---|
이전글 | 서로서로 배우는 중입니다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