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DMZ의 꿈』은 신냉전 시대를 위한 혁신적인 평화 해법을 제시하는 혁신적인 저서이다. 저자 이근중은 한반도 DMZ, 인터넷 DMZ, 그리고 MZ세대 DMZ라는 세 가지 독창적인 개념을 통해 유라시아의 평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려낸다. 이 책은 분단의 상징이었던 DMZ를 평화의 발원지로 재해석하고,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완충 지대를 모색하며, 미래 세대가 이끄는 문화적 화합의 비전을 제시한다.
유라시아 전역의 분쟁 지역을 중립 지대로 재조명하는 이 책은 복잡한 지정학적 긴장을 완화하는 방안을 탐구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저자가 핵무기보다 더 큰 위협으로 기후 위기를 지목하고, 이에 대한 국제 협력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직접적인 해결책을 기술하였다. 한반도 DMZ에서 시작해 만주, 몽골, 중앙아시아를 거쳐 우크라이나와 폴란드까지 이어지는 ‘유라시아 슈퍼 그리드 DMZ’ 구상을 직접적인 해결책이다. 각 장은 신냉전과 국익 우선주의를 넘어서는 관점에서 지구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DMZ 드림’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평화, 지속가능성, 공동 번영의 비전을 펼쳐 보인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대한민국의 소프트 파워를 활용한 ‘K-peace’ 확산을 제안하며, 유라시아 전역에 걸친 DMZ 선언 지지를 독려하고 있다. 이 책은 단순한 이론서를 넘어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적 지침서로, 독자들에게 글로벌 평화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
---|
목차 |
프롤로그: 분쟁의 땅
제1장. 평화의 참호: 세 얼굴의 비무장 지대 1-1. 공포의 장벽: 한반도의 DMZ 1-2. 보이지 않는 전장: 인터넷 비무장 지대의 DMZ 1-3. 세대 간의 완충 지역: Digital 시대의 주역 MZ세대로서 DMZ 제2장. 유라시아의 가면을 벗기다: 혼란의 여정 2-1. 냉전의 부활 2-2. 신냉전의 지정학적 환경 2-3. 은둔 왕국의 위험한 게임: 북한의 핵 벼랑 끝 전술 2-4. 앞으로 나아가기: 신냉전 시대의 평화와 지속 가능성 추구 시대 2-5. 신냉전 및 비무장 지대 제3장. 셰이프시프터: 전환 경제 탐색하기 3-1. 공산 국가들의 시장 경제 참여: 전환 경제의 발전 3-2. 새로운 골드러시: 디지털로 변화된 경제 3-3. 녹색 혁명: 기후 변화 전환 경제 3-4. 전환 경제의 공생, 세 개의 비무장 지대 제4장. 침묵의 감시자들: 유라시아의 중립 국가들 4-1. 중립성 이해: 역사적 관점 4-2. 얼어붙은 국경과 세계 무역의 통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중립 지역 4-3. 중립의 역할 그리고 비무장 지대: 평화 그린벨트 제5장. 지구의 전투 외침: 통합의 촉매제로서의 기후 변화 5-1. 시간이 촉박합니다: 글로벌 위협 5-2. 지구를 위협하는 가장 무서운 무기 5-3. 워룸에서 그린룸으로: 기후 변화 정책의 용도 변경 5-4 국경 간 프로젝트 제6장. 희망의 다리: DMZ의 꿈 6-1. 유라시아 지정학의 중요성 6-2. 단결의 불꽃: 슈퍼 그리드 6-3. 유라시아 비무장 지대의 개념 6-4. 유라시아 초비무장 지대의 도전과 기회 제7장. DMZ의 꿈 응원하기 7-1. DMZ는 더 이상 영웅을 기다리지 않는다 7-2. 유라시아 지역의 DMZ 선언 7-3. 유라시아 지역의 DMZ 선언 지지하기 후일담: 앞으로의 여정 찾아보기 |
---|
다음글 | 통일과 담론 2024년 상반기호 |
---|---|
이전글 | 전쟁 없는 세상을 만들고 싶어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