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한반도 통일을 여는 한국교회 디아코니아

상세내역
저자 엄상현
출판연도 2024년 08월 30일
출판사 동연
쪽수 232
키워드 #한반도   #통일   #한국   #교회   #평화   #북한   #엄상현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엄상현

충북 제천에서 출생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석사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박사
수동교회(기감) 담임목사

▶ 주요 경력
1984 ~1985 감리교농촌선교목회자실천협의회 회장
1987 (故) 이한열(李韓烈) 열사 장례(하관식) 집례
1988~1989 광주 - 전남 목회자 정의평화실천협의회 의장
1994~1995 광주기독교교회협의회(광주 NCC) 회장
2000~2003 영동지역 “산불(수해)” 이재민돕기 기독교연합 대책협의회 대표회장
2003~2004 한국 사랑의 집짓기(Habitat) 삼척지회 이사장
2007~2008 SOFA(주한미군지위협정) 한미 불평등조약 개정 및 민생대책위원회 의장
2013 ~2014 포천시 장애인 *주간/단기* 보호센터 이사장 역임
2015 ~2016 기독교대한감리회 총회 행정조정위원장 역임
2015 ~현재 (사회복지법인) ‘호세아동산’ 운영위원장
2019 ~현재 ‘남양주종교인평등연대’와 ‘기후위기남양주 비상행동’ 가족으로 열심히 살고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남과 북 사이에 막힌 담을 여는 기독교적 방법

 이 책은 통일운동을 해온 한 개신교 목사가 제안하는 한반도 통일 방법론이다. 그러나 통일을 말한다고 해서 단순히 무조건적으로 통일하자는 것이 저자의 논지는 아니다. 그 말은 통일론 이외에도 한반도 중립화론이나 상호 공존론도 있으며, 이를 선택적으로 추구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이렇듯 다양한 통일론이 오랫동안 통일운동을 해온 저자의 견해이다. 또한 이것은 많은 이들이 여러 세분화된 방안으로 제시하는 한반도 남북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기도 하다.

 그런데 막상 이 책은 정치적, 정책적 혹은 외교적 방안을 통일의 방법론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보다는 더 근본적으로 북한(북조선)을 어떻게 대할 것인지 하는 태도, 즉 우리의 자세부터 살피자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책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저자 엄상현 목사의 박사학위 논문이다. “한반도 통일정책과 한국교회 통일운동에 대한 디아코니아 신학적 평가 - 88선언을 중심으로”(Diakonian Theological Evaluation of the Unification Policy of Korea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es)를 제목으로 하는 논문이다. 부제가 말하듯 이 책, 이 논문의 핵심 내용이자 통일정책의 방향은 “88선언”에 있다. 한국교회사는 물론이고 한국의 통일 논의에서도 가장 획기적이자 종합적이며 바람직하다고 평가받는 “88선언”의 공식 명칭은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1988년 2월 29일)이다.

 1988년, 한국 사회에는 수많은 일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몇 가지 중요 사안을 든다면, 88서울올림픽과 노태우 정부 출범, 남북관계 개선과 북방외교의 시작, 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다양한 민주화운동의 발현, 통일운동의 점화 등이다. 이에 맞추어 한국의 진보 기독교 신학자들을 총망라한 가운데 수많은 논의와 숙의를 거쳐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을 내놓기에 이르렀다. 그 선언은 향후 한국(남한)의 통일정책에서 신학적이면서도 정치적인 틀의 기초가 되었다. 나아가 그것은 단지 기독교 교계의 선언에 그치지 않고 이를 넘어 정치권이나 외교-통일의 면에서도 지침이자 토대가 되었다.

 이 책에는 민간과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대북 지원 사업”에 관한 논문들을 부록에 실었다. 그건 대북 지원 사업이 일각에서 말하는 “퍼주기”가 아니라, 디아코니아라는 입장에서 본 인도주의적이자 신학적인 활동의 결정체와도 같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부록에 실린 글들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북한(북조선)을 어떻게 대할 것인지를 정리한 이 책의 결론을 이론적으로 받쳐주고 있다.

