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남·북한·재외 동포여! 8000만 온 겨레에게 고함

상세내역
저자 김상운
출판연도 2024년 09월 01일
출판사 북앤스토리
쪽수 96
키워드 #남한   #북한   #재외 동포   #통일   #김상운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김상운

1933년 황해도 해주에서 출생한 김상운 선생은 1950년 해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집단농장 생산지 도원으로 근무했다. 1953년 7월 15일 휴전 직전 북 한에서 탈출했다. 10여 명의 결사단을 조직하여 집 단으로 자유를 찾아 남하했다. 육군본부 국방부 병 무국에서 근무했으며 신동아 전쟁문학 공모에 당선 됐고, 전쟁기념사업회 전쟁문학 공모 당선 작품은 KBS 제1라디오에서 드라마로 각색돼 방송됐다. 인 간의 현실에 대한 회의로 방황하면서, 한때 남한산 성 움막에서 평화 세계에 관해 연구했다.
저서로는 『탈출기』(1979), 『별 따는 마을』(1985), 『오 사할린』(1989, 신동아 전쟁문학 공모 당선 게 재), 『대장과 여교장』(1994, 전쟁기념사업회 전쟁 문학 공모 당선작, 1994년 6월 24일 KBS 제1라 디오에서 드라마로 각색 방송됨), 『21세기 평화론』 ((1998), 『결혼의 미학』(2002), 『韓半島 이데올로 기는 恐怖다』(2003), 『덴노헤이까(天皇陛下) 죽어 라!』(2015) 등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저자 김상운 선생은 1933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1950년 해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집단농장 생산지도원으로 근무하다 1953년 7월 15일 휴전 직전 북한에서 탈출했다. 10여 명의 결사단을 조직하여 집단으로 자유를 찾아 남하했다. 이 책은 두 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글은 분단의 역사를 온몸으로 관통해 온 저자가 민족의 화해와 동질성 회복을 염원하는 글이다. 두 번째 글은 20년 전『한반도 이데올로기는 공포다』라는 제하의 책에 실었던 동 일 제목의 원고 원문을 그대로 게재한 것이다.

 저자는 첫 번째 글에서 한반도의 신탁통치를 비롯한 식 민지 나라의 처리를 논의한 1945년 2월 얄타회담(Yalta Conference)부터 한반도에 38선이 그어진 후 북은 소련이, 남은 미군이 진주하여 군정이 실시되고 분단으로 치달리게 된 배경에 대해 짚었다.

 특히 BC586년 바빌론에 의해 멸망한 유다왕국(남이스라 엘 왕국)을 끝으로 국가를 상실한 이스라엘 민족이 2524년 동 안 나라 없이 살다가 1948년 5월 14일 팔레스타인에 제2의 건국을 이룬 것을 높게 평가하고, 이것은 이스라엘 민족의 얼 이 살아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스라엘보다도 긴 4357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 배달민족이 일제강점기를 거치고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실을 애통해한다. 남북한 이데올로기의 기저를 이루는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 밖에도 북한에서 마르크스주의마저 포기하고 김일성 주체사상에 입각한 3대 세습 체제가 구축된 것을 통렬하게 비판한 다. 아울러 남한이 채택한 자본주의 역시 극심한 양극화로 인 해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한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두 번째 글, 「KOREA 이데올로기는 공포다」라는 논문에서는 분단 체제가 고착화 되는 과정에서 남북의 위정자와 지배계급 이 공포 이데올로기로 확산시켰음을 지적하고 비판한다. 남북 한은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남북 평화 통일 대원칙을 세계만 방에 공표했음을 재확인하고 있다. 민족 통일은 오로지 남북의 평화공존을 전제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대원칙을 강조하는 것이다.
상세내역
목차
저자의 말 2
추천사 8
일러두기 11
고지(告知)의 말씀 12
유구한 역사의 겨레여! 세계만방으로 뻗어나가자 16
민족정신의 각성이 필요한 때 20
철천지원수가 된 남과 북 23
8,000만 민족이여! 통일을 이루자 26
2. KOREA 이데올로기는 공포다
생사여탈권을 장악한 이데올로기 32
민족 학살에 대한 철저한 반성 필요요 34
6.25 전쟁 희생자 520만명 37
남북 화해를 위한 솔직한 고백과 사과 39
평화적, 자주적 통일은 지상 과업 41
이데올로기여! 무력과 폭력을 버리자 43
좌우 이데올로기 대립은 민족의 분열과 상처 48
평행선을 질주하는 극심한 양극적 대결 50
13전쟁에 의한 통일은 민족 자멸의 길 53
좌·우 이데올로기 통일의 선결 과제 56
관제 통일 논의에서 벗어날 때 58
동포를 울골질한 이데올로기 하수인들 59
민족 이데올로기 탄생 61
토론과 정책 대결의 길로 63
민족은 영원하나 이데올로기는 영원하지 않다 65
특권층 전유물이 된 이데올로기 67
냉전 종식 ‘부시·푸틴의 공동선언’ 68
공포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융합 모색할 때 69
한반도 이데올로기의 괴뢰성 71
민족 반역의 죄를 용서하는 동포애 72
독일 의회 ‘한반도 평화 통일 촉구 결의안’ 73
통일을 위한 실천의 중요성 78
잡아 죽일 놈에서 막걸리 나누고 싶은 놈으로 80
막대한 군비를 통일 비용으로 81
휴전선의 철책을 걷어내자 84
한반도에 보이는 희망 86
현대는 무(無)이즘의 시대, 새로운 역사를 향해 88
통일의 방법 안출(案出) 위한 통일 씽크탱크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