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힘을 통해 이익을 관철시켜 나가는 전쟁의 일상화와 규범적 가치와 원칙이 무관심과 조롱의 대상이 되는 현실 가운데서도 한반도의 평와과 동북아의 화해를 위해 열정과 집념으로 연구를 지속해 온 학자들이 제안하는 정치학, 철학, 신학을 아우르는 특별한 학제적 성찰의 결과를 담고 있다.
|
---|
목차 |
서문
1장 신냉전의 부상이 한반도 평화와 안보에 주는 함의 들어가며 국제질서의 변화: 냉전에서 신냉전까지 신냉전속 한국과 북한의 외교안보 정책 변화 신냉전의 부상과 한반도의 안보 및 평화 나가며 2장 분단의 힘, 관행에서 연대로 들어가며 분단체제 : 양 제도 권력의 안락한 집 관행 이론과 분단 관행(慣行) 분단 관행 : 네 가지 특성 나가며 : 평화들(peaces)의 발견과 연대 3장 북미 협상의 장애물: 북한에 대한 미국의 선입견, 그리고 인식과 오판의 문제 들어가며 이론적 틀 북한에 대한 미국의 선입견, 그리고 인식과 오판의 문제 나가며 4장 타자철학과 한반도 평화: 레비나스, 데리다, 들뢰즈의 철학을 중심으로 들어가며 타자철학이란 무엇인가? 레비나스의 타자철학 데리다의 타자철학 들뢰즈의 타자철학 타자철학과 한반도 평화 나가며 5장 용서, 그 긴 여정: 기독교 평화주의 관점에서 본 동북아 화해 들어가며 용서와 화해는 긴 여정입니다 용서란 무엇일까? 정치적 혹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용서와 화해 갈등전환 회복적 정의 트라우마 이해와 회복 그리스도인의 용서와 화해의 정치 참여 나가며 |
---|
다음글 | 신랄하지만 따뜻하게 1 |
---|---|
이전글 |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4년 4월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