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한반도 평화통일의 길을 묻다

상세내역
저자 은희곤 , 왕대일 , David Mitchell , Chris Rice , 권기창 , 하충엽 , Bin Jou Liao , 최경희 , Zoughbi , Alzoughbi
출판연도 2024년 09월 30일
출판사 올리브나무
쪽수 356
키워드 #한반도   #평화   #통일   #분단   #은희곤   #왕대일   #David Mitchell   #Chris Rice   #권기창   #하충엽   #Bin Jou Liao   #최경희   #Zoughbi   #Alzoughbi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은희곤
감리교신학대학교, 연세대학교연합신학대학원, 감리교신학대학교박사원.
기독교대한감리회 미주자치연회 감독, 사단법인 평화드림포럼 & 미등록아동지원센터 대표,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외이사,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 감리교신학대학교 겸임교수, 마틴 루터 킹 인권상 수상.
저서: 『카무카무 우에 1 : 하나하나가 모여 다발을 이룬다』, 『카무카무 우에 2 : 오직 한 곳만 바라보라』, 『알기 쉽게 풀어쓴 한반도 평화와 하나님 나라』

-저자(글) 왕대일
감리교신학대학교 및 동 대학원, 미국,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M.A. 및, Ph.D.)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기독교학회 회장, 한국신학교육연구원 원장, 드바림 아카데미 원장, 평화드림포럼 아카데미 원장
저서: 『구약신학』, 『구약과 웨슬리』, 『새롭게 읽는 구약성경』, 『구약성경의 종말론』 외 다수

-저자(글) David Mitchell
Ulster University (BA in History and Philosophy, MA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PhD in Politics)
Lecturer, Ulster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Religion, Trinity College Dublin (current)

-저자(글) Chris Rice
B.A. History, Belhaven College, Jackson, Mississippi. Doctor of Ministry, Duke University Divinity School
Director, Mennonite Central Committee United Nations Office, 2019-current.
Co-Representative for Northeast Asia, Mennonite Central Committee, 2014-2019.
Co-Founding Director, Duke Divinity School Center for Reconciliation, 2005-2014.
저서: From Pandemic to Renewal: Practices for a World Shaken by Crisis, 2023, InterVarsity Press. Reconciling All Things: A Christian Vision for Justice, Peace, and Healing, 2009, InterVarsity Press (translated into Chinese, Japanese, Korean, Korean, Portuguese). Coauthored with Emmanuel Katongole 등

-저자(글) 권기창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응용통계학과 (학사), University of California(San Diego) 국제관계대학원 연수
(전) 주콩고민주공화국 대사, (전) 주우크라이나 대사, (현) 한국수입협회 상근부회장

-저자(글) 하충엽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신학석사 (M.Th., 북한선교학) 및 철학박사 (Ph.D., 통일신학)
(전)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북한선교학), (현)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독교통일지도자학 석ㆍ박사 학위과정 주임교수, (현) 숭실대학교 평화통일연구원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장
저서: 『제도와 신학』, 숭실대학교 지식정보처 중앙도서관, 2020(공저).

-저자(글) Bin Jou Liao
National Taipei University (BA.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MA. in Political Science), National Taiwan University (Ph. D. in Candidat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Director, Department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Taiwanese Civil Aid to HKers, 2020-current.
Lecturer,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lass in Senior High Schools in Northern Taiwan, 2012-2020.
Visiting Fellows, European Research Center of Contemporary Taiwan (ERCCT), Tübingen University, 2012-2012.

-저자(글) 최경희
청진경제전문대학 공업경영학과 (전문학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학사), 동경대학교 학제정보학관 국제관계학 (석사), 동경대학교 정치학 (박사)
(전)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 민주평통 상임위원, (현) 한국기독교통일포럼 운영이사, (현) (사)샌드연구소 대표

-저자(글) Zoughbi Alzoughbi
Notre Dame University (MA. in Conflict Resolution)
The founder and director of the Palestinian Conflict Transformation Center, “Wi'am”
City council member in Bethlehem
The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Fellowship of Reconciliation
저서 : Medi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Manuals 등

-편집 평화드림포럼
상세내역
주요내용
평화드림포럼 아카데미 제2집

“한반도 평화통일의 길을 묻다-분쟁지역에서의 평화”를 주제로 펼치는
5개국 7인의 강연 모음.
‘영국-잉글랜드’, ‘러시아-우크라이나’, ‘남한-북한’, ‘중국-대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등 분쟁지역의 현상황과 평화로 가는 길을 모색한다.

 “한반도 평화통일의 길을 묻다, 분쟁지역에서의 평화”라는 주제로 열린 「2023 국제학술심포지엄」의 강연록. 북아일랜드 사태의 원인과 결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현실, 타이완 분쟁의 실체,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아픔과 소망을 통해 화평케 하는 사람들의 사명과 소명을 확인한다.

 평화드림포럼은 ‘통일의 방법’을 논하던 시대를 흘려보내고 ‘분쟁이 사라진 상태의 평화’가 아니라 ‘상생과 공존의 평화’로 한민족의 미래 가치 유산인 ‘한반도 공동체’을 꿈꾸고 설계하고 실천하고자 세워진 사단법인이다.

 평화드림포럼은 “한반도와 한민족 동포의 평화, 세계 분쟁지역의 평화 정착을 위한 사업 전개, 국내ㆍ외 학술대회 정기적 개최, 시대에 부합하는 세대별 평화 교재 발간과 교육, 한반도의 긴장 완화를 위한 민간교류 협력사업 추진, 해외동포 교류사업, 세계 분쟁지역에서의 갈등, 폭력 중단을 요구하는 다양한 캠페인 전개, 한반도 차세대 지도자 양성” 등을 주요 사업 주제로 선정하여 추진해 왔다. 그동안 젊은 세대들을 대상으로 한 한반도 주변 5개국(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언어로 된 평화통일교육교재를 발간(총 12권)하여 한반도 평화운동 지도자들을 양성해 왔다. 그리고 평화드림포럼 안에 있는 ‘평화드림아카데미’(원장 왕대일 박사)를 통하여 4년을 1주기로 매해 포럼을 개최하여 국내ㆍ외적으로 ‘한반도와 세계평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실천 과제들을 함께 나누며 연대의 고리를 넓혀 갔다.

“평화드림포럼은 평화를 꿈꾸고 나누는 마당이자
평화를 만들어 하나님께 ‘드리는’(드림),
‘마음과 실천’을 함께 담아내는 그릇이고자 합니다.”
상세내역
목차
■ 발간사 은희곤 ∥ 한반도 평화통일로 가는 길, ‘상호평화적 분단 관리구조’로 바뀌어야
■ 서언 왕대일 ∥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데이비드 미첼 ∥ 북아일랜드의 평화 - 다른 분쟁지역에 적용 가능한가?
크리스 라이스 ∥ 북한과의 건설적인 관계 - 어려움과 가능성
권기창 ∥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현황, 주요 이슈 및 향후 전망
하충엽 ∥ 남북한 사람들의 갈등과 해결방안 - 볼프의 정체성의 재조정을 중심으로
랴오, 반주 ∥ 국제 관계의 관점에서 본 양안 관계 - 그리고 그것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
최경희 ∥ 평화ㆍ통일에 대한 북한의 시각: 분석과 제언 - 김정은 정권의 ‘우리국가제일주의’ 이념을 중심으로
조프비 알조프비 ∥ 팔레스타인의 평화와 정의를 위한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