그리하여, 이 책은 이렇게 이야기한다.

“통일의 길은 대립이나 군사적 우위, 흡수통합 같은 방식이 아니라 베풀고 나누고 보듬어 안아 마음을 열고 대하는 것부터 해야 한다.”
상세내역
목차
〈화보〉 엄상현 목사의 사역과 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여정
책 머리에 _ 테오도르 스트롬
머리말 _ 엄상현
추천의 글 _ 김근상 김영주 김형태 민영진 박종화 송병구 안성례 유기성 윤용상 이영훈 이정배 조병호 지형은 채수일 최이우 홍정길

1장 ╻서론
I. ‘화해의 디아코니아신학’을 제안하며
II. 통일에 관한 앞선 연구들과 이 책의 지향점

2장 ╻남한 정부의 통일 정책과 한국교회의 통일운동
I. 남한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한 신학적 평가
1. ‘북진통일론’부터 ‘7.4남북공동성명’까지
2. ‘공동성명’에서 ‘기본합의서’로
3. 북한 핵 연계와 ‘사우나 정책’
4. ‘햇볕 정책’과 ‘사실상의 통일 상황’ 만들기
5. 흡수통일을 전제한 ‘통일대박론’
6. 맺음말
II.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에 대한 신학적 비판
1. 보수 진영의 통일 신학에 대한 신학적 비판
1) ‘인간 중심적 통일 신학’에서 ‘하나님 중심적 통일 신학’으로
2) ‘성경적 통일 신학’은 얼마나 성경적인가
2. 진보 진영의 통일운동에 대한 신학적 비판
1) 하나님의 구원사로서의 한국사
2) 민족해방과 계급해방으로서의 통일
3. 맺음말

3장 ╻통일을 위한 디아코니아의 유형과 원칙
I. 통일을 위한 디아코니아의 유형들
1. 교회적 디아코니아
1) 교회 정체성으로서의 디아코니아
2) 교회로부터 사회로 나가는 디아코니아
2. 사회적 디아코니아
1) 사회선교로서의 디아코니아
2) 국가적 차원의 디아코니아
3. 주변인 중심적 디아코니아
1) 주변인을 위한 디아코니아
2) 주변인이 주도하는 디아코니아
4. 보편 사제적 디아코니아
1) 모든 신자의 사제적 위임으로서 디아코니아
2) 하나 되게 하는 과제를 가진 디아코니아
5. ‘에큐메니칼’ 디아코니아 원칙
1) 경계 타파적 섬김
2) 연대와 상호성으로서의 친교와 섬김
6. ‘경세적 삼위일체’의 시각에서 본 디아코니아
1) 다양성 속에서의 일치를 추구하는 디아코니아
2) 통전적 디아코니아
II. 통일을 위한 원칙, ‘화해의 디아코니아’
1. 관계 회복으로서의 화해
2. 공동체적 사귐으로서의 화해
3. 경계를 뛰어넘는 사랑의 실천으로서의 화해
4. 하나님의 일방적인 사랑과 자기희생으로서의 화해
5. 관용과 환대로서의 화해
III.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디아코니아 원칙

4장 ╻‘88선언’에 대한 디아코니아신학적 이해 및 평가
I. ‘88선언’의 배경과 의의
II. ‘88선언’이 한국 정부 통일 정책에 미친 영향
III. ‘88선언’에 대한 한국교회 보수 진영의 도전
IV. ‘88선언’ 30주년 평가
V. 화해의 디아코니아신학으로 본 ‘88선언’

5장 ╻결론 및 제언
I. 결론: 화해의 디아코니아를 통한 길
II. 제언: 한반도 통일을 위한 한국교회의 과제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88선언’) (1988년 2월 29일)
〈부록 2〉 ‘88선언’ 30주년 기념 국제협의회 성명서(2018년 3월 6일)
〈부록 3〉 남북나눔재단을 통한 대북 지원 사업에 대한 분석 연구
〈부록 4〉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의 대북 지원 및 협력 사업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